[방송통신대학교][잡초방제학] 국내생태계 교란식물 발생 현황(3초종)과 대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잡초방제학] 국내생태계 교란식물 발생 현황(3초종)과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생태계 교란식물의 이해
Ⅱ. 국내생태계 교란식물의 발생 현황과 대책
1. 가시박
1) 발생 현황
2) 방제 대책
2. 단풍잎돼지풀
1) 발생 현황
2) 방제 대책
3. 영국갯끈풀
1) 발생 현황
2) 방제 대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뽑는 것이 중요하다. 강화도에서는 영국갯끈풀 물리적 방제를 위하여 굴삭기를 동원하기도 했으나 굴삭기가 갯벌에 빠질 경우 나오기가 어려워서 최근에는 수륙양용차 위에 굴삭기를 얹은 새로운 장비를 활용하여 갯벌뒤집기에 나서고 있다. 이외에도 봄철에는 작은 규모의 영국갯끈풀 군락의 줄기를 벤 후 검정비늘로 피복함으로써 햇빛을 차단하는 방법도 활용하고 있다. 특히 가을에 새싹을 완전히 베어내는 방법이나 점토를 매립하여 제거하는 방법도 활용 중이다. 둘째, 생물학적 방제로서 영국갯끈풀를 먹이로 하는 곤충을 활용하는 방법도 활용되고 있다. 셋째, 화학적 방제로서 썰물 시에 비선택성 제초제인 Imazapyr 또는 Glyphosate를 살포하는 방법도 활용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국내생태계 교란식물 3초종에 대해 살펴봤다.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영국갯끈풀 등은 외래종으로 국내에 유입된 후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 식물은 공통적으로 경제적 피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종 다양성 훼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 식물 모두 생존력이 뛰어나고 빠르게 번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각 교란식물별로 적용할 수 있는 방제 대책이 있으나 방제 대책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해당 식물들을 방제하는가이다. 예를 들어, 강화도에서는 영국갯끈풀을 방제하기 위해 수륙양용 굴삭기를 도입하는 등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이처럼 교란식물이 더 이상 국내 생태계를 위협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방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손 쓸 수조차 없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지금보다 강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교란식물 방제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길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 김길웅 외(2021). 최신 잡초방제학원론(제5판). 경북대학교출판부.
- 국립생태원. [보도자료] 국립생태원 한국의 생태계교란 외래생물 자료집 발간. 국립생태원, 2021년 12월 23일자, pp.1-8
- 이인용 외(2021). 생태계교란식물 가시박의 발생특성과 관리방안.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제10권제4호, pp.353-363
- 최오균. 식물업계의 조폭 단풍잎돼지풀. 오마이뉴스, 2013년 9월 2일자.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02166 (검색일: 2023.9.21.)
- 이인용 외(2021).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환삼덩굴의 발생특성과 관리.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제10권제3호, pp.227-242
- 김은규 외(2015). 미기록 외래잡초 영국갯끈풀의 국내 분포와 식물학적 특성.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제4권제1호, pp.65-70
- 최모란. 영국갯끈풀 습격에 뿌리까지 뽑아라...강화 갯벌은 전쟁중. 중앙일보, 2021년 8월 29일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2334#home (검색일: 2023.9.21.)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1.22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2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