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나님이여 나를 긍휼이 여기소서 사람이 나를 삼키려고 종일 치며 압제하나이다(56:1)
2. 나의 원수가 종일 나를 삼키려 하며 나를 교만히 치는 자 많사오니(56:2)
3. 내가 두려워하는 날에는 주를 의지하리이다.
4.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고 그 말씀을 찬송하올찌라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였은즉 두려워 아니 하리니 혈육 있는 사람이 내게 어찌하리이까(56:3,4)
5. 저희가 종일 내 말을 곡해하며 내게 대한 저희 모든 사상은 사악이라(56:5)
6. 저희가 내 생명을 엿보던 것과 같이 또 모여 숨어 내 종적을 살피나이다(56:6)
7. 저희가 죄악을 짓고 피하오리이까 하나님이여 분노하사 뭇 백성을 낮추소서(56:7)
8. 나의 유리함을 주께서 계수하셨으니 나의 눈물을 주의 병에 담으소서 이것이 주의 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나이까(56:8)
9. 내가 아뢰는 날에 내 원수가 물러가리니 하나님이 나를 도우심인 줄 아나이다(56:9)
10.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여 그 말씀을 찬송하며 여호와를 의지하여 그 말씀을 찬송하리이다.
11.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였은즉 두려워 아니 하리니 사람이 내게 어찌하리이까(56:10,11)
12. 하나님이여 내가 주께 서원함이 있사온즉 내가 감사제를 주께 드리리니(56:12)
13.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며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실족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56:13)
2. 나의 원수가 종일 나를 삼키려 하며 나를 교만히 치는 자 많사오니(56:2)
3. 내가 두려워하는 날에는 주를 의지하리이다.
4.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고 그 말씀을 찬송하올찌라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였은즉 두려워 아니 하리니 혈육 있는 사람이 내게 어찌하리이까(56:3,4)
5. 저희가 종일 내 말을 곡해하며 내게 대한 저희 모든 사상은 사악이라(56:5)
6. 저희가 내 생명을 엿보던 것과 같이 또 모여 숨어 내 종적을 살피나이다(56:6)
7. 저희가 죄악을 짓고 피하오리이까 하나님이여 분노하사 뭇 백성을 낮추소서(56:7)
8. 나의 유리함을 주께서 계수하셨으니 나의 눈물을 주의 병에 담으소서 이것이 주의 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나이까(56:8)
9. 내가 아뢰는 날에 내 원수가 물러가리니 하나님이 나를 도우심인 줄 아나이다(56:9)
10.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여 그 말씀을 찬송하며 여호와를 의지하여 그 말씀을 찬송하리이다.
11. 내가 하나님을 의지하였은즉 두려워 아니 하리니 사람이 내게 어찌하리이까(56:10,11)
12. 하나님이여 내가 주께 서원함이 있사온즉 내가 감사제를 주께 드리리니(56:12)
13.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며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실족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56:13)
본문내용
함이 있사온즉 내가 감사제를 주께 드리리니(56:12)
하나님이여 내가 주께 서원함이 있사온즉...주께 드리리니 - 다윗은 9절에서,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원하실 것에 대한 확신을 피력한바 있었다. 이 같은 확신과 아울러 그는 하나님께 기꺼이 감사제를 드리겠노라고 서원했던 것 같다. 본시는 탄식이나 간구 대신 승리에의 확신과 감사로써 끝나고 있다. 기자가 구원을 기대하면서 감사제를 여호와께 드리기로 서원한 것은(50:14;107:22;116:17) 구원에 대한 보답이라는 측면보다는 오히려 주께 대한 온전한 헌신의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3.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며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실족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56:13)
히브리어 원문에는 본절 초두에 '왜냐하면'을 뜻하는 접속사 '키'(* )가 있다. 따라서 본절은 다윗이 하나님께 대한 서원을 갚으려 했던 이유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 '건지셨음이라'(* , 히찰레타)는 '구원하다'를 뜻하는 '나찰'(* )의 환료형으로서 과거 시제로 번역해야 한다. 그러나 다윗이 본 시편을 기록했을 당시에 그는 여전히 원수의 손아귀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이같이 완료형으로 표현함으로써, 하나님에 의한 자신의 구원이 완료되기나 한 것처럼 절대적으로 확신하고 있다.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명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 '하나님 앞'은 성도가 하나님과 교제하는 곳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하나님의 성전(聖殿)을 가리킨다. 본 시편을 기록할 당시, 다윗은 블레셋 땅에서 감금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하나님께 제사를 드릴 수 없었다. 더구나 그는 거기서 죽임을 당할 위협에 처해 있기까지 했다. 한편 '생명의 빛'은 하나님의 보호와 계시로 부터 격리된 '음부의 밤'과 반대되는 개념이다(Keil). 따라서 '생명의 빛에 다닌다'라는 말은, 죽음의 위협으로부터 구출되는 것을 가리킨다(116:8, 9;욥 33:30). 그런 점에서 '하나님 앞'과 '생명의 빛'은 의미상 동격(同格)이다.
실촉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 - 이것은 다윗이 하나님의 붙들어주심(145:14)에 의하여 죽음에 이르지 아니하게 되었음을 보여 주는 반문(反問)이다. 한편 '실족지'(* , 데히)는 '밀쳐 넘어뜨리다' 혹은 '쫓아내다'의 뜻이 있는 동사 '다하'(* )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하나님이여 내가 주께 서원함이 있사온즉...주께 드리리니 - 다윗은 9절에서,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원하실 것에 대한 확신을 피력한바 있었다. 이 같은 확신과 아울러 그는 하나님께 기꺼이 감사제를 드리겠노라고 서원했던 것 같다. 본시는 탄식이나 간구 대신 승리에의 확신과 감사로써 끝나고 있다. 기자가 구원을 기대하면서 감사제를 여호와께 드리기로 서원한 것은(50:14;107:22;116:17) 구원에 대한 보답이라는 측면보다는 오히려 주께 대한 온전한 헌신의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3.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며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실족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56:13)
히브리어 원문에는 본절 초두에 '왜냐하면'을 뜻하는 접속사 '키'(* )가 있다. 따라서 본절은 다윗이 하나님께 대한 서원을 갚으려 했던 이유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 '건지셨음이라'(* , 히찰레타)는 '구원하다'를 뜻하는 '나찰'(* )의 환료형으로서 과거 시제로 번역해야 한다. 그러나 다윗이 본 시편을 기록했을 당시에 그는 여전히 원수의 손아귀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이같이 완료형으로 표현함으로써, 하나님에 의한 자신의 구원이 완료되기나 한 것처럼 절대적으로 확신하고 있다.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명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 '하나님 앞'은 성도가 하나님과 교제하는 곳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하나님의 성전(聖殿)을 가리킨다. 본 시편을 기록할 당시, 다윗은 블레셋 땅에서 감금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하나님께 제사를 드릴 수 없었다. 더구나 그는 거기서 죽임을 당할 위협에 처해 있기까지 했다. 한편 '생명의 빛'은 하나님의 보호와 계시로 부터 격리된 '음부의 밤'과 반대되는 개념이다(Keil). 따라서 '생명의 빛에 다닌다'라는 말은, 죽음의 위협으로부터 구출되는 것을 가리킨다(116:8, 9;욥 33:30). 그런 점에서 '하나님 앞'과 '생명의 빛'은 의미상 동격(同格)이다.
실촉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 - 이것은 다윗이 하나님의 붙들어주심(145:14)에 의하여 죽음에 이르지 아니하게 되었음을 보여 주는 반문(反問)이다. 한편 '실족지'(* , 데히)는 '밀쳐 넘어뜨리다' 혹은 '쫓아내다'의 뜻이 있는 동사 '다하'(* )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기강판 미세 조직 관찰
열전달 실험 [전도 실험] - 기계공학 응용실험
PZT제조공정
브리넬 경도시험과 로크웰 경도시험
기본측정실험
시인 김광균에 관한 조사
[기계 공학 응용 실험] 5. 인장 실험 (A+자료)
경도 실험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
[재료시험] 금속조직 관찰 실험 결과 보고서
[기계공학실험] brinell, rockwell 경도실험
기계공학실험 - 경도시험 (브리넬 경도, 로크웰 경도, 쇼어 경도, 비커스 경도)
[재료공학 기초 실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 실험보고서 : 주...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인장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