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 3
1. 다제내성균의 정의 3
1) 다제내성균의 사전적 정의 3
2) 다제내성균의 발생원인 3
(1) 주요메커니즘 3
(2) 균의 항생제 내성을 갖는 유전적 특징 3
(3) 기본적인 기작 5가지 3
2.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 4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4
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 . . . . .(중략)
II.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와 치료방법 7
3. 의료기관 내 예방관리 원칙 7
1) 의료기관 내 방침 마련 7
2) 항생제 사용관리 7
3) 감시활동 7
4) 환자 및 보균자 관리 7
4. 다제내성균별 감염관리 (표) 9
5. 다제내성균별 치료방법 11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치료제 11
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치료제 11 . . . . (중략)
※ 출처 각페이지 각주 표시
1. 다제내성균의 정의 3
1) 다제내성균의 사전적 정의 3
2) 다제내성균의 발생원인 3
(1) 주요메커니즘 3
(2) 균의 항생제 내성을 갖는 유전적 특징 3
(3) 기본적인 기작 5가지 3
2.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 4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4
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 . . . . .(중략)
II.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와 치료방법 7
3. 의료기관 내 예방관리 원칙 7
1) 의료기관 내 방침 마련 7
2) 항생제 사용관리 7
3) 감시활동 7
4) 환자 및 보균자 관리 7
4. 다제내성균별 감염관리 (표) 9
5. 다제내성균별 치료방법 11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치료제 11
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치료제 11 . . . . (중략)
※ 출처 각페이지 각주 표시
본문내용
관에 유행 기간에 입원력 있는 환자 - 중환자실의 유행 발생 상황
-이전에 CRE가 검출되었던 환자 -의료 관련 시설에서 전원 온 환자 -CRE 유행이 알려진 기관에 유행 기간에 입원력 있는 환자
격리 해제
원래 분리된 감염부위(검체채취가 어렵거나 혈액 분리인 경우는 보균 검사 결과로 판단)와 보균 검사에서 3일~1주 간격으로 검사하여 연속 3회 이상 음성
※항생제를 수 주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 검사 간격과 횟수 조정 가능
3. 다재내성균별 치료방법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MRSA의 으뜸 치료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이나 타이코플라닌(teicoplanin)이다.
- 으뜸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네졸리드(linezolid)를 사용한다. 마크로라이드(macrolid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퀴놀론(quinolone) 계열의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이면 치료에 사용할 수 있으나 내성인 경우가 더 흔하다.
- 고름집이 생기면 항생제 투과가 잘 되지 않아 배농, 혹은 수술이 필요합니다.
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증상이 없는 사람의 소변이나 대변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배양되면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이 아니라 보균상태로 판단하고 치료를 추천하지 않는다.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증상을 동반한 감염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치료 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하며 으뜸 치료제는 리네졸리드(linezolid)이다.
- 2018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나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quinupristin-dalfopristin), 답토마이신(daptomycin)도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치료에 효과적이다.
3) 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증상이 없는 사람의 소변이나 대변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배양되면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이 아니라 보균상태로 판단하고 치료를 추천하지 않는다.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증상을 동반한 감염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치료 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하며 으뜸 치료제는 리네졸리드(linezolid)이다.
- 2018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나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quinupristin-dalfopristin), 답토마이신(daptomycin)도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치료에 효과적이다.
4) MRAB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 (미생물학백과 )
- MRPA, MRAB 감염이 있는 경우 아직까지 정립된 치료는 없으며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근거로 여러 가지 계열 항생제의 복합 치료를 시도한다.
-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콜리스틴(colistin), 티지사이클린(tigecycline), 이미페넴(imipenem), 메로페넴(meropenem)과 같은 항생제들의 주로 처방된다.
- 저항성 정도에 따라 장기간 또는 고농도의 항생제 처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내성 및 인체 내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 항생제 부작용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세균의 세포막을 통한 항생제 유입을 증가시키는 올레아놀릭산과 펌프를 통해 항생제의 세포 내 유입을 돕는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물질과 같이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천연물을 활용한 항생제 보조제 발굴 및 천연 의약품 개발 연구를 시행중이다.
5) CR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는 콜리스틴(colistin), 티제사이클린(tigecycline) 정도로 매우 제한적이며 콜리스틴은 신장독성의 문제점이, 티제사이클린은 혈액 농도가 낮아 중증 질병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 즉,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이 발생하면 적절한 치료제가 적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메로페넴-바보박탐(meropenem-vaborbactam)과 같이 최근 개발된 항균제는 일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에 효과적이나 2018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다.
6) MRPA (다제내성녹농균) 치료제 국가 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다제내성균 치료 방법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710&cid=51004&categoryId=51004#TABLE_OF_CONTENT7
- MRPA, MRAB 감염이 있는 경우 아직까지 정립된 치료는 없으며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근거로 여러 가지 계열 항생제의 복합 치료를 시도한다.
- 2022, 10월 메디칼업저버 기사에 따르면 저박사(세프톨로잔/타조박탐) 약제가 건강보험 급여로 인정되어 임상에서 사용중인것으로 보인다. 메디칼 업저버 기사 :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6027
이러한 약제 사용을 위해 호흡기감염병연구회는 질병관리청과 함께 한국인에 맞는 병원 폐렴, 호흡기 감염병 관련 진료 가이드라인(지침)을 만들었다. 팜뉴스 기사 :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953
-이전에 CRE가 검출되었던 환자 -의료 관련 시설에서 전원 온 환자 -CRE 유행이 알려진 기관에 유행 기간에 입원력 있는 환자
격리 해제
원래 분리된 감염부위(검체채취가 어렵거나 혈액 분리인 경우는 보균 검사 결과로 판단)와 보균 검사에서 3일~1주 간격으로 검사하여 연속 3회 이상 음성
※항생제를 수 주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 검사 간격과 횟수 조정 가능
3. 다재내성균별 치료방법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MRSA의 으뜸 치료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이나 타이코플라닌(teicoplanin)이다.
- 으뜸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네졸리드(linezolid)를 사용한다. 마크로라이드(macrolid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퀴놀론(quinolone) 계열의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이면 치료에 사용할 수 있으나 내성인 경우가 더 흔하다.
- 고름집이 생기면 항생제 투과가 잘 되지 않아 배농, 혹은 수술이 필요합니다.
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증상이 없는 사람의 소변이나 대변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배양되면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이 아니라 보균상태로 판단하고 치료를 추천하지 않는다.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증상을 동반한 감염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치료 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하며 으뜸 치료제는 리네졸리드(linezolid)이다.
- 2018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나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quinupristin-dalfopristin), 답토마이신(daptomycin)도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치료에 효과적이다.
3) 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증상이 없는 사람의 소변이나 대변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배양되면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이 아니라 보균상태로 판단하고 치료를 추천하지 않는다.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증상을 동반한 감염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치료 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하며 으뜸 치료제는 리네졸리드(linezolid)이다.
- 2018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나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quinupristin-dalfopristin), 답토마이신(daptomycin)도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치료에 효과적이다.
4) MRAB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 (미생물학백과 )
- MRPA, MRAB 감염이 있는 경우 아직까지 정립된 치료는 없으며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근거로 여러 가지 계열 항생제의 복합 치료를 시도한다.
-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콜리스틴(colistin), 티지사이클린(tigecycline), 이미페넴(imipenem), 메로페넴(meropenem)과 같은 항생제들의 주로 처방된다.
- 저항성 정도에 따라 장기간 또는 고농도의 항생제 처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내성 및 인체 내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 항생제 부작용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세균의 세포막을 통한 항생제 유입을 증가시키는 올레아놀릭산과 펌프를 통해 항생제의 세포 내 유입을 돕는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물질과 같이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천연물을 활용한 항생제 보조제 발굴 및 천연 의약품 개발 연구를 시행중이다.
5) CR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치료제 [네이버 지식백과]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는 콜리스틴(colistin), 티제사이클린(tigecycline) 정도로 매우 제한적이며 콜리스틴은 신장독성의 문제점이, 티제사이클린은 혈액 농도가 낮아 중증 질병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 즉,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이 발생하면 적절한 치료제가 적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메로페넴-바보박탐(meropenem-vaborbactam)과 같이 최근 개발된 항균제는 일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에 효과적이나 2018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다.
6) MRPA (다제내성녹농균) 치료제 국가 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다제내성균 치료 방법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710&cid=51004&categoryId=51004#TABLE_OF_CONTENT7
- MRPA, MRAB 감염이 있는 경우 아직까지 정립된 치료는 없으며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근거로 여러 가지 계열 항생제의 복합 치료를 시도한다.
- 2022, 10월 메디칼업저버 기사에 따르면 저박사(세프톨로잔/타조박탐) 약제가 건강보험 급여로 인정되어 임상에서 사용중인것으로 보인다. 메디칼 업저버 기사 :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6027
이러한 약제 사용을 위해 호흡기감염병연구회는 질병관리청과 함께 한국인에 맞는 병원 폐렴, 호흡기 감염병 관련 진료 가이드라인(지침)을 만들었다. 팜뉴스 기사 :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953
추천자료
미생물학(A+) 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감염균 종류와 치료방법
간호학과 미생물학 보고서 다제내성 원내감염 균 -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를 확인하고, 감염관리 혹은 치료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간호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학 요약
[일본, 기술혁신체제, 과학기술, 유전자기술, 작물육종기술, 생명과학연구]일본의 기술혁신체제, 일본의 과학기술, 일본의 유전자기술, 일본의 작물육종기술, 일본의 생명과학연구, 일본의 포스트게놈연구 분석
병원 감염
미생물학_병원감염의 원인과 예방
병원감염균의 종류와 이해
기초간호과학
기초간호과학 2022] 1. 세균은 그람염색에 따라 나눌 수 있다. 그람염색의 정의, 대표적인 분류 4가지, 각 분류의 중요한 세균(1가지 이상), 기초간호과학 2. 이식 거부반응의 정의, 기전 및 형태, 시행 가능한 간호중재 3가지 이상, 3. 산-염기 불균형 분류 4가지, 시행 가능한 간호중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