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 [사회문제론]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독후감,감상문,서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 [사회문제론]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독후감,감상문,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식민지 시대 한센인들의 삶
2. 수용소가 되어 버린 소록도
3. 질병과 낙인의 메커니즘
4. 사회문제로 바라본 질병과 낙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08년 한센복지협회 서울지부가 대방동으로 이전을 추진하였으나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에 직면한 적이 있다. “주민들의 반대 이유는 두 가지다. 한센병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주변 집값 하락은 물론, 유동인구 저하로 인한 상권 하락으로 재산권에 상당한 피해가 간다는 것이 첫째 이유이고 둘째, 한센병이 전염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감염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최선영. 한센의원 우리 동네엔 절대 못들어와. 메디파나뉴스, 2008년 8월 1일자.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6580&sch_menu=1&sch_gubun=103 (검색일: 2023.3.13.)
여전히 사람들의 눈에 한센인과 한센시설은 혐오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한센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라는 오래된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이제 한센병은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만성감염병이 되었다. 하지만 한센병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한센인들이 완치 후에도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무엇인지, 한센인 관련 시설을 지역에 설립하려고 할 때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우리는 성찰해야 한다. 질병은 누구나 걸릴 수 있다. 질병에 걸린 사람을 죄인 취급하고 그들을 차별하고 혐오하는 것은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질병에 낙인을 찍는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애써야 한다. 한센병 외에도 낙인의 대상이 되고 있는 질병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질병 자체가 혐오의 대상이 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책을 읽으며 그동안은 자세히 알지 못했던 한센인들의 고통스러운 삶에 대해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아마도 책에 담기지 못한 더 가슴 아픈 사연들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이처럼 낙인과 차별은 당하지 않는 사람은 상상할 수도 없는 고통을 만들어낸다. 이제라도 이러한 행위를 멈춰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재형(2021).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돌베개.
- 최선영. 한센의원 우리 동네엔 절대 못들어와. 메디파나뉴스, 2008년 8월 1일자.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6580&sch_menu=1&sch_gubun=103 (검색일: 2023.3.13.)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1.30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3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