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력
3. 간호진단
4. 대인관계 보고서
5. 보건교육 계획서
6. 보건교육 자료
2. 간호력
3. 간호진단
4. 대인관계 보고서
5. 보건교육 계획서
6. 보건교육 자료
본문내용
에게 의존적임. 동네 경로당을 자주 방문하여 사회생활을 함.
○ 위생상태(양호, 불량)
- 집의 위생 상태는 양호함.
○ 일상생활수행능력
(식사, 개인위생, 자리 옮기기, 걷기, 투약(독립적, 보조기구, 도움필요, 의존적)
- 집안 내 행동들은 혼자서 해결 가능하나 움직임에 불편해 보임.
- 개인위생 스스로 실시 가능하지만 통증으로 인해 거동을 힘들어하며,
올해 초에 낙상경험이 있음.
- TV, 휴대전화 등 사회와의 연결은 잘 되어 있음.
- 투약: 골다공증약, 관절염 진통제, 당뇨약 복용 중임.
- 보조기구: 사용하지 않으심.
정서적으로 남편에게 의존적임.
○ 외부 지원서비스(방문간호, 생계비 지원 등)
- 방문간호서비스(보건소)
○ 기타
BST : 식후210mg/dL(11/14)
- 커피: 하루 2잔
수면시간 : 6시간/일
<대상자 간호진단>
#1 만성통증
#2 낙상위험성
#3 비효과적 건강관리
3. 간호진단
날짜
진단번호
(우선순위)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 근거
원인
반응양상
기대하는 결과 및 시한부
#1
“걷기가 힘드니까 거의 앉아만 있지 뭐.”
“무릎이 쑤셔서 밤에도 자주 깨.”
“앉아있어도 아프고 걸어도 아프고 나이 가 웬수지”
“발목골절 후에 더 아파 그냥 비만 오면 욱씬욱씬 ”
-진단명: 퇴행성 관절염 (2021.09)
-신체활동이 적고, 주로 앉아있거나 엉덩이를 끌면서 생활하는 모습 관찰됨.
-얼굴을 찡그리며 무릎를 문지르는 모습 자주 보임.
-관절염 진통제아세타이미노펜(tylenol) 복용 중임.
-발목골절(2020.11)
질환과 관련된
만성 통증
대
상
대
자는 마지막 방문 시까지 통증 관리를 자연스럽게 실천한다.
상자는 다음 방문 시까지 비약물적 통증 완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한다.
방
과
문
거
찜
관
시
사
찔
절
질
대
관
마다 통증의 강도, 부위, 양상을 사정한다.
용한 통증완화 방법과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사정한다.
팩을 이용해 열요법을 적용한다.
보호대를 제공하여 활동 시 착용하도록 한다.
환 완화에 효과적인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상자에게 만성통증과 통증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절에 무리를 덜 수 있는 일상생활 속 스트레칭을 매일 아침 실천할 수 있게 교육한다.
- 통증의 강도, 부위,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통증의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중재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만성통증 대상자는 통증조절을 위해 약물적, 비약물적 방법을 사용한 경험이 많다. 통증 관리 계획은 통증완화에 대한 과거 경험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열요법은 그 부위의 혈류를 개선시키고, 통증 반사 신경 감소를 통해 통증을 감소시킨다.
관절 보호대는 불편한 관절을 지지하여 통증을 경감하고 활동을 격려할 수 있다.
-식단조절은 더욱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만성 통증과 통증 관리전략에 대한 지식을 알려줌으로 더욱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알 수 있다.
-스트레칭은 뼈와 근육을 유연하게 함으로 무리를 덜고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장
기
적
단
기
적
진
단
적
치
료
적
교
육
적
* 문헌고찰
1.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현문사
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관절염
날짜
진단번호
(우선순위)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 근거
원인
반응양상
기대하는 결과 및 시한부
11
/14
# 2
“ 내가 침대에서 떨어진 적이 있어”
“ 화장실 바닥이 미끄러워서 넘어질 뻔한 적도 있어 ”
· 과거 낙상 경험 있음.
· 가정방문 시 걷는 것을 힘들어 하시는 모습 관찰됨.
· 76세로 고령환자임.
·집안에 문턱이 높음
·화장실 앞 바닥에 물기가 관찰됨.
·불을 끄고 생활하시는 모습 관찰됨.
대상자의 주위환경 관리능력의 부족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대
상
자는 한달 이내에 집안 내 낙상위험요소가 감소한다.
대
대
낙
접
적
상자의 가정 내 안전에 대한 위험성을 완벽하게 체크한다.(높은 턱, 옷, 바닥의 이불 등)
상자의 화장실 앞이나 부엌에 미끄럼 방지 발판을 깔도록 교육한다.
상,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안전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근이 쉬운 곳에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두도록 교육한다.
어도 75W 전구를 설치하고 불을 키고 생활하도록 교육한다.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예방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킨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또 다른 실질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행동을 유도한다.
상담과 교육은 대상자의 위험요인에 대한 각성을 증진시킨다.
대상자의 집안에서의 낙상을 줄이기 위해 깨끗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조명을 밝게 하여 위험요인을 줄이고 낙상을 감소시킨다.
* 문헌고찰
1. 기본간호학, 휴식과 수면, 수문사
장
기
적
단
기
적
진
단
적
치
료
적
교
육
적
날짜
진단번호
(우선순위)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 근거
원인
반응양상
기대하는 결과 및 시한부
11
/14
# 3
“내가 몇 년 전에는 골다공증이 있다고 하더니 저번에는 또 관절염도 있다고 그러더라고 나이가 먹으니까 어쩔 수 없이 몸이 다 고장나나봐.”
“딸이 먹으라고 무슨 약을 사다줬는데 우리 할아버지가 챙겨줘야지 나는 뭐가 복잡하고 어려워서 잘 안 챙겨지더라고.”
-위생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대상자 주변에 여러 물건들이 모여있음
-질병이나 증상에 대해 노화와 관련된 필연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처방된 약을 복용하는 것 이외 생활양식의 변화를 도모하지 않음
치료적 요법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대
상
자는 한 달 이내에 생활습관을 2가지 이상 변화시킨다.
대
대
대
상자에게 질병 및 증상과 관련하여 생활습관 변화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상자에게 골다공증 식이를 교육한다.
상자에게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한다.
-골다공증의 병인에 유전, 호르몬, 운동, 신체활동, 영양 등이 관여한다. 영양을 골량과 골질에 영향을 미치고 골절의 발생과 치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뼈의 형성과 유지에 단백질, 칼슘, 비타민D, 비타민K등 많은 영양소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충분한 열량과 단백질 섭취, 칼
○ 위생상태(양호, 불량)
- 집의 위생 상태는 양호함.
○ 일상생활수행능력
(식사, 개인위생, 자리 옮기기, 걷기, 투약(독립적, 보조기구, 도움필요, 의존적)
- 집안 내 행동들은 혼자서 해결 가능하나 움직임에 불편해 보임.
- 개인위생 스스로 실시 가능하지만 통증으로 인해 거동을 힘들어하며,
올해 초에 낙상경험이 있음.
- TV, 휴대전화 등 사회와의 연결은 잘 되어 있음.
- 투약: 골다공증약, 관절염 진통제, 당뇨약 복용 중임.
- 보조기구: 사용하지 않으심.
정서적으로 남편에게 의존적임.
○ 외부 지원서비스(방문간호, 생계비 지원 등)
- 방문간호서비스(보건소)
○ 기타
BST : 식후210mg/dL(11/14)
- 커피: 하루 2잔
수면시간 : 6시간/일
<대상자 간호진단>
#1 만성통증
#2 낙상위험성
#3 비효과적 건강관리
3. 간호진단
날짜
진단번호
(우선순위)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 근거
원인
반응양상
기대하는 결과 및 시한부
#1
“걷기가 힘드니까 거의 앉아만 있지 뭐.”
“무릎이 쑤셔서 밤에도 자주 깨.”
“앉아있어도 아프고 걸어도 아프고 나이 가 웬수지”
“발목골절 후에 더 아파 그냥 비만 오면 욱씬욱씬 ”
-진단명: 퇴행성 관절염 (2021.09)
-신체활동이 적고, 주로 앉아있거나 엉덩이를 끌면서 생활하는 모습 관찰됨.
-얼굴을 찡그리며 무릎를 문지르는 모습 자주 보임.
-관절염 진통제아세타이미노펜(tylenol) 복용 중임.
-발목골절(2020.11)
질환과 관련된
만성 통증
대
상
대
자는 마지막 방문 시까지 통증 관리를 자연스럽게 실천한다.
상자는 다음 방문 시까지 비약물적 통증 완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한다.
방
과
문
거
찜
관
시
사
찔
절
질
대
관
마다 통증의 강도, 부위, 양상을 사정한다.
용한 통증완화 방법과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사정한다.
팩을 이용해 열요법을 적용한다.
보호대를 제공하여 활동 시 착용하도록 한다.
환 완화에 효과적인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상자에게 만성통증과 통증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절에 무리를 덜 수 있는 일상생활 속 스트레칭을 매일 아침 실천할 수 있게 교육한다.
- 통증의 강도, 부위,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통증의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중재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만성통증 대상자는 통증조절을 위해 약물적, 비약물적 방법을 사용한 경험이 많다. 통증 관리 계획은 통증완화에 대한 과거 경험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열요법은 그 부위의 혈류를 개선시키고, 통증 반사 신경 감소를 통해 통증을 감소시킨다.
관절 보호대는 불편한 관절을 지지하여 통증을 경감하고 활동을 격려할 수 있다.
-식단조절은 더욱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만성 통증과 통증 관리전략에 대한 지식을 알려줌으로 더욱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알 수 있다.
-스트레칭은 뼈와 근육을 유연하게 함으로 무리를 덜고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장
기
적
단
기
적
진
단
적
치
료
적
교
육
적
* 문헌고찰
1.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현문사
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관절염
날짜
진단번호
(우선순위)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 근거
원인
반응양상
기대하는 결과 및 시한부
11
/14
# 2
“ 내가 침대에서 떨어진 적이 있어”
“ 화장실 바닥이 미끄러워서 넘어질 뻔한 적도 있어 ”
· 과거 낙상 경험 있음.
· 가정방문 시 걷는 것을 힘들어 하시는 모습 관찰됨.
· 76세로 고령환자임.
·집안에 문턱이 높음
·화장실 앞 바닥에 물기가 관찰됨.
·불을 끄고 생활하시는 모습 관찰됨.
대상자의 주위환경 관리능력의 부족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대
상
자는 한달 이내에 집안 내 낙상위험요소가 감소한다.
대
대
낙
접
적
상자의 가정 내 안전에 대한 위험성을 완벽하게 체크한다.(높은 턱, 옷, 바닥의 이불 등)
상자의 화장실 앞이나 부엌에 미끄럼 방지 발판을 깔도록 교육한다.
상,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안전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근이 쉬운 곳에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두도록 교육한다.
어도 75W 전구를 설치하고 불을 키고 생활하도록 교육한다.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예방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킨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또 다른 실질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행동을 유도한다.
상담과 교육은 대상자의 위험요인에 대한 각성을 증진시킨다.
대상자의 집안에서의 낙상을 줄이기 위해 깨끗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조명을 밝게 하여 위험요인을 줄이고 낙상을 감소시킨다.
* 문헌고찰
1. 기본간호학, 휴식과 수면, 수문사
장
기
적
단
기
적
진
단
적
치
료
적
교
육
적
날짜
진단번호
(우선순위)
주관적인 자료
객관적인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 근거
원인
반응양상
기대하는 결과 및 시한부
11
/14
# 3
“내가 몇 년 전에는 골다공증이 있다고 하더니 저번에는 또 관절염도 있다고 그러더라고 나이가 먹으니까 어쩔 수 없이 몸이 다 고장나나봐.”
“딸이 먹으라고 무슨 약을 사다줬는데 우리 할아버지가 챙겨줘야지 나는 뭐가 복잡하고 어려워서 잘 안 챙겨지더라고.”
-위생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대상자 주변에 여러 물건들이 모여있음
-질병이나 증상에 대해 노화와 관련된 필연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처방된 약을 복용하는 것 이외 생활양식의 변화를 도모하지 않음
치료적 요법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대
상
자는 한 달 이내에 생활습관을 2가지 이상 변화시킨다.
대
대
대
상자에게 질병 및 증상과 관련하여 생활습관 변화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상자에게 골다공증 식이를 교육한다.
상자에게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한다.
-골다공증의 병인에 유전, 호르몬, 운동, 신체활동, 영양 등이 관여한다. 영양을 골량과 골질에 영향을 미치고 골절의 발생과 치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뼈의 형성과 유지에 단백질, 칼슘, 비타민D, 비타민K등 많은 영양소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충분한 열량과 단백질 섭취, 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