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과표준어)한글 표기법의 변천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맞춤법과표준어)한글 표기법의 변천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훈민정음의 표기법
1) 모아쓰기
2) 연철과 분철
3) 종성부용초성과 8종성법
2.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
3. 현행 어문 규정
4. 현행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차이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요'로 소리나더라도 '오'로 적고 연결형에서 사용되는 '-이오'는 '이요'로 적기로 하여 구별하였다.
또한 '새로와, 가까와'와 같이 적던 것을 발음의 변화를 인정하여 '새로워, 가까워'로 적도록 하였다. 부사에 '-이'가 붙어서 다시 부사가 되는 경우 그 원형을 밝혀 적기로 하여 '더우기, 일찌기'로 적던 것을 '더욱이, 일찍이'로 적도록 하였다.
한자어에도 사이시옷을 적던 것을 곳간·셋방·숫자·찻간·툇간·횟수 등 6개의 한자어에만 사이시옷을 붙이고 그밖의 한자어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도록 하였다. 준말에 있어 '-지-않'을 '-잖-', '-하지-않-'을 '-찮-'으로 적도록 하였고 '가하다, 흔하다, 생각하건대'의 준말을 '?·쓴? 흔ㅎ다, 생각ㅎ건대'로 표기하던 것을 '가타, 흔타, 생각컨대'처럼 적도록 하였다.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 외에는 된소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하여 -껄, -ㄹ쑤록'과 같이 적던 것을 '-ㄹ걸, -ㄹ수록'으로 적도록 하였으며 '-ㄹ께'도 '-ㄹ게'로 바꾸었다. 띄어쓰기에서는 성과 이름을 띄어쓰던 것을 붙여쓰도록 바꾸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한글 창제 이후의 한글 표기법의 변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았다.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교착어적 특성에 가장 알맞은 표기 방식인 모아쓰기의 방식이었지만, '소리대로'와 '원형 밝히기' 즉, 연철과 분철의 표기상 혼란이 빚어졌다. 훈민정음의 또 하나의 표기 특징은 종성부용초성과 8종성법으로 '소리나는 대로' 쉽게 표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한글맞춤법통일안>은 각론이 모두 65항에 달하는 세부적인 규정까지 갖춘 체계적인 규정집이었는데 받침에 'ㅋ, ㅎ, ㅅㅎ, ㄹㅎ, ㅆ' 들을 더 쓰게 한 것을 비롯하여 기본형과 어원을 더 철저하게 살려 표기하는 입장이었다. 그리고 총론 제3항에서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웃 말에 붙여쓴다"는 규정을 두어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 번도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던 관례를 깨고 띄어쓰기 시대를 열게 하였다.
현재의 <한글 맞춤법>은 엄밀한 의미에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개정한 것이라기보다는 '보완'한 것이다. 대대적인 문자 생활의 변혁이 반드시 바람직하지만은 않다는 의견이 많았기 때문이다.
Ⅳ. 참고문헌
1. 한글맞춤법 안내, 기주연, 도서출판 이정, 2001.
2. 한극맞춤법의 이해, 나찬연, 도서출판 월인, 2002.
3. 우리말 알고 쓰기, 김기혁 외 4명, 경진문화사, 2003.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