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
2) 특수아 부모의 심리·정서적 지원프로그램
3)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해 개인적 의견 제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
2) 특수아 부모의 심리·정서적 지원프로그램
3)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해 개인적 의견 제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돌봄과 자녀 돌봄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곱째, 특수아 부모의 감정을 지지하고 긍정적으로 강화한다. 이는 특수아 부모의 노력을 인정하고 지지하여 특수아 부모의 자신감을 높이고 부모-자녀 간 긍정적 관계를 촉진하도록 지원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특수아 부모의 심리·정서 지원프로그램을 설명하였고,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개인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에는 일상생활의 어려움, 특수 교육 서비스 접근의 어려움, 사회적 편견과 이해 부족의 어려움, 감정적 스트레스와 신체의 피로, 경제적 어려움, 심리·정서적 부담, 부부 갈등과 비장애 자녀발달 저해의 어려움이 있고, 특수아 부모의 심리·정서 지원프로그램에는 제시된 자존감 향상과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부모 역할 프로그램과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을 예시로 설명하였고, 그 외의 특수아 부모 지원프로그램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개인적 의견으로는 특수아 부모에게 자원과 교육을 제공, 상담과 정서적 지원, 특수와 부모 네트워크, 특수아 부모의 시간 관리 지원, 자원과 서비스의 제공, 특수아 부모의 자기 돌봄 실천 지원, 특수아 부모의 감정지지 등이 있다.
특수아 부모와 가족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그 부모와 가족에게 필요한 지원프로그램을 정리하는 것은 특수아 부모에 대한 이해와 그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연관성을 가지고 특수아 부모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었으며,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개인적 의견을 제시하면서, 예비 특수교육자 현장에서의 특수아 부모를 지원할 수 있는 기획력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Ⅳ. 참고문헌
학습자료 - [특수아 부모교육론]. 한국사이버평생교육원.
김경희(1996). 간질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박순옥·신현균(2009). 심리건강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중도.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존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vol.14(3), pp. 324-345.
이소현(2003).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최민숙(2002).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가족참여와 지원」. 학지사.
일곱째, 특수아 부모의 감정을 지지하고 긍정적으로 강화한다. 이는 특수아 부모의 노력을 인정하고 지지하여 특수아 부모의 자신감을 높이고 부모-자녀 간 긍정적 관계를 촉진하도록 지원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특수아 부모의 심리·정서 지원프로그램을 설명하였고,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개인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에는 일상생활의 어려움, 특수 교육 서비스 접근의 어려움, 사회적 편견과 이해 부족의 어려움, 감정적 스트레스와 신체의 피로, 경제적 어려움, 심리·정서적 부담, 부부 갈등과 비장애 자녀발달 저해의 어려움이 있고, 특수아 부모의 심리·정서 지원프로그램에는 제시된 자존감 향상과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부모 역할 프로그램과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을 예시로 설명하였고, 그 외의 특수아 부모 지원프로그램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개인적 의견으로는 특수아 부모에게 자원과 교육을 제공, 상담과 정서적 지원, 특수와 부모 네트워크, 특수아 부모의 시간 관리 지원, 자원과 서비스의 제공, 특수아 부모의 자기 돌봄 실천 지원, 특수아 부모의 감정지지 등이 있다.
특수아 부모와 가족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그 부모와 가족에게 필요한 지원프로그램을 정리하는 것은 특수아 부모에 대한 이해와 그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연관성을 가지고 특수아 부모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었으며, 특수아 부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개인적 의견을 제시하면서, 예비 특수교육자 현장에서의 특수아 부모를 지원할 수 있는 기획력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Ⅳ. 참고문헌
학습자료 - [특수아 부모교육론]. 한국사이버평생교육원.
김경희(1996). 간질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박순옥·신현균(2009). 심리건강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중도.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존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vol.14(3), pp. 324-345.
이소현(2003).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최민숙(2002).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가족참여와 지원」. 학지사.
추천자료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론 공통) 베이비부머 세대 인터뷰를 통해 노후준비에 있어서 한국의 복지가 잔여적...
[2021 유아발달4공통] 1.로렌츠(Lorenz)의 각인이론과 보울비(Bowlby)의 애착이론에 해당하는...
재혼가족 특징 증가배경과 재혼가족 문제 해결방안 및 나의의견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에 대한 기사를 소개하고 이론적 근거에 따라 설명하세요.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과 특수아부모의 심리, 정서적 지원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도움이 될...
이혼가족을 돕기 위해 어떤 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기술
특수아가족의 어려움과 특수아부모의 심리, 정서적 지원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도움이 될 ...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대해 정리하고,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 프로그램를 ...
특수아 가족의 어려움에 대한 기사를 소개하고 이론적 근거에 따라 설명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