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강독_이생규장전과 최생우진기를 읽고 각 작품의 주요 인물들의 특징, 작품 내용에서의 흥미로운 점, 주제 등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소설강독_이생규장전과 최생우진기를 읽고 각 작품의 주요 인물들의 특징, 작품 내용에서의 흥미로운 점, 주제 등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생규장전
1) 주요 인물의 특징
2) 작품 내용 중 흥미로운 점
3) 주제

2. 최생우진기
1) 주요인물의 특징
2) 작품 내용 중 흥미로운 점
3) 주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최생은 용궁에 들어가고 나올 때 학을 탔다. 또한 최생우진기에 나오는 최생은 실의한 선비라는 것, 또한 도가풍의 신선사상이 작품 전체에서 짙게 나타난다는 것도 용궁부연록과 다르다.작품가운데 등장하는 최생이 지은 ‘용궁회진시’에 대해서 용왕은 “임금은 하늘의 뜻을 옳게 받들고, 백성의 삶을 생각해야 한다는 옳은 생각이 드러나고 있다.”라며 크게 칭찬한다. 이러한 칭찬에는 세상의 교화가 쇠퇴하고, 도덕은 땅에 떨어지고 희미해져서 백성들의 삶이 도탄에 빠진 것을 강하게 비판하는 저자의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3) 주제
이 소설은 주인공 최생이 현실세계인 인간세계를 떠나서 천상과 명부, 용궁을 차례로 지나면서 겪은 기이한 사건을 다룬 전기소설이다. 삼척의 두타동천에 있는 무릉계곡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로 주인공 최생의 신선체험이라는 허구화된 이야기다. 이 작품은 전기소설 특유의 주제인 인생무상과 현실세계에 대한 비판과 회의, 그리고 이 모든 사실을 깨닫고 산 속으로 들어가거나 종적을 감춘다는 결말이 등장한다. 유정일,「『기재기이』의 전기소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2, 128쪽
최생우진기에는 고전문학의 대표적인 주제 6개가 액자식 구성을 통해 모두 나타나고 있다.
■ 참고문헌
유정일,「『기재기이』의 전기소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2, 128쪽
문범두,「<최생우진기>의 구조와 의미」,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통권 제72호 pp. 121~144, 2001. 2
신태수,「『기재기이』의 환상성과 교환 가능성의 수용 방향」, 고소설연구 제 17집 pp. 133~164, 2004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5.02.11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4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