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급 전문스포츠지도사(야구)_지도대상 이해 및 선수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급 전문스포츠지도사(야구)_지도대상 이해 및 선수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야구선수 영양 관리
2. 야구선수 컨디션 관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략 8종목 정도를 하며, 비시즌에 트레이닝 한 무게의 약 70~80%정도를 하며 시즌 중 근력을 유지한다.(남중웅, 2017)
경기 후 3일차에는 투구 감각 익히기 및 스피드 회복을 위한 운동을 진행하는 날이다,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불펜 투구를 통해 다음 경기에 대한 감각을 익히고 점검하게 된다. (남중웅, 2017) 하지만 경기 후 어깨, 팔꿈치 피로가 회복되지 않은 선수는 가벼운 던지기(soft toss)로 어깨 팔꿈치 컨디션을 점검하는 것으로 대신 하기도 한다, 스피드 트레이닝을 위해 50m 전력 질주를 하게 되며, 약 2~3개 정도만 최고 스피드로 달리며 나머지 7~8개는 70~80%속도로 밸런스를 유지한다.(남중웅, 2017)
경기 후 4일차(경기 전 날)에는 스피드와 파워 트레이닝 그리고 신체 컨디션을 점검하는 날이다. 가벼운 보강운동을 진행하고 단거리 단리기 30m, 50m를 각각 5개 정도 빠르게 달리며 본인의 컨디션을 점검하게 된다, 선수는 주로 내일 경기에 상대할 팀의 전력을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남중웅, 2017)
이렇게 선발투수의 로테이션별 컨디셔닝 관리는 규칙적인 일정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생체 리듬을 규칙적으로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신인 선수들은 선발 투수의 로테이션에 따라 등판을 해본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관리가 미흡하다. 따라서 신인 선수는 트레이닝 파트에서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경기의 승패에 따라서 본인의 트레이닝 스케줄이 변화 되는 선수들은 한 시즌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기 힘들다. 프로야구에서 강팀이 된다는 것은 한사람의 능력이 아닌 팀 시스템의 정착으로 그 팀 안에서 각자의 역할을 잘 할 때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III. 결론
지금까지 야구 선수의 영양 관리 및 컨디션 관리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재작년 즈음 보다 가벼운 몸을 만들기 위해 야구선수들이 ‘키토제닉(Ketogenic) 다이어트’를 한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는 저탄수화물 고지방(저탄고지) 다이어트로, 탄수화물 섭취는 전체 식사 구성의 5%로 낮지만, 지방 섭취는 75%로 매우 높은 식단이다. 그래서 케토제닉 다이어트를 나 역시 시도해본 적이 있는데 “영양학자와 운동생리학자 등 많은 전문가가 고지방 섭취의 케토 다이어트가 매우 위험하다”고 경고하면서 이 방법이 좋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본 과제를 하며 처음 알게 되었다. 야구 선수들의 영양관리는 무조건 저탄고지가 아니고 탄수화물도 필요하고 지방도 지나치지 않게 필요하여 균형 잡힌 관리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컨디션 관리도 매우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뛰어난 선수라고 하더라도 컨디션을 잘못 관리하면 성적이 잘 안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경기 전날만 컨디션 관리를 하는 게 아니라 며칠 전부터 컨디션 관리를 집중적으로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1. 남중웅, 스포츠학 개론, 한올출판사, 2017
2. 오태웅, 스포츠 영양학, 홍경, 2020
3. 이명천, 건강·스포츠영양학, 라이프사이언스, 2017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2.16
  • 저작시기202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5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