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대중매체의 효과
1) 강·중·소효과 이론
2) 선별효과 이론
3) 문화계발효과 이론
4) 프레이밍 이론
5) 의제설정효과 이론
6) 점화효과 이론
2. 대중매체 효과이론을 SNS 메시지의 효과에 적용
1) 강·중·소효과 이론
2) 선별효과 이론
3) 문화계발효과 이론
4) 프레이밍 이론과 의제설정효과 이론
5) 점화효과 이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대중매체의 효과
1) 강·중·소효과 이론
2) 선별효과 이론
3) 문화계발효과 이론
4) 프레이밍 이론
5) 의제설정효과 이론
6) 점화효과 이론
2. 대중매체 효과이론을 SNS 메시지의 효과에 적용
1) 강·중·소효과 이론
2) 선별효과 이론
3) 문화계발효과 이론
4) 프레이밍 이론과 의제설정효과 이론
5) 점화효과 이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를 이룬다. 요즘 사람들은 짧은 영상을 통해 영화·드라마의 하이라이트, 자극적인 패러디 등을 접하는 경우가 많다. 워낙 많은 영상을 짧은 시간에 접하기에 두뇌에 있는 정보(과거 경험)가 순식간에 표출될 가능성이 높다. 점화효과의 경우 대중매체보다 SNS에서 효과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판단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대중매체의 효과와 관련된 각종 이론을 정리하고 대중매체 효과이론을 SNS 메시지의 효과에 적용시켜보았다. 그 결과 대중매체 효과이론이 SNS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NS에 대중매체 효과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이유는 SNS가 ‘뉴 미디어’이면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기 때문일 것이다. 즉, SNS는 대중매체와 세세한 특성은 다르지만, 대중매체의 연장선에 있는 매체이기에 대중매체 효과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SNS의 자극성, 편파성, 거짓뉴스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고 우려하는 것 이상으로 문제가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원래 자극적이고 편파적인 보도, TV프로 등의 원조는 대중매체였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일부 대중매체는 다소 자극적인 방송을 하지만, 각종 규제로 인해 그러한 방송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뉴 미디어인 SNS도 자극성, 거짓 등과 관련된 기초적인 규제를 하기 시작한다면 점차 자리를 잡아갈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아직까지 확실한 규제방안이 나오지 않았기에 장상화가 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1. 연구보고서
이준웅, 2002,『미디어이론으로 본 보도현장』,「신문과방송」384호.
2. 논문
金允實·尹鍾彬, 2012,「10.26 서울시장 재보선에 나타난 SNS의 영향력 분석」,『의정논총』제7권 제1호.
PHAM THI THANH THUY, 2010,「베트남인의 한국 드라마 시청이 국가 이미지 인식과 호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성, 2006,「선거참여 연구와 미디어 점화효과 이론」,『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5호.
3. 사이트
한국경제(https://www.hankyung.com).
한국갤럽조사연구소(https://www.gallup.co.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파이낸셜투데이(https://www.ftoday.co.kr/news).
뉴시스(https://www.newsis.com).
Ⅲ. 결론
지금까지 대중매체의 효과와 관련된 각종 이론을 정리하고 대중매체 효과이론을 SNS 메시지의 효과에 적용시켜보았다. 그 결과 대중매체 효과이론이 SNS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NS에 대중매체 효과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이유는 SNS가 ‘뉴 미디어’이면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기 때문일 것이다. 즉, SNS는 대중매체와 세세한 특성은 다르지만, 대중매체의 연장선에 있는 매체이기에 대중매체 효과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SNS의 자극성, 편파성, 거짓뉴스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고 우려하는 것 이상으로 문제가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원래 자극적이고 편파적인 보도, TV프로 등의 원조는 대중매체였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일부 대중매체는 다소 자극적인 방송을 하지만, 각종 규제로 인해 그러한 방송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뉴 미디어인 SNS도 자극성, 거짓 등과 관련된 기초적인 규제를 하기 시작한다면 점차 자리를 잡아갈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아직까지 확실한 규제방안이 나오지 않았기에 장상화가 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1. 연구보고서
이준웅, 2002,『미디어이론으로 본 보도현장』,「신문과방송」384호.
2. 논문
金允實·尹鍾彬, 2012,「10.26 서울시장 재보선에 나타난 SNS의 영향력 분석」,『의정논총』제7권 제1호.
PHAM THI THANH THUY, 2010,「베트남인의 한국 드라마 시청이 국가 이미지 인식과 호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성, 2006,「선거참여 연구와 미디어 점화효과 이론」,『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5호.
3. 사이트
한국경제(https://www.hankyung.com).
한국갤럽조사연구소(https://www.gallup.co.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파이낸셜투데이(https://www.ftoday.co.kr/news).
뉴시스(https://www.newsis.com).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과사회 2024학년도 2학기 중간 -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1)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 ①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인간과사회] 2024년 중간과제물, 1.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 ...
(인간과사회 2024년2학기 중간]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중매...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