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번안의 의미를 설명하고, 1910년대 번안소설 3대 작가와 작품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시오. 2. 멜로드라마 형식의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 번안의 의미를 설명하고, 1910년대 번안소설 3대 작가와 작품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시오. 2. 멜로드라마 형식의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번안’의 의미를 설명하고, 1910년대 번안소설 3대 작가와 작품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시오.
1) 번안의 의미와 특징
2) 1910년대 번안소설 3대 작가와 작품
(1) 조중환과 『쌍옥루』
(2) 민태원과 『애사』
(3) 이상협과 『정부원』

2. 멜로드라마 형식의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라마는 크게 네 가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우연, 복선이다. 우연과 복선이라는 장치를 통해 장기적으로 드라마가 나아갈 스토리를 얻는다. 다만 우연과 복선은 지나쳐서는 안 되며, 스토리의 진행에 도움이 되는, 계획된 우연이어야만 한다. 둘째는 선과 악 혹은 사람 간의 대립이다. 선과 악을 멜로드라마에 필수 요소로 보는 경향이 짙었으나 요즘은 절대적인 선과 악의 대립보다 사람과 사람 간의 대립을 멜로드라마의 주제로 많이 쓰고 있다. 셋째는 선택이다. 선택에 의해 드라마가 전환점을 돌게 된다. 넷째, 해피앤딩 혹은 권선징악적 결말이 많이 나온다. 즉, 멜로드라마의 주인공들이 행복한 삶을 사는 결말과 함께 권선징악이 나타나기도 한다. 요즘은 둘 중 하나만 나타나기도 하며, 열린 결말로 끝을 맺기도 한다.
3. 참고문헌
박성호, 2020, 「《매일신보》소재 번안소설 속 여성인물의 신경쇠약과 화병의 재배치 -「쌍옥루」와 「장한몽」을 중심으로 -」, 『어문논집』제89권.
최지현, 2013, 『한국 근대 번안소설 연구-민태원의 「애사」(哀史)를 중심으로 -』,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영, 2010, 『한국의 근대 번역 및 번안 소설사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문경, 2009, 『우보(牛步) 민태원(閔泰瑗)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용선, 2004, 「번안과 번역사이 혹은 이야기에서 소설로 가는 길 - 이상협의 『뎡부원』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제5권 제1호.
박진영, 2004, 「일재(一齋) 조중환(趙重桓)과 번안소설의 시대」, 『민족문학사연구』제26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5.02.20
  • 저작시기202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6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