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우수독후감 요약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리주의] 우수독후감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총론
제2장 공리주의란 무엇인가
제3장 공리의 원리의 궁극적 제재에 대하여
제4장 공리의 원리는 어떤 증명을 내놓을 수 있는가?
제5장 정의와 공리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본문내용

으로 요구되는 몇몇 일반적 격률을 무시하는 것이 불가피하기는 하지만, 다른 어떤 것보다 더 강력한 구속력을 지니는 특정한 도덕적 요구를 지칭한다. 그래서 어떤 사람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어쩔 수 없다면, 힘으로라도 필요한 양식이나 약을 구하거나 훔치는 것 또는 병을 치료할 수 있는 단 한 사람의 전문의를 납치해서 강제로라도 환자를 돌보게 하는 것은 용인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렇게 하는 것이 사람의 도리다.
우리가 덕스럽지 않은 것을 정의라고 부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의가 어떤 다른 도덕적 원리를 위해 포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정의지만, 다른 도덕적 원리에 비추어볼 때 특정 상황에서는 정의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정의라는 개념은 결코 공리주의 윤리학에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는다.
▣ 더 깊이 있게 알기 위하여 - 밀의 최대 행복의 원리
밀은 ‘우리 삶에서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할 기준’을 둘러싼 논쟁이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타개책이 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효용에 바탕을 둔 이론이 근본 원리나 법칙, 즉 모든 도덕의 뿌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공리주의는 효용과 최대 행복 원리를 도덕의 기초로 삼는 이론이다. 밀은 행복을 제외하면 사람이 진정 갈망하는 것은 없다는 확신 아래, 어떤 행동이든 행복을 증진시킬수록 옳은 것이 되고 행복과 반대되는 것을 낳을수록 옳지 못한 것이 된다는 주장을 편다. 여기서 행복이란 쾌락, 그리고 고통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인간의 삶에서 그 자체로 즐거움을 주거나 고통을 피하게 해주는 수단이 아니라면 어떤 것도 좋은 것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와 쾌락이야말로 목적으로서 바람직한 유일한 것이 된다. 이것이 공리주의의 핵심 명제다.
밀은 이처럼 행복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을 효용이라고 부르면서, 이 기준에 따라서 도덕률을 확립하고자 했다. 어떤 행위든 행복을 증진시켜 주면, 즉 쾌락을 늘려주거나 고통을 줄여주면 정당한 것이 되고, 그 반대면 나쁜 것이 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흔히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고귀하게 여긴다.
그러나 공리주의자들은 생각이 조금 다르다. 희생 그 자체가 선한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거나 행복하게 만드는 수단을 증대시켜주는 등, 행복의 전체 양을 증진시키지 않는 희생이란 쓸데없는 허비라고 보는 것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2.22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6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