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의 개념과 관계
(1) 순수실험설계
(2) 사전실험설계
2)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 저해요소
(1) 내적타당도 저해요소
(2) 외적타당도 저해요소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의 개념과 관계
(1) 순수실험설계
(2) 사전실험설계
2)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 저해요소
(1) 내적타당도 저해요소
(2) 외적타당도 저해요소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준비하고 자격증을 취득한 후 이직을 하려고 했지만 사회적 작용으로 인해 취직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다. 선발요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결과 차이가 잘못된 선정으로 인해서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우울증 프로그램에 우울증 증상이 없는 대상자가 포함이 된 경우다.
라. 상실요인
프로그램 참여자가 상실하여 프로그램 진행에 어려움이 있거나 남은 참여자에게 심리적인 영향이 미쳐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초등학교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중 대상자가 전학을 가는 경우를 말한다.
마. 검사요인
사전 검사가 사후 검사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똑같은 시험지를 시간이 지나 반복 검사를 한 경우 시험지 내용에 익숙해져서 능력과 관계없이 사후 검사에 영향을 준다.
바. 도구요인
두 번 이상의 검사를 하였을 때 검사 도구에 의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주관식 시험으로 본 경우에 채점자의 평가 기준이 다른 경우이다.
사. 통계적 회기
사전 검사의 극단적인 값이 나온 경우에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보다 더욱 좋거나 나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사전 검사에서 매우 좋다와 매우 싫다는 다 선택한 경우 다음에는 사후 검사에서 매우 좋다보다 더욱 좋은 점수가 나올 수 없으며, 매우 싫다를 선택한 경우 매우 싫다보다 더 나쁜 점수가 나올 수 없다.
아. 모방
실험 집단의 실험 내용이 통제 집단에게 전파가 되어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한 유치원에서는 한글을 가르치고, 다른 유치원에서는 가르치지 않았지만 첫 번째 유치원 아이들이 다른 유치원 아이들을 만나 한글을 학습하는 경우이다.
(2) 외적타당도 저해요소
일반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진다고 하면, 외적 타당도는 낮아진다.
3. 결론
종합적으로 본인의 생각을 논하자면, 사회복지를 조사하는 것에 있어 본론에서 언급한 실험설계들은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좋은 방법이며, 가능한 다른 변수들은 영향을 주지 않게 환경을 만들고, 그 안에서 독립변수,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알고자 하는 방법으로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생각의마을 저,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17
2) 이봉재 저, 사회복지조사론, 신정, 2016
3) 김기덕 저, 사회조사론, 박영스토리, 2016
다. 선발요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결과 차이가 잘못된 선정으로 인해서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우울증 프로그램에 우울증 증상이 없는 대상자가 포함이 된 경우다.
라. 상실요인
프로그램 참여자가 상실하여 프로그램 진행에 어려움이 있거나 남은 참여자에게 심리적인 영향이 미쳐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초등학교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중 대상자가 전학을 가는 경우를 말한다.
마. 검사요인
사전 검사가 사후 검사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똑같은 시험지를 시간이 지나 반복 검사를 한 경우 시험지 내용에 익숙해져서 능력과 관계없이 사후 검사에 영향을 준다.
바. 도구요인
두 번 이상의 검사를 하였을 때 검사 도구에 의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주관식 시험으로 본 경우에 채점자의 평가 기준이 다른 경우이다.
사. 통계적 회기
사전 검사의 극단적인 값이 나온 경우에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보다 더욱 좋거나 나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사전 검사에서 매우 좋다와 매우 싫다는 다 선택한 경우 다음에는 사후 검사에서 매우 좋다보다 더욱 좋은 점수가 나올 수 없으며, 매우 싫다를 선택한 경우 매우 싫다보다 더 나쁜 점수가 나올 수 없다.
아. 모방
실험 집단의 실험 내용이 통제 집단에게 전파가 되어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한 유치원에서는 한글을 가르치고, 다른 유치원에서는 가르치지 않았지만 첫 번째 유치원 아이들이 다른 유치원 아이들을 만나 한글을 학습하는 경우이다.
(2) 외적타당도 저해요소
일반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진다고 하면, 외적 타당도는 낮아진다.
3. 결론
종합적으로 본인의 생각을 논하자면, 사회복지를 조사하는 것에 있어 본론에서 언급한 실험설계들은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좋은 방법이며, 가능한 다른 변수들은 영향을 주지 않게 환경을 만들고, 그 안에서 독립변수,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알고자 하는 방법으로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생각의마을 저,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17
2) 이봉재 저, 사회복지조사론, 신정, 2016
3) 김기덕 저, 사회조사론, 박영스토리, 2016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론 중간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인과관계의 추론을 위한 3가지 요건,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10 실험설계의 종류
전실험조사설계와 유사실험조사설계의 특징과 종류
조사설계 연구디자인의 전제조건
실험조사설계의 유형
[사회복지조사론] 조사문제와 연구디자인(인과관계의 개념, 인과관계의 확인) 및 연구 디자인...
[사회복지조사론] 실험조사설계의 타당도 -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의 의의와 저해요인 및 ...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의 관계와 저해요소에 관한 사례 제시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의 저해요인을 설명하고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를 높이는 방법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