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_구어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_구어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Brown의 말하기 특성 8가지
(2) 구어의 문법적 특징
(3) 구어의 공적 및 사적 특징
(4) 구어와 문어의 차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체와 종결어미가 사용되는데 친근함을 나타낸다. 상황에 따라서는 구어에서 격식체, 비격식체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③ 구어 텍스트 종결어미에서 ‘습니다’는 사적인 상황에서 물건을 사고 팔 때 사용하고 해체나 해요체가 아닌 ‘여기 있습니다, 고맙습니다’처럼 관습적으로 굳어진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리다’와 같은 존대 표현은 격식체인 합쇼체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에 토론과 같은 상황에서는 ‘어’가 사용된 어휘 다발을 보면 화자가 청자에게 이해됐는지를 반문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구어와 문어의 차이 구어의 특징과 구조, 이해영, 이화여자대학교
언어는 의사소통의 매개 수단에 따라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로 구분된다. 화자가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음성적 기호를 사용하는 것을 구어라고 하고 글쓴이가 문자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시각적 기호를 사용하면 문어이다. 구어와 문어는 각 국의 언어에서 몇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한국어도 예외는 아니다.
구어는 상대적으로 덜 다듬어진 것 같아 보이고 논리적 구조도 짜임새 있게 연결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구조적으로 보면 연결 어미로 연결되어 있고 군말이 섞여 있다. 음성으로 의사가 전달될 때 말의 중간에 휴지가 삽입되면 문장이 끝난 것으로 해석된다. 구어는 문법적 구조를 철저하게 따르는 편이 아닌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과한 비약 혹은 비논리적인 의사 표현을 하게 되면 청자는 화자가 횡설수설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구어에도 일정한 질서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구어 자체를 무질서하고 잘못된 언어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 연구자들은 구어의 질서와 규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구어는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외국인들 사이에서도 한국어의 구어 학습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구어에 대한 특징과 구조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문어는 구어와는 반대로 규칙과 질서가 정해져있고 논리적 구조를 중시한다. 구어의 바탕에는 문어의 올바른 쓰임이 자리 잡고 있다.
3. 결론
구어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축약과 생략이 많은 것이 구어의 특징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다. 구어는 때로는 세대와 세대를 구분 짓는 특징을 갖기도 한다. 세대 간 구어적 표현이 달라서 각 세대가 서로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구어에 은어와 약어가 많이 사용되면서 세대 차이를 느끼게 하기도 한다. 문자 언어에서는 위와 같은 현상이 구어보다 덜 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구어의 활용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1) 말하기의 특성(구어의 7가지 특징),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quanquan686/60172138347
(2) 한국어 구어의 특징, 노대규(1996)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구어 문체 특징 연구: 핵심어 분석 활용,
전지은, 연세대학교
(4) 구어의 특징과 구조, 이해영, 이화여자대학교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2.26
  • 저작시기202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7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