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건강간호학 / 위궤양 / gastric ulcer / 진단5 과정2 중재21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건강간호학 / 위궤양 / gastric ulcer / 진단5 과정2 중재2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위궤양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도구(NANDA 인간반응양상 중심)
2. 임상병리검사
3. 진단적 검사
4. 약물조사
5. 간호진단 목록
6.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함
- 질환의 원인과 병태생리, 합병증, 치료방법들을 설명하였다.
위궤양의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헬리코박터균)의 감염, 비스테로이드소염제 복용, 흡연 등이 대표적이다.
위궤양이 치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궤양이 점막을 뚫어서 장천공이 생기기도 하며, 궤양 부위의 부종과 염증으로 인해 위장에서 음식이 나가지 못하는 위출구 폐색이 나타나기도 한다.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치료는 2가지 이상의 항생제와 위산 억제제를 포함하여 1~2주간 복용한다.
3-2.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2023.07.24. 17:00 교육
-2023.07.25. 17:00 교육
심호흡을 하도록 설명한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격려한다.
- 무릎 밑에 베개를 두고, 옷을 느슨하게 한 뒤, 편안하게 누운 자세에서 20초간 다리에 힘을 준다. 그리고 1에서 30까지 세면서 최다한 다리의 힘을 푼다. 이런 방법을 팔, 어깨, 몸통 등에 고루 적용하면 된다.
- 이완요법은 불안장애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다
3-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호출벨은 손이 닿는 범위 내에 비치하도록 하였고, 호출벨을 켜고 끄는 방법,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하루에 한 번 교육하였다.
07/24, 14:00
07/25, 14:00
07/26, 14:00
호출벨 교육



간호 평가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이완요법에 대해 두 가지 이상 얘기한다.
→ 2023.07.25. 16:00 대상자에게 이완 요법을 질문하자 “심호흡이랑 긍정적인 생각!” 라고 대답하였다. (목표달성)
2.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불안해 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현재 불안해 하는 모습이 없으나 아직 퇴원하지 않았다. (측정불가)
-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근육이완요법을 직접해 볼 수 있다.
→ 2023.07.24. 17:00 대상자는 침상에 누워 교육한 순서대로 근육이완법을 실시함. (목표달성)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자가평가 불안척도(BAI)가 불안이 없는 21점 이하로 달성한다.
→ 2023.07.24 28점, 2023.07.25 20점이 나왔다. (목표달성)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긍적적으로 표현한다.
→ 2023.07.25. 17:00 대상자에게 건강상태에 대해 물어보자 “ 많이 나아졌어. 간호사 선생님이 설명을 잘 해주셔서 이제 덜 불안해 얼른 나을 수 있겠어.” 라고 대답하였다. (목표달성)
Ⅲ. 결론
위궤양에 대한 점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소화성궤양의 진단 방법에는 상부 위장관 조영술 검사와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 조직진단, 헬리코박터 감염 진단법이 있으며,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가 위궤양의 가장 표준적인 검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화성궤양을 가진 환자들은 통증, 오심과 구토, 출혈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중요한 위험인자에는 헬리코박터균과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가 있다. 헬리코박터균이 소화성궤양의 주된 원인인 만큼 헬리코박터균의 제균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치유뿐만 아니라 재발방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소화성궤양의 치료는 항궤양 약제의 투여가 주되며, 헬리코박터 감염일 경우 헬리코박터균의 제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위궤양이 합병증이 없으면 가정에서 약물로 치료하기 때문에 환자의 생활습관 관리 및 교육 역시 중요하다.
간호사들은 소화성궤양을 가진 환자들에게 통증완화 및 불안완화에 대한 간호를 제공해야하며, 투약과 음식 등에 대한 대상자 교육도 신경 써야 한다. 따라서 의료인들은 소화성궤양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수적이며, 치료에 대한 개념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환자-간호사와의 관계 같은 정서적인 면도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일차의료인으로서 환자의 증상에 대해 공감하며 지속적인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겠고, 소화성궤양에 대한 깊은 지식이 요구된다.
이번 케이스를 통해서 알게 된 점은 대상자가 병에 대한 정보가 없고 병원의 낯선 환경과 그전에 수술을 하며 좋지 않았던 기억 등으로 인해서 많은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케이스의 대상자가 불안해서 어쩔 줄 모르는 모습을 보며 병을 치료하는 것 만이 아닌 불안을 위해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도록 도우며 질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실습을 경험하면서 이젠 병원이 어떤 곳인지 어떻게 돌아가는지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었고 많은 것을 알았지만 더 알고 나니 부서마다 병원마다 과마다 공부하고 알아야 할 것 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던 실습이었다. 소화성 궤양은 3학년 1학기 성인간호학에서 공부했기 때문에 이론으로도 배우고 임상에서 직접 환자를 보며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Ⅳ. 참고문헌
저자
년도
교재명 및 인터넷주소
페이지
출판사명
1.
윤은자 외 공저
2022
성인간호학Ⅰ
P433-P442
수문사
2.
서울아산병원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2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3.
삼성서울병원
-
http://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f2&CONT_SRC=CMS&CONT_ID=1212&CONT_CLS_CD=001020001012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삼성서울병원
4.
송경애 외 공저
2022
최신기본간호학Ⅰ
p37-p133
간호과정
수문사
5.
송경애 외 공저
2022
최신기본간호학Ⅱ
p443-p456
휴식과 수면
수문사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정보분석실, 정보전략분석팀
2014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8791#none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도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7
성미혜 외 공저
2022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p1-p196
수문사
  • 가격2,5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25.02.28
  • 저작시기202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7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