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Patient Information ••••••••••••••••••••1
Ⅱ. 간호상황, 간호중재, 준비물, 역할•••••••••••••••2
Ⅲ. 시나리오 대본•••••••••••••••••••••••3
#1 대상자의 상태를 발견하는 장면•••••••••••••••3
#2 station에서 담당의사에게 notify••••••••••••••5
#3 대상자에게 nasal cannula 수행••••••••••••••6
#4 대상자에게 IV 수행••••••••••••••••••••8
Ⅰ. Patient Information ••••••••••••••••••••1
Ⅱ. 간호상황, 간호중재, 준비물, 역할•••••••••••••••2
Ⅲ. 시나리오 대본•••••••••••••••••••••••3
#1 대상자의 상태를 발견하는 장면•••••••••••••••3
#2 station에서 담당의사에게 notify••••••••••••••5
#3 대상자에게 nasal cannula 수행••••••••••••••6
#4 대상자에게 IV 수행••••••••••••••••••••8
본문내용
하겠습니다. 비강에 관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겠습니다.
보호자: (걱정하는 표정을 지으며) 많이 낮은가요..?
간호사2: 산소포화도는 95~100%가 정상입니다. 혈액 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산소를 투여하라는 처방이 있었습니다.
보호자: 네 알겠습니다
간호사2: 산소를 투여하는 중에는 불이 잘 붙을 수 있어 주의하셔야하고 정전기가 날 수 있는 물건도 금지해 주세요. 지금 시행하겠습니다.
간호사2: 숨을 쉬기 더 편하도록 침대 머리를 올려드릴게요. 불편하시면 말씀해주세요 (침대 머리를 올린다)
비강캐뉼라 핵심술기
9. 유량계와 습윤병을 연결한 후 중앙 공급체계 벽에 산소 유량계를 꽂는다.
10. 습윤병에 있는 산소장치 출구와 비강캐뉼라를 연결한다.
11. 대상자에게 연결하기 전에 비강캐뉼라를 통해 산소가 나오는지 확인한 후 유량계를 잠근다.
12. 대상자 비공의 폐색 여부를 확인한다.
- 대사: 제가 코를 한쪽씩 막으면 숨을 쉬어주시면 됩니다. 숨쉬기 불편하지 않으세요?
13. 캐뉼라 끝부분을 대상자의 양쪽 비강에 삽입하고 귀 뒤에 걸친 후 턱 밑에서 길이를 조절한다.
- 대사: 이제 비강에 관을 삽입하겠습니다.
※ 참고) 정기적 적용 시 패딩 적용
예) COPD, asthma 환자 등
14. 유량계를 열어 처방된 산소 흡입량을 눈높이에서 조절한다(유량기 내 Ball의 중심을 눈금에 일치시킨다.)
15. 대상자에게 가능하면 입을 다물고 코를 통해 호흡하도록 설명한다
간호사2: 입으로 호흡하면 산소가 입으로 다 나가기 때문에 가능하면 입은 다물고 코를 통해 호흡해 주세요. 이제 코를 통해 산소가 들어가고 있어서 숨쉬기 조금 편안할 거예요. 혹시 머리가 아프시거나 불편하시면 콜벨을 눌러주세요!
대상자:(눈물을 글썽이며) 네.. 저 괜찮겠죠..?
간호사2: (손을 잡으며) 네 환자분 곧 다시 수액 넣으러 다시 올게요. 환자분 상태도 계속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습니다.
대상자: 네 감사합니다.
#4 대상자에게 IV 수행
장소:202호실
(준비물: 곽소파 모형, 손소독제, 수액세트, N/S 500mL, nasal cannula, 패드, oxutocin 5u, 혈압계, 체온계, 알콜솜, pus pan, tray, tourniquet, 살색반창고, 볼펜, 팔모형, 멸균증류수, 24G 카테터, 유량계, 습윤병, wall O2, 거즈, 간호기록지,Toranzin Injection 50mg, 3-way)
간호사3: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하며) 안녕하세요. 담당간호사 000입니다. 환자분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대상자: 곽소파입니다.
간호사3: 환자분 입원 팔찌 확인하겠습니다. 네 1234 확인되셨습니다.
대상자: 네
간호사3: 자궁수축을 위해서 자궁수축제와 열을 낮추기 위한 해열제를 투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맥에 바늘을 꽂아서 혈관 내로 약을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정맥수액주입 핵심술기
12. 침상 옆의 수액 걸대에 수액백을 걸고 수액세트의 끝을 대상자에게 주사할 부위 가까이에 둔다.
13.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팔을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정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14. 정맥 상태가 양호한 부위보다 12~15cm 위쪽을 지혈대로 묶어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보다 정맥이 곧고 길게 두드러진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15. 손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16. 천자할 정맥을 정하고 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8cm 정도 둥글게 닦는다.
17. 정맥 천자할 부위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분의 피부를 한 손 엄지손가락으로 팽팽히 잡아당긴 다음 다른 손으로 카테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고 15~30 도 혈류 방향을 따라 카테터를 정맥 내로 삽입한다.
18. 카테터 내로 혈액이 역류되면 카테터의 중심부를 잡고 카테터의 삽입각도를 약간 낮추면서 카테터를 혈관으로 진입시키면서 카테터 길이만큼 탐침을 조금씩 빼낸다.
19. 카테터가 완전히 삽입된 후 카테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지혈대를 푼다.
20. 한 손으로 혈관 내로 삽입된 카테터의 끝 부위를 눌러주면서 다른 손으로 탐침을 재빨리 제거한다.
21. 탐침을 제거한 후 바로 수액세트의 튜브를 카테터의 중심부와 연결하여 혈액이 카테터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22. 한 손으로 카테터 삽입 부분을 고정하듯 잡으면서 다른 손으로는 수액세트의 조절기를 조절하며 통증 등의 침윤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 대사: (카테터 삽입 부분 침윤 증상, 발적 등 관찰하며) 이제 수액 들어가고 있는데, 아프거나 발적, 부종이 일어나거나 하면 이상 증상이므로 간호사실에 꼭 말씀 해 주세요.
23. 카테터에서 손을 떼어도 카테터 삽입 부분이 꺾이지 않도록 수액 주입관을 안정적 위치에 놓은 후 반창고나 투명드레싱으로 카테터 삽입부위를 고정한다.
24. 처방에 따라 주입하는 수액의 속도를 조절한다.
간호사3: 주사되는 자궁 수축제의 부작용으로는 조이는 듯한 복통, 구토, 흉통, 두통, 복통,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증상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대상자: 네 감사합니다.
간호사3: 환자분 자궁저부마사지를 해드리면서 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게요
대상자: 네
간호사3: 등을 대고 누워 발을 모으고 무릎을 세운 뒤에 한 손은 자궁 저부 배꼽 쪽의 자궁이 만져지는 부분에 손을 올리고, 다른 한 손은 치골 상부에 손을 올리고 자궁 저부가 단단해지는 것이 느껴질 때까지 둥글게 마시지 해줘야 하는데 환자분은 주수가 많지 않아 자궁 저부가 느껴지시지는 않을 거예요. 11주 차에는 치골상부 정도에 있을 테니 그쪽을 계속 마사지해주세요!
대상자:(아파하며) 네. 이렇게 하는 게 맞나요?
간호사3:너무 강하게는 하지 마시고요!
대상자: 네!
간호사3: 그리고 마사지를 한 뒤 나오는 분비물에 악취가 나거나 이상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자궁 수축 약도 들어가고 있지만 자궁마사지도 같이 하시는 것이 좋아요.
대상자: 네 감사합니다.
간호사3: 더 궁금하신 거는 없으신가요?
대상자: 네
간호사3: 조금 있다가 다시 상태 확인하러 오겠습니다~
보호자: (걱정하는 표정을 지으며) 많이 낮은가요..?
간호사2: 산소포화도는 95~100%가 정상입니다. 혈액 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산소를 투여하라는 처방이 있었습니다.
보호자: 네 알겠습니다
간호사2: 산소를 투여하는 중에는 불이 잘 붙을 수 있어 주의하셔야하고 정전기가 날 수 있는 물건도 금지해 주세요. 지금 시행하겠습니다.
간호사2: 숨을 쉬기 더 편하도록 침대 머리를 올려드릴게요. 불편하시면 말씀해주세요 (침대 머리를 올린다)
비강캐뉼라 핵심술기
9. 유량계와 습윤병을 연결한 후 중앙 공급체계 벽에 산소 유량계를 꽂는다.
10. 습윤병에 있는 산소장치 출구와 비강캐뉼라를 연결한다.
11. 대상자에게 연결하기 전에 비강캐뉼라를 통해 산소가 나오는지 확인한 후 유량계를 잠근다.
12. 대상자 비공의 폐색 여부를 확인한다.
- 대사: 제가 코를 한쪽씩 막으면 숨을 쉬어주시면 됩니다. 숨쉬기 불편하지 않으세요?
13. 캐뉼라 끝부분을 대상자의 양쪽 비강에 삽입하고 귀 뒤에 걸친 후 턱 밑에서 길이를 조절한다.
- 대사: 이제 비강에 관을 삽입하겠습니다.
※ 참고) 정기적 적용 시 패딩 적용
예) COPD, asthma 환자 등
14. 유량계를 열어 처방된 산소 흡입량을 눈높이에서 조절한다(유량기 내 Ball의 중심을 눈금에 일치시킨다.)
15. 대상자에게 가능하면 입을 다물고 코를 통해 호흡하도록 설명한다
간호사2: 입으로 호흡하면 산소가 입으로 다 나가기 때문에 가능하면 입은 다물고 코를 통해 호흡해 주세요. 이제 코를 통해 산소가 들어가고 있어서 숨쉬기 조금 편안할 거예요. 혹시 머리가 아프시거나 불편하시면 콜벨을 눌러주세요!
대상자:(눈물을 글썽이며) 네.. 저 괜찮겠죠..?
간호사2: (손을 잡으며) 네 환자분 곧 다시 수액 넣으러 다시 올게요. 환자분 상태도 계속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습니다.
대상자: 네 감사합니다.
#4 대상자에게 IV 수행
장소:202호실
(준비물: 곽소파 모형, 손소독제, 수액세트, N/S 500mL, nasal cannula, 패드, oxutocin 5u, 혈압계, 체온계, 알콜솜, pus pan, tray, tourniquet, 살색반창고, 볼펜, 팔모형, 멸균증류수, 24G 카테터, 유량계, 습윤병, wall O2, 거즈, 간호기록지,Toranzin Injection 50mg, 3-way)
간호사3: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하며) 안녕하세요. 담당간호사 000입니다. 환자분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대상자: 곽소파입니다.
간호사3: 환자분 입원 팔찌 확인하겠습니다. 네 1234 확인되셨습니다.
대상자: 네
간호사3: 자궁수축을 위해서 자궁수축제와 열을 낮추기 위한 해열제를 투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맥에 바늘을 꽂아서 혈관 내로 약을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정맥수액주입 핵심술기
12. 침상 옆의 수액 걸대에 수액백을 걸고 수액세트의 끝을 대상자에게 주사할 부위 가까이에 둔다.
13.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팔을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정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14. 정맥 상태가 양호한 부위보다 12~15cm 위쪽을 지혈대로 묶어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보다 정맥이 곧고 길게 두드러진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15. 손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16. 천자할 정맥을 정하고 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8cm 정도 둥글게 닦는다.
17. 정맥 천자할 부위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분의 피부를 한 손 엄지손가락으로 팽팽히 잡아당긴 다음 다른 손으로 카테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고 15~30 도 혈류 방향을 따라 카테터를 정맥 내로 삽입한다.
18. 카테터 내로 혈액이 역류되면 카테터의 중심부를 잡고 카테터의 삽입각도를 약간 낮추면서 카테터를 혈관으로 진입시키면서 카테터 길이만큼 탐침을 조금씩 빼낸다.
19. 카테터가 완전히 삽입된 후 카테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지혈대를 푼다.
20. 한 손으로 혈관 내로 삽입된 카테터의 끝 부위를 눌러주면서 다른 손으로 탐침을 재빨리 제거한다.
21. 탐침을 제거한 후 바로 수액세트의 튜브를 카테터의 중심부와 연결하여 혈액이 카테터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22. 한 손으로 카테터 삽입 부분을 고정하듯 잡으면서 다른 손으로는 수액세트의 조절기를 조절하며 통증 등의 침윤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 대사: (카테터 삽입 부분 침윤 증상, 발적 등 관찰하며) 이제 수액 들어가고 있는데, 아프거나 발적, 부종이 일어나거나 하면 이상 증상이므로 간호사실에 꼭 말씀 해 주세요.
23. 카테터에서 손을 떼어도 카테터 삽입 부분이 꺾이지 않도록 수액 주입관을 안정적 위치에 놓은 후 반창고나 투명드레싱으로 카테터 삽입부위를 고정한다.
24. 처방에 따라 주입하는 수액의 속도를 조절한다.
간호사3: 주사되는 자궁 수축제의 부작용으로는 조이는 듯한 복통, 구토, 흉통, 두통, 복통,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증상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대상자: 네 감사합니다.
간호사3: 환자분 자궁저부마사지를 해드리면서 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게요
대상자: 네
간호사3: 등을 대고 누워 발을 모으고 무릎을 세운 뒤에 한 손은 자궁 저부 배꼽 쪽의 자궁이 만져지는 부분에 손을 올리고, 다른 한 손은 치골 상부에 손을 올리고 자궁 저부가 단단해지는 것이 느껴질 때까지 둥글게 마시지 해줘야 하는데 환자분은 주수가 많지 않아 자궁 저부가 느껴지시지는 않을 거예요. 11주 차에는 치골상부 정도에 있을 테니 그쪽을 계속 마사지해주세요!
대상자:(아파하며) 네. 이렇게 하는 게 맞나요?
간호사3:너무 강하게는 하지 마시고요!
대상자: 네!
간호사3: 그리고 마사지를 한 뒤 나오는 분비물에 악취가 나거나 이상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자궁 수축 약도 들어가고 있지만 자궁마사지도 같이 하시는 것이 좋아요.
대상자: 네 감사합니다.
간호사3: 더 궁금하신 거는 없으신가요?
대상자: 네
간호사3: 조금 있다가 다시 상태 확인하러 오겠습니다~
추천자료
자궁근종(myoma) 간호과정 적용 사례 보고서(Case Study)
갑상선 절제술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핵심간호 시뮬레이션 (대본 포함)
[간호과정론] 2020년 기말시험(온라인평가) 문제
성인간호학 천식환자 시나리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모성간호학 배뇨곤란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실습 성찰일지
아동간호학 비효율적 호흡양상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실습 성찰일지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담낭절제술 수술전간호
지역사회간호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 러닝 running 시나리오 대본
성인간호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러닝 running 시나리오 대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