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초기환자상태 설정
3. 실습 전 학생 준비 사항
4. 연계된 핵심간호술기
5. 환자의 임상병리검사결과 및 검사결과
6. 시나리오 진행 사항
7. 시나리오 의사 처방지
8. 시나리오상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과정 제시
2. 초기환자상태 설정
3. 실습 전 학생 준비 사항
4. 연계된 핵심간호술기
5. 환자의 임상병리검사결과 및 검사결과
6. 시나리오 진행 사항
7. 시나리오 의사 처방지
8. 시나리오상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과정 제시
본문내용
자기 죽을까봐 불안해요.
간호사1: 숨이 안 쉬어질까봐 많이 불안하시군요. 현재 호흡, 맥박, 혈압이 안정되었으니까 안심하셔도 됩니다.
퇴원 후에 천식 발작이 발생한다면 일단, 편안히 앉아 안정을 취합니다. 혹시 조이는 옷을 입었다면 옷을 풀어
숨쉬기 용이하게 만들어주세요. 이후 처방된 증상 완화제를 흡입해 주세요. 기관지 확장제를 가볍게 3~4회 흔들 고 직접 또는 스페이서(흡입보조기구)에 끼운 후, 먼저 숨을 내쉬게 하고 약물통을 세게 누르면서 약을 천천히 들 여 마시고, 약 3~5초간 숨을 참은 후 내쉬면 됩니다.
나천식, 보호자 : 네 선생님 감사합니다.
7. 시나리오 의사 처방지
환자이름
나천식
입원일
2020년 9월 16일
진료번호
2019000000
성별/나이
M / 37
진단명
asthma attack
키/체중
174cm / 85kg
날짜
처방내역
수행시간
간호사 사인
09/16
10:30
Saturation apply
10:40
간호사1
Pulse Oximeter monitoring q 15min
10:41
- 16:15
간호사1
v/s q 1hr
10:42
16:15
간호사1
10:45
O2 supply 4L via simple facialmask
10:50
간호사1
ventolin 1amp(2.5ml) MDI stat
10:53
간호사1
Nacl 0.9% 1L IV stat
11:10
간호사1
prn) Saturation 88% 미만 시
Aminophylline 1amp (250mg/10ml) mix IV
Prednisolone 50mg IV side shooting
11:20
간호사1
prn) Aminophylline 1amp 투여 시
EKG apply
11:22
간호사1
CBC
11:09
간호사1
11:15
ABGA
11:15
의사
11:30
CHEST AP
11:30
방사선사
11:35
f/u ABGA 13:15
간호사1
8. 시나리오상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과정 제시
S.O data
간호진단
목표계획
중재
S.data
“숨쉬기 힘들어요”
“기침이 심해요”
“가슴이 답답해요”
O.data
CC : Dyspnea(+), Cough(+), wheezing (+, 좌측폐하엽)
청색증 증상이 나타남.
입원당시 V/S: 맥박 수 120회/min, 호흡 수 32회/min, SpO2: 85%
ABGA 결과
검사 항목
결과
pH, Blood
▼ 7.28
PO2, Blood
▼74.10
PCO2, Blood
▲ 47.0
O2 Saturation, Blood
▼ 85%
- 빠르고 얕은 호흡 양상
- 호흡보조근을 사용 중
- 증상 악화로 인해 불안해함.
- PEF : 60%
기도폐쇄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24시간안에 호흡곤란 없이 숨쉬기 편안하다고 말로 표현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ABGA 결과가 정상치에 도달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호흡 수가 20회/min 미만, SpO2가 95%이상을 유지한다.
장기 목표
1. 대상자는 7일안에 천식 증상 조절 방법을 알고 사용할 수 있다.
v/s를 1시간에 한 번씩 측정한다.
호흡수와 호흡형태, 산소포화도, 호흡 보조근 사용 여부 등을 1시간마다 사정한다.
ABGA 결과, 저산소증 또는 과탄산증 증상을 규칙적으로 관찰한다.
피부, 손톱, 입술 등의 청색증 증상을 1시간마다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 albuterol(Ventolin)를 투여한다.
처방에 따라 저유량 산소요법(24~32%)을 실시한다. (O2 4L/min 단순마스크)
처방에 따라 MDI를 사용하는 방법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기침하는 방법, 심호흡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숨을 쉬기 힘든 경우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반좌위)를 취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보호자가 대상자 옆에 머무르면서 대상자가 불안하지 않게 하도록 설명한다.
S.O data
간호진단
목표계획
중재
S.data
“가만히 있어도 숨이 찬데 조금만 움직여도 더 힘들어요.”
“조금만 움직여도 너무 피곤해요.”
“이렇게 가만히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힘든데 제가 뭘 할 수 있을까요.”
O.data
CC:Dyspnea(+), wheezing (+)
청색증 증상이 나타남.
입원당시 V/S: 맥박 수 120회/min, 호흡 수 32회/min, SpO2: 85%
호흡음: 좌측폐하엽 wheezing sound 들림.
빠르고 얕은 호흡 양상
호흡보조근을 사용 중.
누워있지 못하고 앉아있음.
호흡곤란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간단한 활동을 하여도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활동을 하는 동안 호흡수가 20회/min 미만, SpO2가 95%이상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호흡곤란 증상 발생 시 증상조절을 할 수 있다.
장기 목표
1.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활동의 지속성이 증가하여 현실적인 활동 수준을 유지한다.
활동 시와 활동 후에 호흡곤란의 정도와 산소포화도를 관찰한다.
필요시 보조적인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O2 4L/min 단순마스크)
호흡요법 또는 투약 후 능동적인 운동을 하도록 계획한다.
일상생활과 운동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계획(신발을 쉽게 신고 벗는법, 단추가 적게 있고 조이지 않는 옷을 입기)을 하도록 돕는다.
대상자에게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는 활동(흡연)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산소 장비를 사용하는 법과 산소 요구량을 확인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활동 시 입을 오므리고 호흡하는 횡경막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출처 :
김영주 외(2018). 표준화된 간호시뮬레이션교육. 서울: 현문사
대한 천식알레르기 협회 (한국 천식자료 지침)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제 6판 상권. 현문사, pp. 578-58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산소치료를 위한 건강정보 http://www.macjinmedical.com/new/cure/information_02.asp
박은영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p. 103-104.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천식)
간호사1: 숨이 안 쉬어질까봐 많이 불안하시군요. 현재 호흡, 맥박, 혈압이 안정되었으니까 안심하셔도 됩니다.
퇴원 후에 천식 발작이 발생한다면 일단, 편안히 앉아 안정을 취합니다. 혹시 조이는 옷을 입었다면 옷을 풀어
숨쉬기 용이하게 만들어주세요. 이후 처방된 증상 완화제를 흡입해 주세요. 기관지 확장제를 가볍게 3~4회 흔들 고 직접 또는 스페이서(흡입보조기구)에 끼운 후, 먼저 숨을 내쉬게 하고 약물통을 세게 누르면서 약을 천천히 들 여 마시고, 약 3~5초간 숨을 참은 후 내쉬면 됩니다.
나천식, 보호자 : 네 선생님 감사합니다.
7. 시나리오 의사 처방지
환자이름
나천식
입원일
2020년 9월 16일
진료번호
2019000000
성별/나이
M / 37
진단명
asthma attack
키/체중
174cm / 85kg
날짜
처방내역
수행시간
간호사 사인
09/16
10:30
Saturation apply
10:40
간호사1
Pulse Oximeter monitoring q 15min
10:41
- 16:15
간호사1
v/s q 1hr
10:42
16:15
간호사1
10:45
O2 supply 4L via simple facialmask
10:50
간호사1
ventolin 1amp(2.5ml) MDI stat
10:53
간호사1
Nacl 0.9% 1L IV stat
11:10
간호사1
prn) Saturation 88% 미만 시
Aminophylline 1amp (250mg/10ml) mix IV
Prednisolone 50mg IV side shooting
11:20
간호사1
prn) Aminophylline 1amp 투여 시
EKG apply
11:22
간호사1
CBC
11:09
간호사1
11:15
ABGA
11:15
의사
11:30
CHEST AP
11:30
방사선사
11:35
f/u ABGA 13:15
간호사1
8. 시나리오상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과정 제시
S.O data
간호진단
목표계획
중재
S.data
“숨쉬기 힘들어요”
“기침이 심해요”
“가슴이 답답해요”
O.data
CC : Dyspnea(+), Cough(+), wheezing (+, 좌측폐하엽)
청색증 증상이 나타남.
입원당시 V/S: 맥박 수 120회/min, 호흡 수 32회/min, SpO2: 85%
ABGA 결과
검사 항목
결과
pH, Blood
▼ 7.28
PO2, Blood
▼74.10
PCO2, Blood
▲ 47.0
O2 Saturation, Blood
▼ 85%
- 빠르고 얕은 호흡 양상
- 호흡보조근을 사용 중
- 증상 악화로 인해 불안해함.
- PEF : 60%
기도폐쇄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24시간안에 호흡곤란 없이 숨쉬기 편안하다고 말로 표현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ABGA 결과가 정상치에 도달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호흡 수가 20회/min 미만, SpO2가 95%이상을 유지한다.
장기 목표
1. 대상자는 7일안에 천식 증상 조절 방법을 알고 사용할 수 있다.
v/s를 1시간에 한 번씩 측정한다.
호흡수와 호흡형태, 산소포화도, 호흡 보조근 사용 여부 등을 1시간마다 사정한다.
ABGA 결과, 저산소증 또는 과탄산증 증상을 규칙적으로 관찰한다.
피부, 손톱, 입술 등의 청색증 증상을 1시간마다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 albuterol(Ventolin)를 투여한다.
처방에 따라 저유량 산소요법(24~32%)을 실시한다. (O2 4L/min 단순마스크)
처방에 따라 MDI를 사용하는 방법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기침하는 방법, 심호흡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숨을 쉬기 힘든 경우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반좌위)를 취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보호자가 대상자 옆에 머무르면서 대상자가 불안하지 않게 하도록 설명한다.
S.O data
간호진단
목표계획
중재
S.data
“가만히 있어도 숨이 찬데 조금만 움직여도 더 힘들어요.”
“조금만 움직여도 너무 피곤해요.”
“이렇게 가만히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힘든데 제가 뭘 할 수 있을까요.”
O.data
CC:Dyspnea(+), wheezing (+)
청색증 증상이 나타남.
입원당시 V/S: 맥박 수 120회/min, 호흡 수 32회/min, SpO2: 85%
호흡음: 좌측폐하엽 wheezing sound 들림.
빠르고 얕은 호흡 양상
호흡보조근을 사용 중.
누워있지 못하고 앉아있음.
호흡곤란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간단한 활동을 하여도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활동을 하는 동안 호흡수가 20회/min 미만, SpO2가 95%이상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호흡곤란 증상 발생 시 증상조절을 할 수 있다.
장기 목표
1.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활동의 지속성이 증가하여 현실적인 활동 수준을 유지한다.
활동 시와 활동 후에 호흡곤란의 정도와 산소포화도를 관찰한다.
필요시 보조적인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O2 4L/min 단순마스크)
호흡요법 또는 투약 후 능동적인 운동을 하도록 계획한다.
일상생활과 운동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계획(신발을 쉽게 신고 벗는법, 단추가 적게 있고 조이지 않는 옷을 입기)을 하도록 돕는다.
대상자에게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는 활동(흡연)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산소 장비를 사용하는 법과 산소 요구량을 확인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활동 시 입을 오므리고 호흡하는 횡경막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출처 :
김영주 외(2018). 표준화된 간호시뮬레이션교육. 서울: 현문사
대한 천식알레르기 협회 (한국 천식자료 지침)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제 6판 상권. 현문사, pp. 578-58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산소치료를 위한 건강정보 http://www.macjinmedical.com/new/cure/information_02.asp
박은영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p. 103-104.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천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