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_관용 표현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제시, 설명, 활용)을 작성하십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_관용 표현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제시, 설명, 활용)을 작성하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관용표현
(2)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교수-학습 활동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떡’이라는 관용표현을 활용한 예를 제시하면,
“저 시계는 그림의 떡이에요.”
“외제차는 너무 비싸서 그림의 떡이에요.”
“방은 마음에 드는데 월세가 너무 비싸요.저한테는 그림의 떡이네요.”
교재

동영상
설명
-‘그림의 떡’의 의미는 실제로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즉, 말 그대로그림속에떡이 있어 눈에는 보이지만 실제로는 취할 수 없는 것을 뜻합니다.
교재 및 ppt
활용
- 그러면 앞서 제시한 예문을 함께 읽습니다.
“저 시계는 그림의 떡이에요.”
“외제차는 너무 비싸서 그림의 떡이에요.”
“방은 마음에 드는데 월세가 너무 비싸요.저한테는 그림의 떡이네요.”
- ‘그림의 떡’을 활용하여 각자 한 문장씩 만들어서 발표합니다.
“그 옷은 나에겐 그림의 떡이야. 너무 비싸.” “이번에 월급 받으면 여행가려고 했는데, 이젠 그림의 떡이 지, 뭐.” “새로 나온 아이폰 봤어? 그런데 이번 달에 돈 너무 많이 써 서 그림의 떡이야.”
교재 및 ppt
3.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언어에서 사용되는 관용표현은 오랜 시간 동안 해당되는 언어사용자에게 익숙하게 자리잡은 일종의 문화적 표현이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 있어 관용표현을 정확하게 습득하는 것은 한국어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언어적 숙달을 도모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한국어 어휘교육에서 관용표현에 대한 비중을 증가시켜서 한국어를 외국어로서 접근하는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색다른 즐거움을 이해하는 교수-학습 활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교육론 강의안
· 표준국어대사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5.03.02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7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