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부전 Case Study(2024.11 작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 신부전 Case Study(2024.11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p.3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p,3
1. 신부전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
5) 중재 및 간호

[3] 간호과정 p.6
1. 간호사정
1) 간호력
2) 신체검진
3) 진단을 위한 검사
4) 의학적 치료 및 경과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및 중재

[4] 결론 p.14

본문내용

3. RN
(치료적)
1. 주 3회 4hr HD(혈액투석)을 시행한다.
2. 반좌위를 취하도록 한다.
(치료적)
1. 혈액투석을 통해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조절하여 폐에 찬 물을 제거한다.
2. 반좌위를 통한 폐 확장으로 인해 호흡이 원활하게 될 수 있게 돕는다.
1. RN
2. SN
(교육적)
1. 적절한 운동방법을 교육한다.
(교육적)
1. 격한 운동을 제외한 걷기,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권장한다.
1. SN
평가
장기목표: 11월 21일까지 x-ray 상 normal한 상태를 보인다.
⇒ 11월 21일 chest 결과, 15일 chest에 비해 깨끗한 상태를 확인했다.(달성)
단기목표: 2일 이내에 대상자가 숨찬 증상이 없어졌다고 표현한다.
⇒ 11월 20일 대상자는 숨찬 증상이 괜찮아졌고 호흡이 많이 편안해졌다고 표현했다.(달성)
3. 간호계획 및 중재간호진단2
신장 혈류 감소에 의한 체액과다
간호목표
장기목표: 11월 21일까지 투석 후 체중(Dry weight)을 72 kg 까지 감량한다.
11월 21일까지 대상자는 본인에게 맞는 식단을 2가지 이상 설명한다.
단기목표: 2일 이내 leg edema가 2+에서 1+으로 감소한다.
계획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수행여부
(진단적)
1. 매일 아침 weight를 측정한다.
2. 매일 밤 8시에 I/O를 확인한다.
(진단적)
1. 체액과다로 의한 체중증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중재를 위한 지표가 된다.
2. I/O를 사정하여 섭취 및 배설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한다.
1. SN
2. SN
(치료적)
1. Lasix Tab.을 BID로 제공한다.
2. 매 식사를 신부전당뇨식으로 처방한다.
(치료적)
1. Lasix는 투석환자에게 적용되는 이뇨제 중 하나로, 심한 부종이나 HD에도 조절되지 않는 체중·전해질 수치 등에 관여한다.
2. 신부전당뇨식을 제공함으로써 체중 조절을 돕는다.
1. RN
2. RN
(교육적)
1.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맞는 식이를 교육한다.
2. 체중관리의 중요성과 물 섭취를 줄이도록 교육한다.
(교육적)
1. CKD 환자에게 고열량, 저인산, 저칼륨식이를 하도록 교육하며 음식재료를 예를 들어 설명하여 이해가 쉽도록 한다.
2. 투석 외 체중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하루 소변량 + 500ml 이내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1. SN
2. SN
평가
장기목표: 11월 21일까지 투석 후 체중을 72 kg 까지 감량한다.
⇒ 11월 21일까지 투석 후 체중은 73 kg까지 감량하였다.(미달성)
11월 21일까지 대상자는 본인에게 맞는 식단을 2가지 이상 설명한다.
⇒ 11월 21일 대상자는 식단의 중요성과 저칼륨식이와 적절한 물 섭취량을 설명하였다.(달성)
단기목표: 2일 이내 leg edema가 2+에서 1+으로 감소한다.
⇒ 11월 20일 leg edema가 2+에서 1+으로 감소하였다.(달성)
[4] 결론
대상자는 11월 15일 Dyspnea와 Dizziness를 호소하여 원내 ER을 통해 입원하였다. 2015년부터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CKD 환자로 평소 부적절한 생활습관과 지식부족으로 질환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그로 인한 증상을 보이며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와 중재를 제공함으로 증상을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주호소로 숨찬 증상과 빠른 호흡수로 불편함을 보였고 SPO2상 90%이하, chest 상 폐에 물이 찬 형태 등 호흡과 관련한 문제를 완화시키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하여 폐 울혈로 인한 호흡수 과다에 의한 가스교환 장애를 우선순위 1순위로 정하였다.
주 3회 HD를 하는 환자로, 주기적으로 체내 노폐물과 체액을 제거함에도 조절되지 않는 체중과 부적절한 식단 등으로 다리부종이 2+로 측정되었고 SBP가 180~190대를 보였다. 그리하여 2순위를 신장 혈류 감소에 의한 체액과다라 하였다.
조절되지 않는 체중과 호흡곤란 등으로 인해 활동이 힘들고 하루 1갑 이상의 흡연, 당뇨, 부적절한 음식섭취 등 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이와 관련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여 3순위를 생활습관과 관련된 지식부족에 의한 비효과적 건강 자기관리라 하였다.
11월 18일부터 21일까지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중재를 하였고 대상자는 입원 당시보다 숨찬 증상과 어지럼증이 많이 완화되었다고 표현하였고 chest상 폐가 깨끗하게 촬영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투석 후 체중은 목표치보다 많은 73 kg으로 측정되었으나, 다리부종은 2+에서 1+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대상자 스스로 본인에게 맞는 식단(저칼륨식이, 일일 소변량+500ml 정도의 물 섭취 등)을 설명하였다.
· 열량(Kcal): 35 Kcal/kg/day (환자에 따라 그에 맞는 식이 제공)
· 칼륨(K(Potassium)): 70 mEq or 2,730 mg 권장
고칼륨(감자, 고구마, 밤, 옥수수, 바나나, 참외, 토마토 등) X
· 나트륨(Na(Sodium)): 87 mEq or 2g/day 권장
어육류, 김치, 물미역, 조미료, 국물음식 제한
· 단백질(Albumin): 1~1.2 g/kg/day
요소/요산/크레아티닌 축적으로 오심/피로/요독 혼수 위험
육류, 계란(1알), 생선(2토막), 우유(1/2컵), 치즈(1장)
· 인(P): 800~1,200 mg/day
인 축적으로 뼈에서 Ca 유출/PTH 분비 촉진되어 골/갑상샘 질환 발생
고인산(현미, 검정쌀, 잡곡, 팥, 옥수수, 견과류, 오트밀, 유제품) X
· 비타민(Vitamin): 투석에 의해 일부 수용성 비타민이 부족할 수 있음
Vit. B/B2/B12 등 보충 필요 / Vit.C는 60 mg/day 제한
* 식이교육 내용
참고문헌
1. 황옥남 외, 4명(2018). 「성인간호학 (상) 제7판」.
2. 황옥남 외, 4명(2018) 「성인간호학 (하) 제7판」.
3. 박은영 외 5명(201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5.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5.03.04
  • 저작시기202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8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