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목적)
Ⅱ. 문헌고찰
1. NSTEMI(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태생리
3) 증상 및 예후
4) 진단방법
5) 치료와 간호
* ESRD(End-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부전)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 개인건강사정도구 (Gordon의 기능적 건강패턴 이용)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의학적 치료 및 경과
2. 자료분석 및 간호진단
3. 간호계획
Ⅳ. 결론 및 평가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목적)
Ⅱ. 문헌고찰
1. NSTEMI(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태생리
3) 증상 및 예후
4) 진단방법
5) 치료와 간호
* ESRD(End-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부전)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 개인건강사정도구 (Gordon의 기능적 건강패턴 이용)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의학적 치료 및 경과
2. 자료분석 및 간호진단
3. 간호계획
Ⅳ. 결론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성인의 공복 혈당은 70~150mg/dL이다. 고혈당의 임계치는 400mg/dL 이상이다.
2. 고혈당은 혈류에서 과잉된 포도당이 삼투성 효과를 만들어 그 결과 다갈증, 다식증, 다뇨증이 발생한다. 대상자는 피로와 흐릿해진 시야 등 비특이적 증상을 보고할 수 있다.
(진단적)
1. SN
2. RN, SN
(치료적)
1. 처방된 인슐린 약물을 적용한다.
2. 영양사에게 개별화된 식이지침을 의뢰한다.
3. 인슐린 투여 부위를 사정하여 적절한 부위를 선택하고 적절하지 못한 부위를 기록한다.
(치료적)
1. 제1형 당뇨병과 많은 제2형 당뇨병 대상자에게 인슐린이 요구된다.
2. 개인의 식사계획은 대상자의 체중과 혈당 수치, 활동 유형, 구체적인 치료적 조건에 기초하여 제공한다.
3. 특히 지방이 적은 대상자의 경우 인슐린이 골고루 투여할 수 있는 부위를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로 복부 부위를 많이 사용한 다음으로 허벅지를 사용한다.
(치료적)
1. RN
2. RN
3. RN
(교육적)
1. 대상자에게 혈당측정법과 인슐린 투여방법을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혈당을 낮출 수 있는 방법(식단, 활동, 인슐린 투여 등)을 교육한다.
(교육적)
1. 혈당측정은 대상자에게 혈당 수치에 대한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2. 대상자에게 혈당을 낮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적절한 자가간호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교육적)
1. RN
2. SN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혈당수치가 200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 (달성)
검사명
3/23
3/24
3/25
혈당수치
201
196
187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로 당뇨관리법(혈당체크, 식습관, 약 복용 등)을 설명한다. (달성)
* 당뇨관리법 교육내용
식이요법
인슐린 주사부위
· 흰 밥보다는 잡곡밥, 흰 빵보다는 통밀빵, 찹쌀보다는 멥쌀을 권장한다.
· 채소류, 해조류, 우엉 등 식이섬유소 함량이 높은 식품을 선택한다.
· 곡식, 과일, 채소, 저지방우유 등을 당뇨식이에 포함시킨다.
· 주스보다는 생과일, 생채소 형태로 섭취한다.
(잘 익은 과일이나 당도가 높은 과일은 피한다. 예. 열대과일 등)
· 한 가지 식품만 먹기보다 골고루 섭취한다.
· 천천히 꼭꼭 씹어 먹는다.
https://blog.naver.com/perfect_nice/222346137257
· 주사 시, 배꼽에 너무 가까이 주사하지 않는다.
운동요법
인슐린 주사요법
·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근육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고 인슐린 작용을 촉진하여 혈당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체중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를 환화하며 안녕감을 유지하게 한다.
· 유산소운동: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가벼운 등산 등이 속하고 병동 내 산책도 도움이 된다.
· 근력운동: 밴드, 아령, 웨이트 기구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고 큰 근육부터 시작해 골고루 실시한다.
· 유연성 운동: 최초 3~5회에서 시작해 1주 간격으로 한다.
· 운동 시 주의사항
① 식후 30분 ~1시간 뒤에 운동을 한다.
② 10분 운동으로 시작해서 체력수준이 향상되면 45분 정도 지속한다.
③ 운동 중 흉통, 구토, 어지럼 등의 증상이 있을 시, 운동을 중단해야 한다.
④ 운동부위에 인슐린주사를 금하고 운동하는 날은 인슐린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 혈당검사 후 인슐린 주사를 하고 식사를 하도록 한다.
· 저혈당의 증상과 치료를 알아 둔다.
① 증상: 떨림, 발한, 초조함, 배고픔, 허약감 등
② 치료: 조금의 주스나 사탕, 크래커(탄수화물) 등을 섭취한다.
Ⅳ. 결론 및 평가
대상자(84세/M)는 3월 20일 고열과 한기, 흉통으로 ER을 통해 내원하신 NSTEMI(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이다. 실습 당시 잠을 깊게 못 주무시거나 수면시간을 사정하였을 때 3~4시간이며, 수면에 만족을 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이를 통해 간호진단 1순위로 수면부족과 관련된 피로라 하였다. 그리하여 수면에 방해가 될 만한 소음과 조명 등을 조절하였고 피로와 관련된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매일 수면에 대한 만족도 사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수면시간이 늘었고(3~4시간 → 6시간 이상) 만족도도 증가하였으나(3점 → 7점) 낮잠은 1시간 이내 밖에 주무시지 못하셨다.
대상자는 3월 20일 PCI(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을 시행하였고 현재 A-line과 CVC를 적용 중이다. 또한 3월 21일 ESRD로 혈액투석 시행(-2.25kg)하였고 24일 혈액투석(-1.45kg)을 하였다. 증상으로 주로 한기를 호소하셨다. 이를 통해 2순위로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이라 하였다. 그리하여 감염과 관련한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였고 삽입부위의 감염증상을 매 시간마다 관찰하였으며, 체온 또한 1시간마다 측정하면서 따뜻한 물수건을 통해 체온 조절에 도움을 주었다. 그 결과 퇴원 시까지 특별한 감염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체온 또한 정상범위 내를 도달하였으나, CBC 결과는 정상치에 오지 못했다.
대상자는 1983년도부터 당뇨를 진단받아 약을 처방 받은 적이 있고 현재 Glucose 공복수치가 200 mg/dl 이상이다. 매일 아침 인슐린을 투여 받으면서 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무심한 행동을 보였다. 이를 통해 3순위로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이라 하였다. 그리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당뇨 관리와 인슐린 투여법에 대해 교육하였고 매일 식전 혈당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혈당 수치는 200 이하로 내려갔으며 당뇨관리법에 대해 스스로 인지하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1. 황옥남 외, 4명(2018). 「성인간호학 (상) 제7판」. p674~p695
2. 황옥남 외, 4명(2018) 「성인간호학 (하) 제7판」. p148~p156
3. 박은영 외 5명(201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5.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2. 고혈당은 혈류에서 과잉된 포도당이 삼투성 효과를 만들어 그 결과 다갈증, 다식증, 다뇨증이 발생한다. 대상자는 피로와 흐릿해진 시야 등 비특이적 증상을 보고할 수 있다.
(진단적)
1. SN
2. RN, SN
(치료적)
1. 처방된 인슐린 약물을 적용한다.
2. 영양사에게 개별화된 식이지침을 의뢰한다.
3. 인슐린 투여 부위를 사정하여 적절한 부위를 선택하고 적절하지 못한 부위를 기록한다.
(치료적)
1. 제1형 당뇨병과 많은 제2형 당뇨병 대상자에게 인슐린이 요구된다.
2. 개인의 식사계획은 대상자의 체중과 혈당 수치, 활동 유형, 구체적인 치료적 조건에 기초하여 제공한다.
3. 특히 지방이 적은 대상자의 경우 인슐린이 골고루 투여할 수 있는 부위를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로 복부 부위를 많이 사용한 다음으로 허벅지를 사용한다.
(치료적)
1. RN
2. RN
3. RN
(교육적)
1. 대상자에게 혈당측정법과 인슐린 투여방법을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혈당을 낮출 수 있는 방법(식단, 활동, 인슐린 투여 등)을 교육한다.
(교육적)
1. 혈당측정은 대상자에게 혈당 수치에 대한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2. 대상자에게 혈당을 낮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적절한 자가간호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교육적)
1. RN
2. SN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혈당수치가 200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 (달성)
검사명
3/23
3/24
3/25
혈당수치
201
196
187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로 당뇨관리법(혈당체크, 식습관, 약 복용 등)을 설명한다. (달성)
* 당뇨관리법 교육내용
식이요법
인슐린 주사부위
· 흰 밥보다는 잡곡밥, 흰 빵보다는 통밀빵, 찹쌀보다는 멥쌀을 권장한다.
· 채소류, 해조류, 우엉 등 식이섬유소 함량이 높은 식품을 선택한다.
· 곡식, 과일, 채소, 저지방우유 등을 당뇨식이에 포함시킨다.
· 주스보다는 생과일, 생채소 형태로 섭취한다.
(잘 익은 과일이나 당도가 높은 과일은 피한다. 예. 열대과일 등)
· 한 가지 식품만 먹기보다 골고루 섭취한다.
· 천천히 꼭꼭 씹어 먹는다.
https://blog.naver.com/perfect_nice/222346137257
· 주사 시, 배꼽에 너무 가까이 주사하지 않는다.
운동요법
인슐린 주사요법
·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근육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고 인슐린 작용을 촉진하여 혈당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체중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를 환화하며 안녕감을 유지하게 한다.
· 유산소운동: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가벼운 등산 등이 속하고 병동 내 산책도 도움이 된다.
· 근력운동: 밴드, 아령, 웨이트 기구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고 큰 근육부터 시작해 골고루 실시한다.
· 유연성 운동: 최초 3~5회에서 시작해 1주 간격으로 한다.
· 운동 시 주의사항
① 식후 30분 ~1시간 뒤에 운동을 한다.
② 10분 운동으로 시작해서 체력수준이 향상되면 45분 정도 지속한다.
③ 운동 중 흉통, 구토, 어지럼 등의 증상이 있을 시, 운동을 중단해야 한다.
④ 운동부위에 인슐린주사를 금하고 운동하는 날은 인슐린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 혈당검사 후 인슐린 주사를 하고 식사를 하도록 한다.
· 저혈당의 증상과 치료를 알아 둔다.
① 증상: 떨림, 발한, 초조함, 배고픔, 허약감 등
② 치료: 조금의 주스나 사탕, 크래커(탄수화물) 등을 섭취한다.
Ⅳ. 결론 및 평가
대상자(84세/M)는 3월 20일 고열과 한기, 흉통으로 ER을 통해 내원하신 NSTEMI(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이다. 실습 당시 잠을 깊게 못 주무시거나 수면시간을 사정하였을 때 3~4시간이며, 수면에 만족을 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이를 통해 간호진단 1순위로 수면부족과 관련된 피로라 하였다. 그리하여 수면에 방해가 될 만한 소음과 조명 등을 조절하였고 피로와 관련된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매일 수면에 대한 만족도 사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수면시간이 늘었고(3~4시간 → 6시간 이상) 만족도도 증가하였으나(3점 → 7점) 낮잠은 1시간 이내 밖에 주무시지 못하셨다.
대상자는 3월 20일 PCI(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을 시행하였고 현재 A-line과 CVC를 적용 중이다. 또한 3월 21일 ESRD로 혈액투석 시행(-2.25kg)하였고 24일 혈액투석(-1.45kg)을 하였다. 증상으로 주로 한기를 호소하셨다. 이를 통해 2순위로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이라 하였다. 그리하여 감염과 관련한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였고 삽입부위의 감염증상을 매 시간마다 관찰하였으며, 체온 또한 1시간마다 측정하면서 따뜻한 물수건을 통해 체온 조절에 도움을 주었다. 그 결과 퇴원 시까지 특별한 감염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체온 또한 정상범위 내를 도달하였으나, CBC 결과는 정상치에 오지 못했다.
대상자는 1983년도부터 당뇨를 진단받아 약을 처방 받은 적이 있고 현재 Glucose 공복수치가 200 mg/dl 이상이다. 매일 아침 인슐린을 투여 받으면서 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무심한 행동을 보였다. 이를 통해 3순위로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이라 하였다. 그리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당뇨 관리와 인슐린 투여법에 대해 교육하였고 매일 식전 혈당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혈당 수치는 200 이하로 내려갔으며 당뇨관리법에 대해 스스로 인지하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1. 황옥남 외, 4명(2018). 「성인간호학 (상) 제7판」. p674~p695
2. 황옥남 외, 4명(2018) 「성인간호학 (하) 제7판」. p148~p156
3. 박은영 외 5명(201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5.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추천자료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급성심근경색증 MI AMI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심근경색증정리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MI) 케이스 스터디
STEMI, 심근경색증 케이스 (간호사정, 검사결과, 간호진단, 문헌고찰, 간호계획, 약물조사포함)
성인 간호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MI, 간호과정, SOAPIE, 심근...
심근경색증(MI) 케이스
성인간호학 심근경색증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a+보장, 간...
성인간호학 2025년 1학기 중간과제 - 혈액투석 복막투석 급성심근경색증의 임상증상 심장수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