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사례보고
1. 간호사정
1) 일반적인 사항
2) 검사
3) I/O Check
4) 투약
2. 간호과정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사례보고
1. 간호사정
1) 일반적인 사항
2) 검사
3) I/O Check
4) 투약
2. 간호과정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S
“요새 계속 똥을 못싸요”
O
대상자의 배변 양상
날짜
11/29
11/30
12/1
대변의 양
0g
0g
50g
대상자가 하루 3~4차례 배변을 시도하나 나오지 않음
12/2일 Dulcolax 1P 처방됨
대상자의 표정이 어둡고, 불편감을 호소함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완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매일 배변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2월 5일까지 원활한 배변활동을 할 것이다.
대상자는 12월 5일까지 복부 불편감이 사라졌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 계획
1. 대상자의 대변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한다.
2. 대상자의 활동범위를 사정한다.
3. 대상자에게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4. 대상자에게 배변 시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교육한다.
5. 필요시 처방에 따라 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1. 대변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하여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변비의 뚜렷한
징후는 반복적인 변의에도 불구하고 며칠 동안
배변할 수 없는 것이다.
2. 마약제나 전신마취, 부동 상태와 같은 요인으로
장운동이 감소되면 장내 가스는 복부팽만을
심하게 일으킬 수 있다.
3. 육류나 어패류, 방부제가 많은 인스턴트 식품은
소화가 잘 되지 않으므로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을 섭취하도록 한다.
4.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Valsalva meneuver는
서맥과 심박출량의 감소를 가져오므로 피해
야 한다.
5. 변 완화제는 변을 부드럽게 하고 연동운동을
증진시킨다.
간호 중재
1. 대상자의 대변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하였다.11/29
11/30
12/1
12/2
12/3
12/4
0g
0g
50g
0g
50g
0g
2. 대상자의 활동범위를 사정하였다.
- 대부분의 시간을 침상에서 보내시며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를 반복하였다.
3. 대상자에게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 섬유질이 많은 바나나, 고구마, 양배추 등을
드시라고 교육하였다.
4. 대상자에게 배변 시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힘을 강하게 주지 말라고 교육하였다.
5. 대상자에게 처방된 변 완화제를 투여하였다.
- Dulcolax 1P (2022.12.02)
간호 평가
대상자는 12월 2일 처방된 Dulcolax syrup 1Pack 복용 후 다음날 소량의 대변 50g을 보았으나 여전히 불편감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3. 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간호 진단
③ 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2022.11.29)
간호 사정
S
“이러다 갑자기 죽으면 어떡하죠”
“치료하면 다 나을 수 있는 건가요?”
O
한숨을 쉬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질병과 치료법에 대해 자주 물어보심
경직된 모습을 자주 보이심
입원 당일 활력징후 측정 결과
날짜
혈압
맥박
호흡
체온
11/29
140/90
110
22
37.1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하며 안정된 모습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편안한 모습을 보이며 불안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간호 계획
1.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한다.
2.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불안완화를 위해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4.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5. 불안완화를 위해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여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신뢰감과 친밀감을 형성한다.
2. 불안을 느낄 때 맥박이 빨라지며, 호흡수 증가,
혈압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3. 심신을 이완시킴으로 불안을 완화할 수 있다.
4. 대상자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여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방해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5. 편안한 환경은 불안을 감소시키고 안정을
취할 수 있게 도와준다.
간호 중재
1.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며 정서적으로
지지를 해 주었다.
2.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날짜
혈압
맥박
호흡
체온
12/1
130/70
80
20
36.8
12/2
120/70
72
18
36.6
12/4
110/70
88
18
37.0
12/5
110/60
78
20
36.8
3. 불안완화를 위해 이완요법과 심상요법 시행에
대해 교육하였다.
-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내뱉는 호흡을 하도록
교육하고 심상요법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4. 불안에 대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지지하였다
5. 불안완화를 위해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환경을 제공해 주었다.
간호 평가
대상자는 퇴원 시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하며 전보다 기분이 나아졌다고 말했으며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하였다.
Ⅳ. 결론 및 제언
TV나 뉴스에서 심근경색으로 쓰러지시는 분들의 얘기를 많이 들었었지만 실제로 심근경색에 대해 접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학교에서 이론으로 배우기는 했지만 협심증과 구분을 하는 것이 어려웠었다. 하지만 이번 사례연구 보고서를 통해 심근경색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순환계 부분의 공부가 미흡해서 사례연구 보고서를 하는 데 어려운 부분이 없지는 않았지만 공부를 하면서 했더니 더 기억에 남고 잊어버리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진단검사 결과를 해석하는데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아 앞으로 더 부족한 부분을 공부를 하여 채워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Ⅴ. 참고문헌
윤은자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Ⅰ(아홉번째 판) .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Ⅱ(아홉번째 판) .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6) 성인간호학 I . 수문사
성미혜 외 공저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명지대학교병원 심장혈관센터
http://www.mjcardio.com/disease/disease3.html
논문 - 관상동맥질환자의 생활습관과 삶의 질: 건강군과의 성향점수매칭 비교
최성희1 · 황선영2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생1,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교수2
“요새 계속 똥을 못싸요”
O
대상자의 배변 양상
날짜
11/29
11/30
12/1
대변의 양
0g
0g
50g
대상자가 하루 3~4차례 배변을 시도하나 나오지 않음
12/2일 Dulcolax 1P 처방됨
대상자의 표정이 어둡고, 불편감을 호소함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완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매일 배변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2월 5일까지 원활한 배변활동을 할 것이다.
대상자는 12월 5일까지 복부 불편감이 사라졌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 계획
1. 대상자의 대변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한다.
2. 대상자의 활동범위를 사정한다.
3. 대상자에게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4. 대상자에게 배변 시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교육한다.
5. 필요시 처방에 따라 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1. 대변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하여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변비의 뚜렷한
징후는 반복적인 변의에도 불구하고 며칠 동안
배변할 수 없는 것이다.
2. 마약제나 전신마취, 부동 상태와 같은 요인으로
장운동이 감소되면 장내 가스는 복부팽만을
심하게 일으킬 수 있다.
3. 육류나 어패류, 방부제가 많은 인스턴트 식품은
소화가 잘 되지 않으므로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을 섭취하도록 한다.
4.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Valsalva meneuver는
서맥과 심박출량의 감소를 가져오므로 피해
야 한다.
5. 변 완화제는 변을 부드럽게 하고 연동운동을
증진시킨다.
간호 중재
1. 대상자의 대변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하였다.11/29
11/30
12/1
12/2
12/3
12/4
0g
0g
50g
0g
50g
0g
2. 대상자의 활동범위를 사정하였다.
- 대부분의 시간을 침상에서 보내시며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를 반복하였다.
3. 대상자에게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 섬유질이 많은 바나나, 고구마, 양배추 등을
드시라고 교육하였다.
4. 대상자에게 배변 시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힘을 강하게 주지 말라고 교육하였다.
5. 대상자에게 처방된 변 완화제를 투여하였다.
- Dulcolax 1P (2022.12.02)
간호 평가
대상자는 12월 2일 처방된 Dulcolax syrup 1Pack 복용 후 다음날 소량의 대변 50g을 보았으나 여전히 불편감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3. 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간호 진단
③ 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2022.11.29)
간호 사정
S
“이러다 갑자기 죽으면 어떡하죠”
“치료하면 다 나을 수 있는 건가요?”
O
한숨을 쉬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질병과 치료법에 대해 자주 물어보심
경직된 모습을 자주 보이심
입원 당일 활력징후 측정 결과
날짜
혈압
맥박
호흡
체온
11/29
140/90
110
22
37.1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하며 안정된 모습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편안한 모습을 보이며 불안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간호 계획
1.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한다.
2.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불안완화를 위해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4.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5. 불안완화를 위해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여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신뢰감과 친밀감을 형성한다.
2. 불안을 느낄 때 맥박이 빨라지며, 호흡수 증가,
혈압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3. 심신을 이완시킴으로 불안을 완화할 수 있다.
4. 대상자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여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방해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5. 편안한 환경은 불안을 감소시키고 안정을
취할 수 있게 도와준다.
간호 중재
1.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며 정서적으로
지지를 해 주었다.
2.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날짜
혈압
맥박
호흡
체온
12/1
130/70
80
20
36.8
12/2
120/70
72
18
36.6
12/4
110/70
88
18
37.0
12/5
110/60
78
20
36.8
3. 불안완화를 위해 이완요법과 심상요법 시행에
대해 교육하였다.
-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내뱉는 호흡을 하도록
교육하고 심상요법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4. 불안에 대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지지하였다
5. 불안완화를 위해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환경을 제공해 주었다.
간호 평가
대상자는 퇴원 시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하며 전보다 기분이 나아졌다고 말했으며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하였다.
Ⅳ. 결론 및 제언
TV나 뉴스에서 심근경색으로 쓰러지시는 분들의 얘기를 많이 들었었지만 실제로 심근경색에 대해 접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학교에서 이론으로 배우기는 했지만 협심증과 구분을 하는 것이 어려웠었다. 하지만 이번 사례연구 보고서를 통해 심근경색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순환계 부분의 공부가 미흡해서 사례연구 보고서를 하는 데 어려운 부분이 없지는 않았지만 공부를 하면서 했더니 더 기억에 남고 잊어버리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진단검사 결과를 해석하는데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아 앞으로 더 부족한 부분을 공부를 하여 채워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Ⅴ. 참고문헌
윤은자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Ⅰ(아홉번째 판) .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Ⅱ(아홉번째 판) .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6) 성인간호학 I . 수문사
성미혜 외 공저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명지대학교병원 심장혈관센터
http://www.mjcardio.com/disease/disease3.html
논문 - 관상동맥질환자의 생활습관과 삶의 질: 건강군과의 성향점수매칭 비교
최성희1 · 황선영2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생1,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교수2
추천자료
급성심근경색, MI A+받은 특급자료입니다!!!!!!!! - 급성 심근 경색 AMI : Acute Myocardial ...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건강증진 보고서 (a+보장, 피드백 수정완료, 교수님께서 극찬하셨습...
모성간호학 아동간호학 후기감퇴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 a+보...
성인간호학 다발성골수종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a+보장, ...
성인간호학 급성췌장염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a+보장, 간...
아동간호학 급성장염 사례보고서 case study(a+보장,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간호과...
여성간호학 모성간호학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교수님 극찬, a+보장, 피드백 수...
성인간호학 방광암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a+보장, 간호진...
정신간호학 양극성 장애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a+보장, 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