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급성장염 사례보고서 case study(a+보장,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간호과정 3개, 간호진단 3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급성장염 사례보고서 case study(a+보장, 교수님 극찬, 피드백 수정완료, 간호과정 3개, 간호진단 3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2.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예방
7. 간호

Ⅲ. 사례연구
1. 진단검사 결과
2. 간호진단
3. 일반적 배경
4.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소하였다. (달성)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전까지 더 이상 염증으로 인한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대상자는 퇴원전까지 더 이상 염증으로 인한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았다(달성)
일시
2019년 08월 26일
입원 ( 1 )일, 수술( 0 )일
사정
주관적 자료
“물만 먹어도 토를 해요”
“오늘 아침부터 설사를 했어요”
객관적 자료
설사4~5회 증상 있음
구토2회 정도 관찰됨
체중:(3/13)25.6kg(3/14)24.0kg
간호진단
구토, 설사, 발한과 관련된 체액부족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설사의 빈도가 감소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탈수 징후가 없을 것이다.
간호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대상자의 V/S을 측정한다.
2 대상자의 I/O를 8시간 마다 측정한다.
3. 탈수 증상을 사정한다.
4 전해질 불균형과 체액부족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5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약물을 투여한다.
1. 체액 부족시 혈압하강, 체온, 맥박, 호흡수가 상승한다.
2. 체액의 불균형상태를 파악한다.
3. 탈수 증상을 사정하여 경구, 비경구적으로 수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4 전해질 불균형과 체액부족의 증상인 오심, 구토, 빈맥 등을 사정하여 대상자에게 알맞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5 체내 수분량 부족을 보충한다.
간호
중재
대상자의 v/s를 측정하였다.
T
P
R
AM10
38.3
130
36
PM2
37.8
126
24
PM6
37.5
126
28
2. 대상자의 I/O를 8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intake
output

oral
parentera
소계
urine

stool

양상
소계
8/26
250
850
1100
60
1
206
5
설사5
266
8/27
500
850
1350
282
4
0
3
설사2
282
8/28
690
1100
1790
703
8
100
3
정상대변
803
3. 탈수 증상을 사정한다.
→ 탈수증상(피부탄력성, 입술)을 관찰하였다.
→ 술이 말라있는 것을 관찰하였고, 입술에 물에 젖은 거즈를 대고 있을 수 있도록 하였다.
4. 전해질 불균형과 체액부족의 증상(오심,구토,빈맥)을 사정하였다.
P
AM10
130
PM2
130
PM6
128
→ 4시간 마다 맥박측정 시 빈맥의 증상이 보였으며 오심, 구토 양상은 없었다.
5.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약물을 투여하였다.
→ 씨제이염화나트륨포도당(1:3)주사액500ml을 투여하여 체내 수분량 부족을 보충하였다.
평가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설사의 빈도가 감소할 것이다.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설사의 빈도가 감소하였다. (달성)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탈수 징후가 없을 것이다.
→ 대상자는 퇴원 시 탈수 징후가 보이지 않았다. (달성)
일시
2019년 08월 26일
입원 ( 1 )일, 수술( 0 )일
사정
주관적 자료
“설사를 자주해서 자주 씻겨주는데 엉덩이에 짓무름이 있는거 같아요”
객관적 자료
엉덩이 부분에 얇고 붉은 홍조 관찰함
간호진단
대변과의 피부접촉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24시간 이내 발적 부위가 2cm 정도 줄어든다.
장기목표
퇴원 시 까지 항문 주위의 피부가 정상화 된다.
간호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1. 항문 및 둔부 주위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2.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3. 필요시 크림과 연고를 바르고 효과를 사정한다.
4. 배변 후 기저귀를 즉시 갈아 주고 부위를 노출시켜야함을 교육한다.
5. 의복, 린넨을 건조하고 주름이 없도록 한다.
1. 피부손상을 조기에 발견한다.
2. 체위변경은 한 부위에 지속되는 압력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3.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막을 제공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4. 배변으로 인한 피부자극을 감소시킨다.
5. 건조하고 주름 없는 의복과 린넨은 마찰력을 감소시켜 욕창예방이 가능하다.
간호
중재
1.대상자의 발적 부위를 관찰하였다
설사 횟수가 줄어 들수록 얕은 발적부위가 정상화로 돌아오는 것을 관찰하였다.
2.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하여 한 부위에 지속되는 압력을 줄여주었다.
3. 필요시 크림과 연고를 발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막을 제공하여 피부를 보호하였다.
4. 보호자에게 손씻기와 기저귀 처리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것을 교육했다.
항상 접촉 전,후 손을 씻고 기저귀는 노출되지 않고 밀봉하여 버린다.
5. 의복, 린넨을 건조하고 주름이 없도록 하였다.
→ 체위 변경 시 침대시트와 환의를 당겨서 주름이 없게 유지하였다.
평가
단기목표
24시간 이내 발적 부위가 2cm 정도 줄어든다.
→ 항문 및 둔부의 피부가 24시간 이내 발적부위 피부가 정상화 되었다.(달성)
장기목표
퇴원 시 까지 항문 주위의 피부가 정상화 된다.
→ 퇴원 시까지 대상자의 항문 주위 피부가 정상화 되었다. (달성)
Ⅳ. 결론
AGE의 주요증상인 설사, 구토, 고체온은 보통 자연적으로 개선되지만, 체액부족, 영양부족, 전해질불균형 등으로 인해 탈수가 일어날 위험성이 크므로 탈수예방을 위한 치료가 이루어져야하며 영아들의 경우 잦은 설사로 인한 피부손상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기저귀를 착용한 영아의 경우에는 환기를 잘 시켜주어야 하며, 젖은 기저귀로 인해 피부가 젖어있지 않도록 기저귀를 정기적으로 갈아주며 관리해야 된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또한 의도치 않게 2주 연속으로 비대면 실습을 하게 되었는데 실제 신생아실에서 실습을 못해서 아쉽긴 하지만 이론적인 부분에 대해선 많이 알게 된 것 같아서 기회가 되어 신생아실에서 실습을 하게 된다면 지금보다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Ⅴ. 참고문헌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2015.8), 현문사,
드러그 인 포. www.d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http://www.kslm.org/
벙경숙 외. 아동간호학, (2019) , 학지사 메디컬
송경애 외.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2017.3), 수문사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하권. (2016.1). 현문사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3.06.08
  • 저작시기2019.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1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