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
1)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
2)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법
(2) 학습 적용 사례 분석
1) 학습에서 조작적 조건형성 적용사례
2) 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
1)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
2)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법
(2) 학습 적용 사례 분석
1) 학습에서 조작적 조건형성 적용사례
2) 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이러한 강화 계획은 한 달이라는 기간에는 잘 지켜질 수 있으나, 그 후에는 잘 안 지켜질 가능성이 있다.
III. 결론
지금까지 조작적 조건형성을 설명하고, 학습에 적용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인간의 관찰이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두고 그 행동을 조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이미 일상생활 속에서도 적용이 되고 있으며, 이는 조작적인 조건형성에 따라 특정한 행동을 하도록 하기도 하고 그 행동을 수정하게도 하며, 또 그 행동을 제거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한 달 동안 지각하지 않으면 10만 원을 주겠다고 하고, 20분 일찍 출근하면 15만 원을 주겠다고 한다면, 10만 원을 받기 위해 지각하던 행동이 줄어들어 없어질 수 있고, 15만 원을 받기 위해 20분 일찍 출근하는 새로운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법에는 강화와 처벌, 강화 계획이 있다. 강화에는 특정한 행동을 하면 보상을 제공하여 그 행동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정적 강화와 어떤 특정 행동을 했을 때 불쾌한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을 증가시키는 부적 강화가 있으며, 사례에서 정적 강화는 스티커 제공을 통한 소원 들어주기이며, 부적 강화는 화장실 청소 면제권이다. 처벌에는 어떤 행동에 대해 벌을 주어 특정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정적 처벌과 어떤 행동에 대해 좋아하는 것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을 감소시키는 부적 처벌이 있으며 사례에서 정적 처벌은 싫어하는 화장실 청소이며, 부적 처벌은 좋아하는 체육 시간의 20분 참여 불참하게 하는 것이다. 강화 계획은 특정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보상하는 계속적 강화와 특정 행동이 나타나더라도 그 간격이나 비율을 고려하여 보상하는 간헐적 강화로 나눌 수 있는데, 사례에서는 계속 강화 계획과 고정간격 계획을 사용하고 있다.
과제를 통해 교실 환경 내에서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조작적 조건형성의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인간의 행동이 조작적 의도에 따라 형성되고 변화함을 알 수 있었고, 조작적 조건형성의 과정에서 명확하고 일관된 기준과 시기를 고려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안목이 향상되길 기대한다.
IV. 참고문헌
1. James E. Mazur(2018).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 B.F. 스키너(2017). 「스키너의 행동심리학」. 교양인.
3. 로렌 슬레이터(2005).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에코의 서재
III. 결론
지금까지 조작적 조건형성을 설명하고, 학습에 적용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인간의 관찰이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두고 그 행동을 조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이미 일상생활 속에서도 적용이 되고 있으며, 이는 조작적인 조건형성에 따라 특정한 행동을 하도록 하기도 하고 그 행동을 수정하게도 하며, 또 그 행동을 제거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한 달 동안 지각하지 않으면 10만 원을 주겠다고 하고, 20분 일찍 출근하면 15만 원을 주겠다고 한다면, 10만 원을 받기 위해 지각하던 행동이 줄어들어 없어질 수 있고, 15만 원을 받기 위해 20분 일찍 출근하는 새로운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법에는 강화와 처벌, 강화 계획이 있다. 강화에는 특정한 행동을 하면 보상을 제공하여 그 행동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정적 강화와 어떤 특정 행동을 했을 때 불쾌한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을 증가시키는 부적 강화가 있으며, 사례에서 정적 강화는 스티커 제공을 통한 소원 들어주기이며, 부적 강화는 화장실 청소 면제권이다. 처벌에는 어떤 행동에 대해 벌을 주어 특정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정적 처벌과 어떤 행동에 대해 좋아하는 것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을 감소시키는 부적 처벌이 있으며 사례에서 정적 처벌은 싫어하는 화장실 청소이며, 부적 처벌은 좋아하는 체육 시간의 20분 참여 불참하게 하는 것이다. 강화 계획은 특정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보상하는 계속적 강화와 특정 행동이 나타나더라도 그 간격이나 비율을 고려하여 보상하는 간헐적 강화로 나눌 수 있는데, 사례에서는 계속 강화 계획과 고정간격 계획을 사용하고 있다.
과제를 통해 교실 환경 내에서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조작적 조건형성의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인간의 행동이 조작적 의도에 따라 형성되고 변화함을 알 수 있었고, 조작적 조건형성의 과정에서 명확하고 일관된 기준과 시기를 고려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안목이 향상되길 기대한다.
IV. 참고문헌
1. James E. Mazur(2018).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 B.F. 스키너(2017). 「스키너의 행동심리학」. 교양인.
3. 로렌 슬레이터(2005).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에코의 서재
추천자료
행동주의적 학습이론들을 비교 설명
성격에 관한 조사
[유아발달 B형] 인지발달이론에서 피아제의 이론과 비고츠키의 이론을 각각 설명, 각 이론을 ...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성인학습및상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
[유아발달] 인지발달이론에서 피아제의 이론과 비고츠키의 이론을 각각 설명하고, 각 이론을 ...
[영어영문학과]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교육심리학 공통]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교육심리학 공통]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공통]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등교거부 정신분석적 이...
실생활에서 조작적 조건화가 적용되는 사례를 제시하여, 조작적 조건화를 설명하시오 (강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