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ethod)
1. 어는점 보정
① 얼음과 증류수를 비커에 넣는다.
② 온도계의 0℃눈금이 잠기도록하고 교반한다.
③ 5분뒤 눈금이 일정한 자리에서 머물면 그 값을 기록한다.
④ 10분 15분 간격마다 값을 기록한다. (총 3회 5,10,15분)
2. 끓는점 보정
① 온도계의 끝을 증류에 넣은뒤 서서히 증류수를 가열한다.
② 가열하여 100℃부근에서 눈금이 멈추면 값을 기록한다.
③ 온도를 50℃로 냉각시킨후 다시 100℃로 가열하여 값을 기록한다.(총 3회측정)
보정식을 사용하여 보정온도를 구하고 3개의 값의 평균을 구한다.
⑤결과(result)
0℃ 약 99 ℃
(단위 : ℃)
횟 수
0℃ 검 정
100℃ 검 정
1
0
99
2
0
99
3
0
99
평균
0
99
(증류수 측정 온도표)
(단위 : ℃)
정확한 온도(t)
보정할 온도(t\')
온도 차이(t\'-t)
0
0
0
100
99
-1
(증류수의 보정표)
(보정표)
⑥고찰(discussion)
이번 실험은 증류수의 기준온도를 바탕으로 수은 온도계의 온도계보정을 하는 실험이였다. 온도계는 항상 정확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처음에 이를 보정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우리는 일반적인 수은온도계를 사용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외부압력의 영향은 매우 적어 무시하고 실험을 했다.
물의 어는점인 0℃는 측정한 온도도 0℃라 보정할 필요가 없었다. 물의 끓는점은 원래의 100℃보다 1℃가 낮게 측정되어 1℃가 보정 되었다. 물의 끓는점과 어는점을 살펴보면 원래의 온도와 보정온도의 대략적인 차이를 알수있고 그래프를 보면 각 온도에서의 대략적인 보정 온도를 알 수 있다.
온도계는 측정할때마다 거이 같은 값이 나와 궂이 여러번 할 필요는 없지만 PH값을 보정할때는 잴때마다 오차가 있어서 여러번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한다.
이번 실험에서 증류수의 끓는점이 원래 끓는점인 100℃보다 낮게 측정되었는데 온도를 측정한 부분이 증류수의 아래쪽이라서 낮게 나온건 아닌지 생각해보았다. 수증기가 발생하는 표면쪽에서 온도를 측정했으면 끓는점이 좀더 높게 측정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온도계도 조금의 오차가 있듯이 우리가 실험한 값에도 ±0.5℃ 정도의 오차는 있을 것이다.
⑦참고문헌 (reference)
네이버 백과사전 : http://terms.naver.com/
네이버 검색 검색어 : 온도계 보정실험
성기천 이진휘 김기준 공저, 화학공학실험, 1판, 사이텍미디어, 2000, p11~13
1. 어는점 보정
① 얼음과 증류수를 비커에 넣는다.
② 온도계의 0℃눈금이 잠기도록하고 교반한다.
③ 5분뒤 눈금이 일정한 자리에서 머물면 그 값을 기록한다.
④ 10분 15분 간격마다 값을 기록한다. (총 3회 5,10,15분)
2. 끓는점 보정
① 온도계의 끝을 증류에 넣은뒤 서서히 증류수를 가열한다.
② 가열하여 100℃부근에서 눈금이 멈추면 값을 기록한다.
③ 온도를 50℃로 냉각시킨후 다시 100℃로 가열하여 값을 기록한다.(총 3회측정)
보정식을 사용하여 보정온도를 구하고 3개의 값의 평균을 구한다.
⑤결과(result)
0℃ 약 99 ℃
(단위 : ℃)
횟 수
0℃ 검 정
100℃ 검 정
1
0
99
2
0
99
3
0
99
평균
0
99
(증류수 측정 온도표)
(단위 : ℃)
정확한 온도(t)
보정할 온도(t\')
온도 차이(t\'-t)
0
0
0
100
99
-1
(증류수의 보정표)
(보정표)
⑥고찰(discussion)
이번 실험은 증류수의 기준온도를 바탕으로 수은 온도계의 온도계보정을 하는 실험이였다. 온도계는 항상 정확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처음에 이를 보정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우리는 일반적인 수은온도계를 사용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외부압력의 영향은 매우 적어 무시하고 실험을 했다.
물의 어는점인 0℃는 측정한 온도도 0℃라 보정할 필요가 없었다. 물의 끓는점은 원래의 100℃보다 1℃가 낮게 측정되어 1℃가 보정 되었다. 물의 끓는점과 어는점을 살펴보면 원래의 온도와 보정온도의 대략적인 차이를 알수있고 그래프를 보면 각 온도에서의 대략적인 보정 온도를 알 수 있다.
온도계는 측정할때마다 거이 같은 값이 나와 궂이 여러번 할 필요는 없지만 PH값을 보정할때는 잴때마다 오차가 있어서 여러번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한다.
이번 실험에서 증류수의 끓는점이 원래 끓는점인 100℃보다 낮게 측정되었는데 온도를 측정한 부분이 증류수의 아래쪽이라서 낮게 나온건 아닌지 생각해보았다. 수증기가 발생하는 표면쪽에서 온도를 측정했으면 끓는점이 좀더 높게 측정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온도계도 조금의 오차가 있듯이 우리가 실험한 값에도 ±0.5℃ 정도의 오차는 있을 것이다.
⑦참고문헌 (reference)
네이버 백과사전 : http://terms.naver.com/
네이버 검색 검색어 : 온도계 보정실험
성기천 이진휘 김기준 공저, 화학공학실험, 1판, 사이텍미디어, 2000, p11~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