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계보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온도계보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7℃에서 보정 되었다. 또한 물의 끓는점 또한 원래의 100℃보다 1.73℃가 낮게 측정되었고, 대략 1.7℃정도가 낮게 보정 되었다. 물의 끓는점과 어는점을 살펴보면 원래의 온도와 보정온도의 대략적인 차이 그리고 그래프를 보면 각 온도에서의 사용된 온도계의 보정 온도를 알 수 있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온도계의 보정표가 어느 특정한 방향성이나 특징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서 오차가 발생한 것을 알려준다.
약간씩 값이 차이가 나는 것은 온도계 보정을 하면서 열의 출입을 완전히 차단시키지 못한점과 수은 온도계를 읽음에 있어 증기로 인하여 온도계 표면에 증기가 생겨서 은색인 수은이 잘 관찰 되지 못한점도 원인이 될 것이다. 미세한 0.1℃단위까지는 정확하게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0.5℃까지는 오차를 감안해야한다.
이번 실험 중 가장 큰 실수였던 것은, 3번 째 실험인 32.38℃의 측정 실험에서 위의 처럼 생긴 검정장치를 만드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위 그림에서 보면 모래를 담는 그릇을 바로 가열하므로 그 그릇은 열에 강한 성분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열에 강하지 않은 것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가열 후 10분쯤 지날 때 그것이 깨져버리는 초보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 화학실험에서 간단한 조작을 할 때도 언제나 안전에 유의해야겠다는 마음가짐을 한번 더 가졌다.
이번 실험에서 또 하나 배운 것은 끓는점 측정시 온도계의 측정구를 물의 표면과 아주 약간의 거리를 두고 온도를 측정해야 한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끓고 있는 물의 온도를 측정 하는 것이 아니라, 물이 수증기로 변하는때의 온도를 측정 하여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번 실험은 간단한 장치를 구축하고 가열 후 온도를 재어서 그것에 따른 보정온도를 얻어내는 비교적 간단한 실험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 전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큰 오차가 발생했다. 간단한 실험이라도 정확한 수치를 관찰해야 해야 하는 실험은 언제나 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다시 깨우쳤다.
6. 참고문헌
- 화학공학실험(삼광출판사) p16~p19, (1995)
- 분석화학 / 희중당 / 차기원 / p432 - 434
- 네이버백과사전(http://100.naver.com/100.nhn?docid=100647)
- 네이버백과사전(http://terms.naver.com/item.nhn?dirId=1808&docId=647)
- Empas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51616&v=&Ad=Encyber)
- Empas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173701&v=44&Ad=photorental)
- Empas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155675&v=43&Ad=Encyber)
- Empas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61704&v=&Ad=photorental)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9.14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4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