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본론
1. 낙상 문헌고찰
2. 활동 계획서
Ⅲ. 결론
1.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본론
1. 낙상 문헌고찰
2. 활동 계획서
Ⅲ. 결론
1.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직원뿐 아니라 환자도 차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환자의 요구 조건, 선호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진료서비스 과정의 개선 및 경영개선에 활동할 수 있다 넷째, 진료 및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의 재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질 관리는 결국 병원의 성과를 개선하고자 하는 활동이며 이 과정에서 업무수행의 과정을 측정하고 평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과정보다 개선된 업무수행의 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다섯째, 의료서비스 공급에서 의료인의 무제한적 자율성 행사가 반드시 양질의 의료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서 병원에서 수행되는 환자 진료행위가 평가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특히 현재와 같이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중요시되는 시점에서 평가는 필요하다.
활동 계획서
주제
병동 내 낙상예방 활동을 통한 낙상율 감소
지표선정
※ 재원일수 = 총재원일수를 1,000일 입원일 기준으로 변환한 값
목표설정
목표치
평균 0.30% 0.20%
기대효과
위해사건, 적신호 사건 감소로 인한 재원일수 증가 예방
낙상주의 표지판, 팜플렛 인지율 증가 낙상주의 이해도 증가
낙상에 대한 이해도 증가 개인 낙상 예방 실천률 증가
문제분석
및 해석
<사례>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 중 손에만 힘이 있는 대상자가 고정해놓은 사이드레일을 내리고, 침상을 벗어나려고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 대상자는 다리에는 힘이 없는 상태에서 ABR이 적용된 대상자였고, 개인 간병인이 없는 사이 화장실을 가고 싶어 계속적 침상 이탈을 시도하였다. 낙상 고위험군이라 개인 간병인 없이는 침상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하였지만, 낙상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넘어지는 게 뭐가 위험하다고 그러냐 그냥 조금만 잡아주기만 하면 된다.”라고 하는 등 낙상으로 인한 위험 인식이 부족한 상태였다.
같은 병동의 다른 침상 대상자에게 낙상에 대한 인지도에 대하여 조사를 한 결과 인지율은 매우 낮은 상태로 확인되었으며, 개인의 낙상에 대한 위험율과 예방에 대한 수칙 또한 인지율이 매우 낮은 상태로 확인되었다.
근본 원인
분석
< FISH BONE >
환경 요인 : 미끄러운 바닥, 어두운 조명, 보행기구 및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 부족
간호사 요인 : 주의 의무 태만, 낙상에 대한 관심 부족, 낙상 예방 라운딩 시 점검활동 미흡
환자 요인 : 낙상에 대한 이해도 부족, 미끄러운 슬리퍼 착용, 운동화 및 실내화 착용 시 꺾어 신음
활동내용
(개선전략)
낙상 위험 체크리스트원인
항목
예
아니오
간호수행
낙상주의 환자는 스티커로 표시한다.
라운딩 시 side rail이 잘 올라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올려준다.
환자
침상을 벗어날 때는 주의를 기울이고, 일어나기 힘들다면 주변에 도움을 청한다.
환경
대상자에게 맞는 크기의 신발을 제공한다.
주변 의료기기와 전선을 대상자의 활동범위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낙상 위험군 표시낙상 고위험환자에게 낙상고위험군 팔찌를 하도록 하고 환자의 침상에 고위험군 표시를 부착한다.
낙상고위험군 표시
낙상 위험 팔찌
환경관리
미끄러운 곳은 주의하도록 스티커를 부착하고 안내판을 세워두어 낙상에 대한 인식을 높여 낙상으로 인한 신체손상을 예방한다.
화장실 바닥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매트를 깔아서 낙상으로 인한 신체손상을 예방한다.
낙상예방 미끄럼방지 매트
미끄럼주의 표시판
시설관리
Side rail 빈공간으로 내려오는 환자를 위한 침대를 구비하여 빈공간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한다.
낙상 고위험 환자에게 낙상방지 매트 적용하여 침상이탈시 간호사실에서 알림이 울리도록 하여 조기에 발견 및 낙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낙상고위험군 침대
낙상방지매트
활동 효과
(활동결과)
1. 낙상 예방 check list
낙상과 관련하여 스스로 자가 측정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환자 본인에게 자신의 보행능력 정도와 낙상에 대한 불안정도 및 낙상의 위험요소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환자의 낙상 위험정도에 대해 인지하게 되며, 낙상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의료진에게 낙상예방 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공할 수 있었다.
2. 낙상 위험군 표시
의식의 저하 또는 거동 장애로 인한 낙상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위험군을 표시하였으며, 해당 대상자들에게 더욱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낙상예방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3. 환경관리
시설 환경 점검, 바닥에 액체가 떨어지면 즉시 닦음등의 활동을 통해 낙상 예방 활동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4. 시설관리
side rail 잘 올라가는지 확인하기, 침대 바퀴 고정 잘되는지 확인하기 등 의 활동을 통해 낙상 예방 활동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Ⅲ. 결론
결론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 하나이며, 예측과 예방이 가능하다. 낙상 예방 활동은 재원 일수 감소, 낙상으로 인한 최소화 등 비용대비 효과가 크기 때문에 낙상위험요인에 따른 맞춤형 예방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활동기간동안 낙상이 1건 발생하였지만, 단기간의 활동으로는 낙상사고발생건수를 줄이기엔 어려움이 있어 향후 지속적인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이해 정도에 따른 맞춤형 낙상 예방 방법에 대해 다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발생하는 낙상사고에 대해 직원들 간의 사례 공유를 통해 원인 분석하며, 직원들의 낙상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켜 개선안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참고문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 news letter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210/qi_main201210.html
신미자 외 공저, 「간호관리학」, 수문사(2020), 646-647p
천자혜, 김현아, 곽미정, 김효선, 박선경, 김문숙, 최애리, 황지인, 김윤숙(2018). 낙상위험요인 평가 및 낙상예방활동 임상진료지침.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24(2), 41-61.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김금순, 임상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의 안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활동 계획서
주제
병동 내 낙상예방 활동을 통한 낙상율 감소
지표선정
※ 재원일수 = 총재원일수를 1,000일 입원일 기준으로 변환한 값
목표설정
목표치
평균 0.30% 0.20%
기대효과
위해사건, 적신호 사건 감소로 인한 재원일수 증가 예방
낙상주의 표지판, 팜플렛 인지율 증가 낙상주의 이해도 증가
낙상에 대한 이해도 증가 개인 낙상 예방 실천률 증가
문제분석
및 해석
<사례>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 중 손에만 힘이 있는 대상자가 고정해놓은 사이드레일을 내리고, 침상을 벗어나려고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 대상자는 다리에는 힘이 없는 상태에서 ABR이 적용된 대상자였고, 개인 간병인이 없는 사이 화장실을 가고 싶어 계속적 침상 이탈을 시도하였다. 낙상 고위험군이라 개인 간병인 없이는 침상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하였지만, 낙상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넘어지는 게 뭐가 위험하다고 그러냐 그냥 조금만 잡아주기만 하면 된다.”라고 하는 등 낙상으로 인한 위험 인식이 부족한 상태였다.
같은 병동의 다른 침상 대상자에게 낙상에 대한 인지도에 대하여 조사를 한 결과 인지율은 매우 낮은 상태로 확인되었으며, 개인의 낙상에 대한 위험율과 예방에 대한 수칙 또한 인지율이 매우 낮은 상태로 확인되었다.
근본 원인
분석
< FISH BONE >
환경 요인 : 미끄러운 바닥, 어두운 조명, 보행기구 및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 부족
간호사 요인 : 주의 의무 태만, 낙상에 대한 관심 부족, 낙상 예방 라운딩 시 점검활동 미흡
환자 요인 : 낙상에 대한 이해도 부족, 미끄러운 슬리퍼 착용, 운동화 및 실내화 착용 시 꺾어 신음
활동내용
(개선전략)
낙상 위험 체크리스트원인
항목
예
아니오
간호수행
낙상주의 환자는 스티커로 표시한다.
라운딩 시 side rail이 잘 올라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올려준다.
환자
침상을 벗어날 때는 주의를 기울이고, 일어나기 힘들다면 주변에 도움을 청한다.
환경
대상자에게 맞는 크기의 신발을 제공한다.
주변 의료기기와 전선을 대상자의 활동범위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낙상 위험군 표시낙상 고위험환자에게 낙상고위험군 팔찌를 하도록 하고 환자의 침상에 고위험군 표시를 부착한다.
낙상고위험군 표시
낙상 위험 팔찌
환경관리
미끄러운 곳은 주의하도록 스티커를 부착하고 안내판을 세워두어 낙상에 대한 인식을 높여 낙상으로 인한 신체손상을 예방한다.
화장실 바닥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매트를 깔아서 낙상으로 인한 신체손상을 예방한다.
낙상예방 미끄럼방지 매트
미끄럼주의 표시판
시설관리
Side rail 빈공간으로 내려오는 환자를 위한 침대를 구비하여 빈공간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한다.
낙상 고위험 환자에게 낙상방지 매트 적용하여 침상이탈시 간호사실에서 알림이 울리도록 하여 조기에 발견 및 낙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낙상고위험군 침대
낙상방지매트
활동 효과
(활동결과)
1. 낙상 예방 check list
낙상과 관련하여 스스로 자가 측정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환자 본인에게 자신의 보행능력 정도와 낙상에 대한 불안정도 및 낙상의 위험요소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환자의 낙상 위험정도에 대해 인지하게 되며, 낙상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의료진에게 낙상예방 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공할 수 있었다.
2. 낙상 위험군 표시
의식의 저하 또는 거동 장애로 인한 낙상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위험군을 표시하였으며, 해당 대상자들에게 더욱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낙상예방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3. 환경관리
시설 환경 점검, 바닥에 액체가 떨어지면 즉시 닦음등의 활동을 통해 낙상 예방 활동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4. 시설관리
side rail 잘 올라가는지 확인하기, 침대 바퀴 고정 잘되는지 확인하기 등 의 활동을 통해 낙상 예방 활동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Ⅲ. 결론
결론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 하나이며, 예측과 예방이 가능하다. 낙상 예방 활동은 재원 일수 감소, 낙상으로 인한 최소화 등 비용대비 효과가 크기 때문에 낙상위험요인에 따른 맞춤형 예방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활동기간동안 낙상이 1건 발생하였지만, 단기간의 활동으로는 낙상사고발생건수를 줄이기엔 어려움이 있어 향후 지속적인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이해 정도에 따른 맞춤형 낙상 예방 방법에 대해 다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발생하는 낙상사고에 대해 직원들 간의 사례 공유를 통해 원인 분석하며, 직원들의 낙상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켜 개선안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참고문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 news letter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210/qi_main201210.html
신미자 외 공저, 「간호관리학」, 수문사(2020), 646-647p
천자혜, 김현아, 곽미정, 김효선, 박선경, 김문숙, 최애리, 황지인, 김윤숙(2018). 낙상위험요인 평가 및 낙상예방활동 임상진료지침.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24(2), 41-61.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김금순, 임상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의 안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추천자료
관리실습 인공신장실
[A+간호관리학실습] 손씻기 QI 보고서
간호관리학, 대한간호협회의 간호표준(2003)에 근거하여 간호관리 실습병동 평가 및 개선안 ...
간호관리학case, 간호관리학 내과병동,간호관리학 내과병동 case
간호관리학 A+받은자료 병동QI보고서 (교육을 통한 적절한 소변백관리)
간호관리학 케이스 스터디, 문제해결과정보고서
[간호관리학 QI보고서] 실습기관의 QI 현황 간호관리학 QI 보고서 성찰
동아대학교병원 간호사 자소서 3편 모음집] 동아대학교의료원 간호사 최신 자기소개서 총 3편...
간호관리학실습_QI_보고서_손위생_손씻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