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간호관리학 실습개요
1. 실습목적
2. 실습목표
II. 실습내용
1. 간호부서 관리
1) 병원 및 간호부서의 목적과 철학을 기술하시오.
2) 병원 및 간호부서의 조직기구표를 그리고 병원내 간호부서의 위치와 기능을 기술하시오.
3) 각급 간호관리자의 관리책임을 기술하시오.
2. 간호단위 관리
1) 실습병원의 간호단위의 구분과 간호전달체계를 기술하시오.
2) 간호단위의 구성과 시설을 기술하시오.
3) 병동의 일과(일일활동내역서)를 기술하시오.
4) 간호단위 업무부담을 기술하시오.
5) 대상자 간호관리에 대해 기술하시오.
3. 기록 및 보고서
1) 간호사 및 간호관리자가 수행하는 기록과 보고서의 종류, 보고 절차를 기술하시오.
2) Kardex를 작성하시오.
3) 사건보고서를 작성하시오.
4. 간호 정보시스템의 활용
1)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OCS)에 대해 기술하시오.
OCS : Order Communication System(처방전달, 원무, 일반관리)
1. 원무시스템
2. 처방 시스템
< 실제 EMR 작성시 OCS 방법 >
1. 실습목적
2. 실습목표
II. 실습내용
1. 간호부서 관리
1) 병원 및 간호부서의 목적과 철학을 기술하시오.
2) 병원 및 간호부서의 조직기구표를 그리고 병원내 간호부서의 위치와 기능을 기술하시오.
3) 각급 간호관리자의 관리책임을 기술하시오.
2. 간호단위 관리
1) 실습병원의 간호단위의 구분과 간호전달체계를 기술하시오.
2) 간호단위의 구성과 시설을 기술하시오.
3) 병동의 일과(일일활동내역서)를 기술하시오.
4) 간호단위 업무부담을 기술하시오.
5) 대상자 간호관리에 대해 기술하시오.
3. 기록 및 보고서
1) 간호사 및 간호관리자가 수행하는 기록과 보고서의 종류, 보고 절차를 기술하시오.
2) Kardex를 작성하시오.
3) 사건보고서를 작성하시오.
4. 간호 정보시스템의 활용
1)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OCS)에 대해 기술하시오.
OCS : Order Communication System(처방전달, 원무, 일반관리)
1. 원무시스템
2. 처방 시스템
< 실제 EMR 작성시 OCS 방법 >
본문내용
절약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연관된 문제이다.
- 병원은 항상 판매자의 제품원가에 대한 비용분석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 비용절감을 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매예정 가격을 책정
(5) 적정재고수준의 유지
- 재고의 고갈을 초래하지 않은 최소량의 재고용품의 수준이 어느 정도 인가를 판단
- 가장 합리적인 저장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
(6) 합리적인 저장
- 저장비용을 적게 들어서 물자를 효율적으로 보관하는 것
(7) 효과적인 분배제도의 확립
- 구매된 물자를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 물품의 원활한 공급과 절약 측면
- 물품청구나 수량절차
(8) 경제적인 수리
- 새로 구입하는 것보다 적은 돈을 들여서 수리하여 그 품목의 본래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면 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
(9) 적기의 처분
- 물품의 처분의 대상을 폐품 또는 사용하지 않는 불용품이며, 재고 자산에 있어서는 잉여품이다.
(10) 직원교육
- 물품관리 분야는 단시간에 익숙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기초지식과 오랜 시간에 걸친 훈련이 요구된다.
(11) 비용절감
- 적정재고의 유지
- 자동구매제도
- 공동구매제도
- 구매물품의 표준화
- 가격정보의 수집
- 보상제도의 활용
- 물품의 유효기간 내 사용
- 가치분석기법의 활용
(12) 간호단위 관리자의 물품관리
- 비품과 물자는 환자간호와 간호단위 운영을 위한 도구이므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다.
- 병원의 진료 기구나 간호용품이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비싸다.
- 병원용품의 대부분은 간호사가 사용하고 소비 된다.
(13) 기준량 설정
- 침상, 옷장, 의자, bedside table
- 베개
- 변기
- S-Cart
- Wheel chair
- 공급품 : 소모품
- 주기적 충당 : 1주일, 1개월 동안 기간
- 반소모품, 린넨
(14) 청구와 교환
- 물품청구는 매월 1회 청구하는 의료소모품, 사무용품 등 정기 청구이다.
- 청구방법 : 병원업무의 물품관리 항목을 클릭하여 정기 수량일과 상용품목, 관리과, 약제과 등을 확인 후 재고조사 후 물품별로 재고수량, 신청수량을 입력한다.
(15) 보관
- 창고, 물품장
- 선반을 구분하여 정리하고 품명과 규칙을 써 붙여 누구나 찾을 수 있게 정리
(16) 재고목록
- 비품 대장 비치
- 기준량 기록, 재고량 : 기록점검
- 정확한 수량을 기록
- 침상, 책상 등 분실이 잘 안되는 큰 비품은 분기별로 재고 조사
- 잘 분실되는 가위, 응급기구, 혈압계, 고막체온계 : 매 근무마다 기록
(17) 물품사용의 훈련
- 모든 직원이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물품사용에 대한 훈련, 지도의 책임이 수간호사에게 있다.
- 신규직원이 배치
- 신규장비나 기구 도입
- 간호관리자가 먼저 배우거나, 해당 전문가를 초청하여 교육 받는다.
⑥ 간호단위 약품관리에 대해 기술하시오.
- 해당일에 한해 투석환자의 약을 원무과 접수후 약제과에서 처방받아 투약 및 배부함.
⑦ 간호단위 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시오.
- 병동과 달리 외래운영으로 인해 입원환자가 없어 확실한 환자의 간호가 불분명함.
- 응급상황 발생시 환자에 대한 처치가 부족할 수 있음.
- 투석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통원치료가 아닌 입원치료로서의 전환이 필요함.
3. 기록 및 보고서
1) 간호사 및 간호관리자가 수행하는 기록과 보고서의 종류, 보고 절차를 기술하시오.
- Work sheet, 투석기록지, 집담회, 사건보고서, 각종 환자 및 업무관련 보고서, 환자 일일 현황보고, 출근확인서, 감염성 폐기물 대장, 간호교육 학점제 대장, 비품대장, 간호단위 교육 계획서
- Work sheet : 당일 환자에 한해 예약환자 확인함.
인계사항 전달함.
오 전
오 후
저 녁
비 고
환자명
투 약
특이사항
환자명
투 약
특이사항
환자명
투 약
특이사항
- 사건보고서 : 6하원칙에 의해 낙상등의 사고 기록함.
- EMR : 간호정보조사지
2) Kardex를 작성하시오.
- 건국대 충주병원은 OCS사용으로 Kardex사용 없음.
3) 사건보고서를 작성하시오.
- .
4. 간호 정보시스템의 활용
1)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OCS)에 대해 기술하시오.
OCS : Order Communication System(처방전달, 원무, 일반관리)
1. 원무시스템
1) 기능
① 진료 예약/접수/수납
② 입원 예약/접수/수납
③ 보험 청구 (EDI)
④ 통계, 의사관리
2) 특징
① 빠르고 정확한 업무처리
② 진료비의 상세내역을 조회 및 출력하므로 써 환자와의 진료비 마찰해결
③ 메시지 처리 가능
④ 통계자료의 자유로운 데이터 변환
3) 기대효과
① 원무 업무에 표준화
② 인력의 효율적 활용
③ 수가 변화에 쉽게 대처
④ 청구 및 지급기간 단축 및 삭감의 최소화
⑤ 진료수익 극대화
2. 처방 시스템
1) 기능
① 처방
② 외래간호 / 입원간호
③ 치료실관리
2) 특징
① 사용자 중심의 기능
② 팝업메뉴의 사용으로 기능의 확장
③ 환자의 정보 및 처방 사항이 한눈에 파악 재고 시스템 연계를 통한 자동 재고 관리
< 실제 EMR 작성시 OCS 방법 >
(1) 간호정보조사지 작성
- 환자를 조회한 후 문서선택 화면에서 간호정보조사지를 출력한다.
- 문서는 삭제한 후 간호정보 조사지 작성 후 Scan 저장한다.
(2) 간호기록 작성
- Focus 기록을 한다.
- 본인의 ID로 작성해야 하며, 오른쪽 상단의 문진과 Help에는 Focus기록을 위한 Set이 병동별로 저장되어 있다.
- 왼쪽 상단의 Title은 입력하는 간호사의 성명을 나타내며, 추가, 삽입 버튼을 눌러 간호기록 칸을 조절한다.
- 항상 기록을 작성한 후에는 입력 버튼을 눌러야 한다.
(3) 저장된 문서 확인방법
- Toolbar의 녹색버튼 EMR을 클릭하면, 위의 화면이 조회된다.
- 작성문서를 확인하면 Old Chart와 스캔 저장된 기록들도 모두 조회할 수 있다.
(4) SCAN 저장 방법
- EMR 녹색 버튼을 눌러 저장할 해당 폴더를 열어 놓은 후 스캔 버튼을 누른다.
- 흑백, 컬러 버튼을 선택하여 누른다. 화면에 문서가 확인되면 입력 버튼을 누른다.
- 병원은 항상 판매자의 제품원가에 대한 비용분석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 비용절감을 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매예정 가격을 책정
(5) 적정재고수준의 유지
- 재고의 고갈을 초래하지 않은 최소량의 재고용품의 수준이 어느 정도 인가를 판단
- 가장 합리적인 저장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
(6) 합리적인 저장
- 저장비용을 적게 들어서 물자를 효율적으로 보관하는 것
(7) 효과적인 분배제도의 확립
- 구매된 물자를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 물품의 원활한 공급과 절약 측면
- 물품청구나 수량절차
(8) 경제적인 수리
- 새로 구입하는 것보다 적은 돈을 들여서 수리하여 그 품목의 본래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면 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
(9) 적기의 처분
- 물품의 처분의 대상을 폐품 또는 사용하지 않는 불용품이며, 재고 자산에 있어서는 잉여품이다.
(10) 직원교육
- 물품관리 분야는 단시간에 익숙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기초지식과 오랜 시간에 걸친 훈련이 요구된다.
(11) 비용절감
- 적정재고의 유지
- 자동구매제도
- 공동구매제도
- 구매물품의 표준화
- 가격정보의 수집
- 보상제도의 활용
- 물품의 유효기간 내 사용
- 가치분석기법의 활용
(12) 간호단위 관리자의 물품관리
- 비품과 물자는 환자간호와 간호단위 운영을 위한 도구이므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다.
- 병원의 진료 기구나 간호용품이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비싸다.
- 병원용품의 대부분은 간호사가 사용하고 소비 된다.
(13) 기준량 설정
- 침상, 옷장, 의자, bedside table
- 베개
- 변기
- S-Cart
- Wheel chair
- 공급품 : 소모품
- 주기적 충당 : 1주일, 1개월 동안 기간
- 반소모품, 린넨
(14) 청구와 교환
- 물품청구는 매월 1회 청구하는 의료소모품, 사무용품 등 정기 청구이다.
- 청구방법 : 병원업무의 물품관리 항목을 클릭하여 정기 수량일과 상용품목, 관리과, 약제과 등을 확인 후 재고조사 후 물품별로 재고수량, 신청수량을 입력한다.
(15) 보관
- 창고, 물품장
- 선반을 구분하여 정리하고 품명과 규칙을 써 붙여 누구나 찾을 수 있게 정리
(16) 재고목록
- 비품 대장 비치
- 기준량 기록, 재고량 : 기록점검
- 정확한 수량을 기록
- 침상, 책상 등 분실이 잘 안되는 큰 비품은 분기별로 재고 조사
- 잘 분실되는 가위, 응급기구, 혈압계, 고막체온계 : 매 근무마다 기록
(17) 물품사용의 훈련
- 모든 직원이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물품사용에 대한 훈련, 지도의 책임이 수간호사에게 있다.
- 신규직원이 배치
- 신규장비나 기구 도입
- 간호관리자가 먼저 배우거나, 해당 전문가를 초청하여 교육 받는다.
⑥ 간호단위 약품관리에 대해 기술하시오.
- 해당일에 한해 투석환자의 약을 원무과 접수후 약제과에서 처방받아 투약 및 배부함.
⑦ 간호단위 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시오.
- 병동과 달리 외래운영으로 인해 입원환자가 없어 확실한 환자의 간호가 불분명함.
- 응급상황 발생시 환자에 대한 처치가 부족할 수 있음.
- 투석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통원치료가 아닌 입원치료로서의 전환이 필요함.
3. 기록 및 보고서
1) 간호사 및 간호관리자가 수행하는 기록과 보고서의 종류, 보고 절차를 기술하시오.
- Work sheet, 투석기록지, 집담회, 사건보고서, 각종 환자 및 업무관련 보고서, 환자 일일 현황보고, 출근확인서, 감염성 폐기물 대장, 간호교육 학점제 대장, 비품대장, 간호단위 교육 계획서
- Work sheet : 당일 환자에 한해 예약환자 확인함.
인계사항 전달함.
오 전
오 후
저 녁
비 고
환자명
투 약
특이사항
환자명
투 약
특이사항
환자명
투 약
특이사항
- 사건보고서 : 6하원칙에 의해 낙상등의 사고 기록함.
- EMR : 간호정보조사지
2) Kardex를 작성하시오.
- 건국대 충주병원은 OCS사용으로 Kardex사용 없음.
3) 사건보고서를 작성하시오.
- .
4. 간호 정보시스템의 활용
1)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OCS)에 대해 기술하시오.
OCS : Order Communication System(처방전달, 원무, 일반관리)
1. 원무시스템
1) 기능
① 진료 예약/접수/수납
② 입원 예약/접수/수납
③ 보험 청구 (EDI)
④ 통계, 의사관리
2) 특징
① 빠르고 정확한 업무처리
② 진료비의 상세내역을 조회 및 출력하므로 써 환자와의 진료비 마찰해결
③ 메시지 처리 가능
④ 통계자료의 자유로운 데이터 변환
3) 기대효과
① 원무 업무에 표준화
② 인력의 효율적 활용
③ 수가 변화에 쉽게 대처
④ 청구 및 지급기간 단축 및 삭감의 최소화
⑤ 진료수익 극대화
2. 처방 시스템
1) 기능
① 처방
② 외래간호 / 입원간호
③ 치료실관리
2) 특징
① 사용자 중심의 기능
② 팝업메뉴의 사용으로 기능의 확장
③ 환자의 정보 및 처방 사항이 한눈에 파악 재고 시스템 연계를 통한 자동 재고 관리
< 실제 EMR 작성시 OCS 방법 >
(1) 간호정보조사지 작성
- 환자를 조회한 후 문서선택 화면에서 간호정보조사지를 출력한다.
- 문서는 삭제한 후 간호정보 조사지 작성 후 Scan 저장한다.
(2) 간호기록 작성
- Focus 기록을 한다.
- 본인의 ID로 작성해야 하며, 오른쪽 상단의 문진과 Help에는 Focus기록을 위한 Set이 병동별로 저장되어 있다.
- 왼쪽 상단의 Title은 입력하는 간호사의 성명을 나타내며, 추가, 삽입 버튼을 눌러 간호기록 칸을 조절한다.
- 항상 기록을 작성한 후에는 입력 버튼을 눌러야 한다.
(3) 저장된 문서 확인방법
- Toolbar의 녹색버튼 EMR을 클릭하면, 위의 화면이 조회된다.
- 작성문서를 확인하면 Old Chart와 스캔 저장된 기록들도 모두 조회할 수 있다.
(4) SCAN 저장 방법
- EMR 녹색 버튼을 눌러 저장할 해당 폴더를 열어 놓은 후 스캔 버튼을 누른다.
- 흑백, 컬러 버튼을 선택하여 누른다. 화면에 문서가 확인되면 입력 버튼을 누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