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자료 및 방법
1. 입원기간
2. 병 동
3. 대 상
4.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 증상
4. 진단방법
5. 치료와 간호
6. 예후와 합병증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Ⅱ. 자료 및 방법
1. 입원기간
2. 병 동
3. 대 상
4.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 증상
4. 진단방법
5. 치료와 간호
6. 예후와 합병증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맥 수술)
신체검진
1.전반적 상태
기 형 무 유
동 통 무 유(부위-두통 흉통 복통 요통 사지통 기타)
(정도-둔함 쑤심 퍼짐 예리함 찌르는듯함)
식 욕 좋음 보통 체중변화 없음 있음
2.습관
수면장애 무 유 수면제 복용 무 유
대 변 횟수(1회)/5일 (증상-설사 변비 동통 기타 )
소 변 횟수(4-5회)/일 (색깔-호박색 진한 콜라색 혈뇨)
빈뇨 핍뇨 긴급뇨의 실금 작열감 배뇨곤란
3.의식상태 및 정서상태
지 남 력 사람(유 무) 시간(유 무) 장소(유 무)
의식상태 명료 혼돈 반의식 무의식
의사소통 원만함 곤란함 불가능
정서상태 안정 불안 슬픔 분노 우울 흥분 안절부절
4.순환기계
순환장애 무 유 (증상-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부정맥 심계항진 식은땀)
부 종 무 유 (부위-전신 사지 상지 하지 얼굴 안검)
요 흔 무 유
5.호흡기계
호흡기장애 무 유(증상-호흡곤란 가래 기침 폐잡음 청색증 결핵
기관절개관)
6.소화기계
소화기장애 무 유(증상-오심 구토 복부동통 복부팽만 소화장애 토혈
점액변 인공장 연하곤란)
7.신경계
동공크기 대칭 비대칭 빛반사 좌(반응 무반응) 우(반응 무반응)
시력장애 무 유 (보조기-안경 콘텍트렌즈 의안)
청력장애 무 유 (상태-청력저하 보청기 이명 청각상실)
마비 및 쇠약 무 유 (부위-오른팔 오른발 왼팔 왼발)
8.비뇨기계
비뇨기장애 무 유(증상- 빈뇨 핍뇨 긴급뇨의 실금 작열감 배뇨곤란)
9.피부기계
피부손상 무 유(증상-창박 홍조 청색증 황달 욕창 소양감 자반)
10.보조기구 무 유 (목발 의수 brace wheel chair 의치 기타 )
※객관적 자료
(1) 혈액검사 결과 보고서 (5/27)
임상화학결과보고서
구분
정상범위
수치
Hemaglobin
13.5 ~ 17.5 g/dL
9.6
RBC
4.20 ~ 6.10 X100³/ul
3.13
Monocyte
3 ~ 10 %
11.3
Hematocrit
40 ~ 52 %
27.9
Platelet
130 ~ 400 X10³/ul
121
PCT
0.126 ~ 0.572 %
0.11
2)자료분석
주관적
객관적
간호문제
자료분석
“소화안되고 갑갑해서 잠이 안와요.”
“소화제좀 주세요.”
“배가 불러서 소화가 안되는 것 같아요.”
작년 12월에 마지막으로 복수 천자하심.
저녁 med에 소화제 드림.
소화불량
신체적측면
“머리가 아프고, 양다리가 저려요.”
“배가아파요.진통제 놔주세요.”
“손발이 저려요.”
계속 compain하시고 간호사실 계속 오셔서 약 요구하심.
같은 방 환자와 다투심.
통증
신체적측면
2.간호진단
#1. 복수와 관련된 소화불량
#2. 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우선순위 결정
#1→#2
3.우선순위에 따른 간호 계획
#1.복수와 관련된 소화불량
간호목표
단기목표 : ①3일 후에는 배가 갑갑한 증상이 완화 되었다고 말할 것 이다.
②일주일 후에는 복수가 일주일 전보다 빠진 것 같다고 말할 것 이다.
장기목표 : ①1달 후에는 소화가 잘 돼서 식사를 잘 하고 있다고 말할 것 이다.
②2달 후에는 복수가 거의 없어져서 복통이 없어 졌다고 말할 것 이다.
간호지시
①복수의 원인을 찾아서 그 원인을 없앨 수 있도록 할 것이다.
②복수를 없애기 위해서 복수천자를 하도록 할 것 이다.
③하루에 20분정도는 간단한 운동 (걷는 운동)을 하도록 할 것이다.
④소화불량을 없애기 위해서 소화제(우루사정)를 드시도록 할 것이다.
#2.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간호목표
단기목표 : ①3일 후에는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②일주일 후에는 손, 발 저림도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 ①20일 후에는 통증이 없어 졌다고 말할 것이다.
②1달 후에는 손, 발 저림도 많이 없어지고, 마음도 처음보다는 안정되었다고 말 할 것이다.
간호지시
①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통제(plcebo)를 Iv로 주사할 것이다.
②언제 가장 아프고, 어떻게 아픈지 어떻게 하면 통증이 완화 되는지 대상자에게 물어보고, 통증의 원인을 알아 낼 것 이다.
③마음을 편히 갖도록 하고, 불안해 하지 않게 하고, 희망을 갖도록 격려 해 줄 것이다.
④통증완화법을 알아내어 대상자에게 알려주고, 통증이 없어질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Ⅴ.결론 및 제언
지금 김OO님은 처음에 입원하셨을 때보다 많이 마음도 진정 되셨고, 증상도 처음보다는 많이 괜찮아 지셨다. 처음에는 불안해 하면서 계속 간호사실로 나오셔서 약을 요구하시고, 아프다고 complain 하시고, 방환자분과 다투기 까지 하셨는데, 지금은 약을 요구하시는 것도
처음보다 많이 줄어들었고, 방 환자분들과도 잘 지내고 계신다.
그리고, 지금은 운동도 매일 식사하시고 오후에 20분정도 씩 걷기 운동도 하고 오시고, 처음보다 예민하지도 않으시다. 지금처럼 이렇게 약물 치료도하고, 운동도 열심히하고, 담배나 술을 하시지 않으면서 치료하면 증상이 완화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술을 처음에 히스토리 작성할 때에는 안 하신다고 하셨는데, 다시 알고보니 간경화의 원인이 술이라고 하셨다. 병원에 계시면서 술은 드시지 않는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고, 이번에 입원을 계기로 금주를 해서 증상이 악화되시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간경화가 악화되면 간암이 될 수 있는데, 이런 위험한 상황과 주의해야 할 점들을 간접적으로 잘 설명드려서 절대로 악화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본 케이스를 통해서 간경화에 대해서 더욱더 자세히 알게 될 수 있었고, 공부할 수 있었다. 그래서 엄마께 술을 드시면 얼마나 몸에 안좋고, 어떻게 되는지 알려드려서 꼭 엄마께서 건강을 지키실 수 있도록 해야 겠다.
김OO님 께도 담배와 음주는 절대 하지말라고 설명드려서 더 악화되는 일은 없도록 할 것이다. 지금 이렇게 간호사로써 대상자에게 해주어야 할 일들을 더 공부하려고 노력하고, 어떻게 해주어야 할지 고민하고 이런 마음을 꼭 끝까지 지켜나가서 더욱더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1.그림으로 보는 병리학-정담미디어-김명애, 김영경, 김복랑 외8명
2.성인간호학\'상\'-현문사-전시자, 박정숙, 이미화외10명
3.주산간호학 임상 메뉴얼-신광출판사-하영수
신체검진
1.전반적 상태
기 형 무 유
동 통 무 유(부위-두통 흉통 복통 요통 사지통 기타)
(정도-둔함 쑤심 퍼짐 예리함 찌르는듯함)
식 욕 좋음 보통 체중변화 없음 있음
2.습관
수면장애 무 유 수면제 복용 무 유
대 변 횟수(1회)/5일 (증상-설사 변비 동통 기타 )
소 변 횟수(4-5회)/일 (색깔-호박색 진한 콜라색 혈뇨)
빈뇨 핍뇨 긴급뇨의 실금 작열감 배뇨곤란
3.의식상태 및 정서상태
지 남 력 사람(유 무) 시간(유 무) 장소(유 무)
의식상태 명료 혼돈 반의식 무의식
의사소통 원만함 곤란함 불가능
정서상태 안정 불안 슬픔 분노 우울 흥분 안절부절
4.순환기계
순환장애 무 유 (증상-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부정맥 심계항진 식은땀)
부 종 무 유 (부위-전신 사지 상지 하지 얼굴 안검)
요 흔 무 유
5.호흡기계
호흡기장애 무 유(증상-호흡곤란 가래 기침 폐잡음 청색증 결핵
기관절개관)
6.소화기계
소화기장애 무 유(증상-오심 구토 복부동통 복부팽만 소화장애 토혈
점액변 인공장 연하곤란)
7.신경계
동공크기 대칭 비대칭 빛반사 좌(반응 무반응) 우(반응 무반응)
시력장애 무 유 (보조기-안경 콘텍트렌즈 의안)
청력장애 무 유 (상태-청력저하 보청기 이명 청각상실)
마비 및 쇠약 무 유 (부위-오른팔 오른발 왼팔 왼발)
8.비뇨기계
비뇨기장애 무 유(증상- 빈뇨 핍뇨 긴급뇨의 실금 작열감 배뇨곤란)
9.피부기계
피부손상 무 유(증상-창박 홍조 청색증 황달 욕창 소양감 자반)
10.보조기구 무 유 (목발 의수 brace wheel chair 의치 기타 )
※객관적 자료
(1) 혈액검사 결과 보고서 (5/27)
임상화학결과보고서
구분
정상범위
수치
Hemaglobin
13.5 ~ 17.5 g/dL
9.6
RBC
4.20 ~ 6.10 X100³/ul
3.13
Monocyte
3 ~ 10 %
11.3
Hematocrit
40 ~ 52 %
27.9
Platelet
130 ~ 400 X10³/ul
121
PCT
0.126 ~ 0.572 %
0.11
2)자료분석
주관적
객관적
간호문제
자료분석
“소화안되고 갑갑해서 잠이 안와요.”
“소화제좀 주세요.”
“배가 불러서 소화가 안되는 것 같아요.”
작년 12월에 마지막으로 복수 천자하심.
저녁 med에 소화제 드림.
소화불량
신체적측면
“머리가 아프고, 양다리가 저려요.”
“배가아파요.진통제 놔주세요.”
“손발이 저려요.”
계속 compain하시고 간호사실 계속 오셔서 약 요구하심.
같은 방 환자와 다투심.
통증
신체적측면
2.간호진단
#1. 복수와 관련된 소화불량
#2. 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우선순위 결정
#1→#2
3.우선순위에 따른 간호 계획
#1.복수와 관련된 소화불량
간호목표
단기목표 : ①3일 후에는 배가 갑갑한 증상이 완화 되었다고 말할 것 이다.
②일주일 후에는 복수가 일주일 전보다 빠진 것 같다고 말할 것 이다.
장기목표 : ①1달 후에는 소화가 잘 돼서 식사를 잘 하고 있다고 말할 것 이다.
②2달 후에는 복수가 거의 없어져서 복통이 없어 졌다고 말할 것 이다.
간호지시
①복수의 원인을 찾아서 그 원인을 없앨 수 있도록 할 것이다.
②복수를 없애기 위해서 복수천자를 하도록 할 것 이다.
③하루에 20분정도는 간단한 운동 (걷는 운동)을 하도록 할 것이다.
④소화불량을 없애기 위해서 소화제(우루사정)를 드시도록 할 것이다.
#2.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간호목표
단기목표 : ①3일 후에는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②일주일 후에는 손, 발 저림도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 ①20일 후에는 통증이 없어 졌다고 말할 것이다.
②1달 후에는 손, 발 저림도 많이 없어지고, 마음도 처음보다는 안정되었다고 말 할 것이다.
간호지시
①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통제(plcebo)를 Iv로 주사할 것이다.
②언제 가장 아프고, 어떻게 아픈지 어떻게 하면 통증이 완화 되는지 대상자에게 물어보고, 통증의 원인을 알아 낼 것 이다.
③마음을 편히 갖도록 하고, 불안해 하지 않게 하고, 희망을 갖도록 격려 해 줄 것이다.
④통증완화법을 알아내어 대상자에게 알려주고, 통증이 없어질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Ⅴ.결론 및 제언
지금 김OO님은 처음에 입원하셨을 때보다 많이 마음도 진정 되셨고, 증상도 처음보다는 많이 괜찮아 지셨다. 처음에는 불안해 하면서 계속 간호사실로 나오셔서 약을 요구하시고, 아프다고 complain 하시고, 방환자분과 다투기 까지 하셨는데, 지금은 약을 요구하시는 것도
처음보다 많이 줄어들었고, 방 환자분들과도 잘 지내고 계신다.
그리고, 지금은 운동도 매일 식사하시고 오후에 20분정도 씩 걷기 운동도 하고 오시고, 처음보다 예민하지도 않으시다. 지금처럼 이렇게 약물 치료도하고, 운동도 열심히하고, 담배나 술을 하시지 않으면서 치료하면 증상이 완화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술을 처음에 히스토리 작성할 때에는 안 하신다고 하셨는데, 다시 알고보니 간경화의 원인이 술이라고 하셨다. 병원에 계시면서 술은 드시지 않는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고, 이번에 입원을 계기로 금주를 해서 증상이 악화되시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간경화가 악화되면 간암이 될 수 있는데, 이런 위험한 상황과 주의해야 할 점들을 간접적으로 잘 설명드려서 절대로 악화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본 케이스를 통해서 간경화에 대해서 더욱더 자세히 알게 될 수 있었고, 공부할 수 있었다. 그래서 엄마께 술을 드시면 얼마나 몸에 안좋고, 어떻게 되는지 알려드려서 꼭 엄마께서 건강을 지키실 수 있도록 해야 겠다.
김OO님 께도 담배와 음주는 절대 하지말라고 설명드려서 더 악화되는 일은 없도록 할 것이다. 지금 이렇게 간호사로써 대상자에게 해주어야 할 일들을 더 공부하려고 노력하고, 어떻게 해주어야 할지 고민하고 이런 마음을 꼭 끝까지 지켜나가서 더욱더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1.그림으로 보는 병리학-정담미디어-김명애, 김영경, 김복랑 외8명
2.성인간호학\'상\'-현문사-전시자, 박정숙, 이미화외10명
3.주산간호학 임상 메뉴얼-신광출판사-하영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