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Chapter 6. 신생아의 건강문제
1. 산모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고위험
2.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3. 생리적 요인과 관련된 고위험(high risk related to physiologic factors)
4. 감염과 관련된 고위험
II. Chapter 7. 영아기 아동의 건강증진 및 유지
1. 건강증진 및 유지: 영아기 아동
2. 최적의 성장발달 증진하기
3. 영아의 건강증진
III. Chapter 8. 유아와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1. 유아의 건강증진 및 유지
2.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 및 유지
IV. Chapter 9.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의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1. 건강증진과 유지: 학령기 아동
2. 건강증진과 유지: 청소년
1. 산모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고위험
2.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3. 생리적 요인과 관련된 고위험(high risk related to physiologic factors)
4. 감염과 관련된 고위험
II. Chapter 7. 영아기 아동의 건강증진 및 유지
1. 건강증진 및 유지: 영아기 아동
2. 최적의 성장발달 증진하기
3. 영아의 건강증진
III. Chapter 8. 유아와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1. 유아의 건강증진 및 유지
2.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 및 유지
IV. Chapter 9.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의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1. 건강증진과 유지: 학령기 아동
2. 건강증진과 유지: 청소년
본문내용
1. 산모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고위험
ü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Infant of Diabetic Mother)
- 태아 및 신생아 사망률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산모는 사산, 고위험 정도 심.
- 태아사망: 37주 이후 급격히 ↑, 유도 분만, 정기적 산전 진찰 중요
<중 략>
1) 병태생리
Ÿ 모체의 고혈당 → 태아의 고혈당 → 태아의 인슐린 분비 ↑ → 거대아, 저혈당증
Ÿ 모체의 혈당은 태반 통과 but, 인슐린은 태반 통과 X
Ÿ 태아의 인슐린 → 단백질, 지방 합성 ↑. 거대아 →열손실 ↑→ 저체온 *포도당의 중성지방 저장 촉진→ 과도한 태지
Ÿ 태아의 고혈당증, 고인슐린혈증 → 폐포 내 surfactant(계면활성제) 합성 ↓ → 호흡곤란
Ÿ 인슐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대사 ↑, 골격근, 지방조직, 간, 심장 등에 영향 → 기형 빈도 ↑
2) 증상: 거대아, 적혈구 과다증, 불안정, 기면. 호흡곤란, 저혈당증/저칼슘혈증, 고빌리루빈혈증. 선천성 기형의 빈도 ↑
3) 치료 및 간호
Ÿ 생후 2~4일간은 혈당검사 자주 실시 저혈당 검사(뒷꿈치)
Ÿ 저혈당 예방: 5% 포도당 → 10% 포도당 → 조제유(조기수유)
Ÿ 보육기 사용(체온조절 위해). 출생 시 손상 관찰: 거대아 → 상지 마비, 쇄골골절, 횡격막 마비 등
2.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ü 효소6)결함으로 정상대사 X, 독성 대사산물이 축적7). 6)생화학적인 대사에 필요한 효소, 조효 7)뇌, 심장, 간, 신장 등에
ü 상염색체 열성 유전 by 효소형성 유전자이상
ü 대사이상 질환 의심 증상: 식욕부진, 수유곤란, 구토, 경련, 혼수, 기면
1)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Congenital Hypothyroidism, Cretinism): 여아가 3배
① 원인
- 갑상선 형성부전(80%), 갑상선 호르몬 합성장애(10~15%), 뇌하수체 기능장애 → 갑상선 호르몬 결핍 초래
ü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Infant of Diabetic Mother)
- 태아 및 신생아 사망률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산모는 사산, 고위험 정도 심.
- 태아사망: 37주 이후 급격히 ↑, 유도 분만, 정기적 산전 진찰 중요
<중 략>
1) 병태생리
Ÿ 모체의 고혈당 → 태아의 고혈당 → 태아의 인슐린 분비 ↑ → 거대아, 저혈당증
Ÿ 모체의 혈당은 태반 통과 but, 인슐린은 태반 통과 X
Ÿ 태아의 인슐린 → 단백질, 지방 합성 ↑. 거대아 →열손실 ↑→ 저체온 *포도당의 중성지방 저장 촉진→ 과도한 태지
Ÿ 태아의 고혈당증, 고인슐린혈증 → 폐포 내 surfactant(계면활성제) 합성 ↓ → 호흡곤란
Ÿ 인슐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대사 ↑, 골격근, 지방조직, 간, 심장 등에 영향 → 기형 빈도 ↑
2) 증상: 거대아, 적혈구 과다증, 불안정, 기면. 호흡곤란, 저혈당증/저칼슘혈증, 고빌리루빈혈증. 선천성 기형의 빈도 ↑
3) 치료 및 간호
Ÿ 생후 2~4일간은 혈당검사 자주 실시 저혈당 검사(뒷꿈치)
Ÿ 저혈당 예방: 5% 포도당 → 10% 포도당 → 조제유(조기수유)
Ÿ 보육기 사용(체온조절 위해). 출생 시 손상 관찰: 거대아 → 상지 마비, 쇄골골절, 횡격막 마비 등
2.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ü 효소6)결함으로 정상대사 X, 독성 대사산물이 축적7). 6)생화학적인 대사에 필요한 효소, 조효 7)뇌, 심장, 간, 신장 등에
ü 상염색체 열성 유전 by 효소형성 유전자이상
ü 대사이상 질환 의심 증상: 식욕부진, 수유곤란, 구토, 경련, 혼수, 기면
1)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Congenital Hypothyroidism, Cretinism): 여아가 3배
① 원인
- 갑상선 형성부전(80%), 갑상선 호르몬 합성장애(10~15%), 뇌하수체 기능장애 → 갑상선 호르몬 결핍 초래
추천자료
간호사국가고시- 아동간호학 총정리
아동 간호 (개념,성장,신생-영아-유아-학령-청소년, 영양요구,배설요구,신경,근골격계 장애, ...
[간호학과] 고위험모아간호
고위험모아간호학 2016] 죽음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 유념해야할 점들 아동 발달 단계별 유아...
고위험모아간호학] 2016 고위험모아간호학 죽음 앞둔아동 의사소통 유념할점 아동발달단계별 ...
고위험모아간호학) 죽음앞둔 아동 의사소통 유념할점들 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신생아 분류...
고위험모아간호학] 아동간호시 고려해야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 통제감상실 아동의 임...
아동건강간호학이론요약정리영아기유아기학령전기학령기지역사회 아동입원아동만성질환 아동...
고위험모아간호학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할때 유념해야 할 점들을 아동의 발달단계...
간호 국시 준비-아동간호 전체 범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