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에 대한 교사기대 및 편견의 원천과 기대효과의 전달기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학생에 대한 교사기대 및 편견의 원천

Ⅱ.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행동 경향들

Ⅲ. 교사의 기대효과의 전달기제
1. 자기 충족적 예언
2. 교사의 기대가 학생에게 전달되는 사회심리학적 기제

본문내용

진 교사가 자신이 담당하는 아동들 중에서 어떤 특정의 아동이 머리가 좋다고 믿게 되면, 그 아동의 학업성취도가 실제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아동의 실제 지능은 그렇게 높지 않더라도 이 관계가 성립된다. 자기 충족적 예언이 시사하는 바는 교사가 아동에 대해서 어떤 기대, 신념, 지각, 혹은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서 그 아동의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동의 가능성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신념과 기대의 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2. 교사의 기대가 학생에게 전달되는 사회심리학적 기제
(1)학급의 일반적인 대인지각이나 관계에서 교사의 기대 차가 나타난다. 교사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는 학생에게는 낮은 기대를 하는 학생에 비하여보다 많은 온정을 베푼다.
(2)학생 행동에 대한 반응에서 더 적극적인 칭찬이나 격려 정도에 따라 교사의 기대수준이 표출된다.
(3)학생 개개인에게 투입하는 시간 량에서의 차이를 들 수 있다.
(4)학생의 반응기회에서의 차이를 들 수 있다.
(5)교사는 자기가 지각한 학생의 능력수준에 따라 학습 자료나 그 내용 구성의 난이도 수준을 달리 정한다. 따라서 교사의 기대수준에 따라 과제부과와 자료준비 및 그 제공의 양에 차이가 나게 된다.
<참고문헌>
김병성,『교육사회학 이론 신강』, 학지사, 2004.
이종각,『새로운 교육사회학 총론』, 동문사, 2004.
정진숙,『자기 충족적 예언이 발달장애아의 학습 수행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특수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http://home.pusan.ac.kr/~education/lecture_7.html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3.27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