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등지방이 두꺼운 개체의 비육후기 적정 사료급여량
2. 등지방이 얇은 개체의 비육후기 적정 사료급여량
Ⅲ. 결론
Ⅱ. 본론
1. 등지방이 두꺼운 개체의 비육후기 적정 사료급여량
2. 등지방이 얇은 개체의 비육후기 적정 사료급여량
Ⅲ. 결론
본문내용
합사료를 1.7% 급여한 축군이 다른 축군들에 비해 1등급 출현율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Ⅲ. 결론
앞에서 알아본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육후기 개시시 등지방이 두꺼운 거세한우 중 근내지방도가 양호한 축군의 비육후기 배합사료 적정 급여수준은 체중의 1.7%, 미흡한 축군은 체중의 1.5%가 적정하며, 등지방 두께가 얇은 거세한우는 근내지방도 침착 정도와 관계없이 체중의 1.5%로 제한급여하는 것이 육량과 육질등급 개선을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육후기 개시시에 등지방 두께가 적정상태이면 가장 좋은 품질을 생산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도 최대한으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개체에 따라 적당한 사양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현재 한우는 가격 면에서 수입소고기와 경쟁하기 힘든 상황이다. 그만큼 가격이 비싸고 그만큼 소비층도 넓지 못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우의 가격을 낮춰버려 수입소고기와 경쟁하려 한다면 힘든 상황에서도 버텨오던 농가들마저 결국 특성을 찾지 못하고 몰락하게 될 것이다.
이럴 때 일수록 모든 농가가 한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여 육질, 육량 개선을 통한 한우의 경쟁력 향상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앞에서 알아본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육후기 개시시 등지방이 두꺼운 거세한우 중 근내지방도가 양호한 축군의 비육후기 배합사료 적정 급여수준은 체중의 1.7%, 미흡한 축군은 체중의 1.5%가 적정하며, 등지방 두께가 얇은 거세한우는 근내지방도 침착 정도와 관계없이 체중의 1.5%로 제한급여하는 것이 육량과 육질등급 개선을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육후기 개시시에 등지방 두께가 적정상태이면 가장 좋은 품질을 생산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도 최대한으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개체에 따라 적당한 사양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현재 한우는 가격 면에서 수입소고기와 경쟁하기 힘든 상황이다. 그만큼 가격이 비싸고 그만큼 소비층도 넓지 못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우의 가격을 낮춰버려 수입소고기와 경쟁하려 한다면 힘든 상황에서도 버텨오던 농가들마저 결국 특성을 찾지 못하고 몰락하게 될 것이다.
이럴 때 일수록 모든 농가가 한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여 육질, 육량 개선을 통한 한우의 경쟁력 향상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