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의 치유과정, 증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골절의 치유과정

골절의 증상

골절의 치료

본문내용

철막대기에 연결 → 골절편이 정렬될 때까지 나사
조정 →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
② 내부적 고정
- 나사, 막대기, 철판, 목, 핀을 이용하여 정복한 골절 고정
- 고정에 이용되는 금속 : vitallium, vitalliim stainless steel (이물질 반응이 거의 없음)
- 사용 :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했거나 불가능할 때
ex) ⓐ 불유합되기 쉬운 골절 : 대퇴경부의 골절
ⓑ 골편이 떨어지기 쉬운 골절 : 슬개골의 횡선골절
- 개방성 골절 : 내부 고정 시에 더욱 유리
→ 폐쇄성 골절보다 창상이나 뼈의 감염 빈도가 더 높기 때문에>>
- 나이든 대상자를 위해 좋은 치료 방법임
ⓐ 관절 운동 범위 유지할 수 있기 때문
ⓑ 견인장치만으로 치료하는 것보다 더 빨리 움직일 수 있기 때문
③ 골수강 내 고정방법
- 장골의 골절 치료를 위해 하는 방법
- 금속 ⓐ 철막대기
ⓑ 스미스 피터슨 못
ⓒ 스타인만 핀 삽입
- 전신마취하에 시행
ex) 대퇴간부 골절
→ 골절부위 위쪽의 대퇴측부 절개
→ 철막대기를 골수강으로 삽입
→ 골절된 대퇴의 근위부와 원위부 연결
→ 수술 후 평형성 현수대 견인장치를 하거나 석고붕대 함
④ 나사 고정 방법
- 금속 압박 판과 나사 철사 등을 이용함
- 장골간부 골절시 : 금속판을 대고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나사로 골절부위 고정
* 금속판 : 강해야 하며 최소한 두 개의 나사로 골절을 고정해야 함
→ 뼈 양쪽에 있는 골 피질을 통과하여 안전하게 고정시켜야 함
- 고정기구 : 골절부위 위쪽을 절개하여 삽입 → 수술 후에 부목을 일시적으로 사용
→ 부종이 가라앉을 때까지 환부지지 → 석고붕대로 감음
- 삽입된 금속류 : 대상자의 반응에 따라 골절이 완전히 유합된 후에 의사가 결정하여
제거
⑤ 수술용 스미스 피터슨 못 고정방법
- 대퇴경부 골절을 내부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수술용 못 삽입
→ 골유합의 실패율이 높고 골절 치유 기간도 길기 때문에
→ 대전자부밑과 대퇴경부위, 대퇴두부 쪽으로 삽입
- 골수강 내부 방법
ⓐ 유합이 잘 안되고
ⓑ 노인에게 흔히 발생되므로
⇒ 장기적 침상 안정에 따른 합병증 발생이 많으므로 적용
4) 재활 및 기능의 회복
- 장기간 고정시기를 지나 골절이 치유되면 근육과 관절의 기능이 저하됨
ⓐ 상지의 기능
- 손의 기능으로 쥐는 것, 드는 것, 치는 것, 미는 것 등의 기능과 수근관절
- carpophalangeal joint 의 운동과 척골관절의 운동 촉진 결관절의 운동기능 회복
ⓑ 하지운동
- 기립운동을 시작하면서 보행 훈련함
-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부목, 보행기, 지팡이 등을 사용
ⓒ 관절운동
- 고정 직후부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동적, 능동적 운동을 실시
ⓓ 근육운동
-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 실시
ⓔ 진행성 저항운동
- 근육의 힘을 더욱 더 증강시키기 위하여 점차적으로 힘을 길러 가는 운동
- 사지의 일부에 무게를 가해 주고 그 힘에 대항하여 운동하도록 함
- 운동과 휴식을 균형 있게 시행함
- 대항자와 시술자 모두가 인내심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실시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