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시와 한국시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시와 한국시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없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고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그것은 시인에게 뼈아픈 인식이었겠지만 시인은 그러한 현실을 솔직히 받아드리고 있다. 더군다나 시인이 꿈꾸었던 평화로운 삶에 대한 비전은 결코 맥없이 사라지지 않는다. 그것은 바로 시인에게 갈등과 소란스러움으로 가득한 문명 세계를 변화시킬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이츠의 이 시는 시인의 사상과 정서가 여러 가지 시적인 요소들을 통해서 어떻게 예술적으로 통합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한 가지 좋은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성기조의 시집의 후기인 ‘책 뒤에’에서 “흙에서 태어나서 흙으로 돌아간다”는 말이 있음을 자각하고 있다. 그가 자각하고 있는 말의 내용과 다음의 시의 내용은 일치한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는 죽으면 썩어 흙이 된다는 것이다.
6-1. 죽음에 대하여(흙-30)
보잘 것 없는 무덤뿐인
흙 한줌
그 속에서 萬年 살 것 같아도
금방 썩어 흙이 되는 주검
결국 살아 있음이 죽어 흙이 되는 것-
[중략]
주검으로 거둬들여
다시 흙이 되는
엄청난 造化를 부린다.
그러나 썩어 흙이 된 존재는 영원히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다시 새로운 생명체로 태어난다는 것을 서정적 자아는 다음과 같이 노래하고 있다.
6-2. 復活(흙-31)
흙 속에서
새 싹이 솟았어요.
뾰족하지만
여리디 여린
힘 없는 싹이란 말이예요.
그런데 요게 그 무거운
흙을 뚫고 나왔군요
昨年에 거둬 두었던
씨앗에서 새 순이 나와
흙을 꿰뚫었어요
그러니 이게 復活이 아닌가요.
이리하여 흙은 부활의 모태가 된다. 다시 모든 생명체의 어머니가 된다. 어머니의 품에서 탄생한 모든 생명체는 자라나 죽으면 다시 흙으로 돌아갔다가 부활하는 것을 되풀이한다. 그리하여 흙은 다시 다음과 같이 죽음과 부활의 통로가 된다고 노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상에서 우리는 시에 나타난 자연의 이미지가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모든 생명체의 어머니, (2) 인간 삶의 터전 (3) 사후의 존재, (4) 범접할 수 없는 공간 (5) 하나가 되고 싶은 존재 (6) 부활의 모태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면.
첫째, 자연과 인간의 관계는 어머니와 태아의 관계와 같다. 이 때 흙과 인간의 사이에 있는 동식물은 어머니와 태아의 사이에 있는 태반과 탯줄에 해당한다. 인간은 이 태반과 탯줄을 통하여 흙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으며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에게 있어서 흙과의 단절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한국시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좀 더 밀접하고 자연과의 조화와 공존을 노래하는 한편, 영미시에서는 신에 의해 창조되어 지고 인간과는 분리되어 객관적인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다.
둘째, 자연은 인간이 궁극적으로 돌아가야 할 곳이다. 한국시에서 인간은 죽어 마침내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이 흙의 자궁에서 모든 생명체가 탄생하고, 자라나 활동하며, 죽어 흙 곧 내가 되고, 다시 새로운 생명체로 탄생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나와 자연의 경계는 없어지고, 나와 만물의 경계 또한 없어진다. 만물과 나는 한 몸인 것이다. 반면에 영미시에서 인간은 도시의 온갖 소란스러움과 구속을 피해서 자연의 평화 속에 파묻히고 싶어 하며 돌아가고 싶지만 인간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살 수는 없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고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지만 성기조의 시는 인간과 흙, 인간과 만물 사이의 단절을 극복케 함으로써 그의 고민인 인간과 “모든 것으로부터의 단절”을 극복하는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죽음이란 한계 상황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