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을 총칭하는 ‘금수’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제일 밑에 각주를 보시겠습니다.
○ 자하(子夏)의 본명은 복상이며, 공자의 제자로 공문10철의 한 사람으로 중국 전국시대의 학자입니다. 시와 예에 통하였으며, 예의 객관적 형식을 존중하는 것이 특색입니다.
여기서 공문십철이란, 중국 고대의 성현인 공자(孔子)의 뛰어난 10명의 제자들로 흔히 사과(四科)십철이라 합니다.
○ 각주2번에 예기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으로, 예의 이론 및 실제를 논술한 것입니다.
○ 각주3번에 한문공은 당대의 유명한 문장가 한퇴지를 가르킵니다. 문공(文公)은 시호이고, 퇴지(退之)는 자, 이름은 유(愈)입니다. 유학의 중흥을 꾀하는 한편 문학상으로는 고문으로의 복귀를 제창하고 실천했으며, 문집으로 <한창려전집>이 있습니다.
제일 밑에 각주를 보시겠습니다.
○ 자하(子夏)의 본명은 복상이며, 공자의 제자로 공문10철의 한 사람으로 중국 전국시대의 학자입니다. 시와 예에 통하였으며, 예의 객관적 형식을 존중하는 것이 특색입니다.
여기서 공문십철이란, 중국 고대의 성현인 공자(孔子)의 뛰어난 10명의 제자들로 흔히 사과(四科)십철이라 합니다.
○ 각주2번에 예기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으로, 예의 이론 및 실제를 논술한 것입니다.
○ 각주3번에 한문공은 당대의 유명한 문장가 한퇴지를 가르킵니다. 문공(文公)은 시호이고, 퇴지(退之)는 자, 이름은 유(愈)입니다. 유학의 중흥을 꾀하는 한편 문학상으로는 고문으로의 복귀를 제창하고 실천했으며, 문집으로 <한창려전집>이 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