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양무운동의 촉진
Ⅱ. 양무운동의 주동세력
Ⅲ. 양무운동의 전개
1. 제 1기 양무운동(1861-1875)
2. 제 2기 양무운동(1876-1885)
3. 제 3기 양무운동(1886-1895)
Ⅳ. 양무운동과 대외관계
Ⅴ. 양무운동의 결과
Ⅵ. 나가며
참고문헌
Ⅱ. 양무운동의 주동세력
Ⅲ. 양무운동의 전개
1. 제 1기 양무운동(1861-1875)
2. 제 2기 양무운동(1876-1885)
3. 제 3기 양무운동(1886-1895)
Ⅳ. 양무운동과 대외관계
Ⅴ. 양무운동의 결과
Ⅵ.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쟁과 태평천국 등 내외적 위기에 직면했던 청조는 \'자강\' \'부강\'을 표방하며 강력한 군사력과 각종 근대산업의 육성을 통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태평천국을 비롯한 각종 민중반란을 진압하고 동요된 청조의 지배체제를 어느 정도 안정시키는데 성공한 청조는, 진압에 공이 큰 증국번, 이홍장 등 한인관료를 중용하여 군수공업을 중심으로 서양의 것을 받아들여 근대화를 추진하니(이른바 \'중체서용\') 이것을 양무운동혹은 \'동치중흥\'이라고 한다. 증국번 이홍장 등은 청조의 협조하에 소속군대의 근대화에서 시작하여 군수 운수 통신 광업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서양식 기술과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밖에도 각종 학교를 부설하여 외국어교육과 함께 서양의 근대과학을 교육하였으며 직접 해외에 유학생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업화 근대화의 의도는 \'중체서용\'적 사고자체의 한계와 한인 독무들의 개별적인 추진으로 뚜렷한 성과를 거두기 어려웠으며 결국 1985년 청일전쟁에서 이홍장의 북양함대가 괴멸당하자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구받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 백민호(1991), 최근 중국의 양무운동 연구동향, 부산사학 제20집
○ 신승하(1990),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
○ 조병한(1995), 중국에서의 양무운동과 변법운동에 대한 재평가, 역사비평 제30호
○ 지전성·한선모 역(1985), 중국현대혁명사, 청사
○ 중국에서의 양무운동과 변법운동에 대한 재평가, 역사비평 통권 30호, 역사비평사
○ 조훈 편역(1996), 중국 근현대사 연구 입문, 유영사
○ 폴 A코헨, 장의식 외 역(1995), 중국 근대사의 재발견, 고려원
참고문헌
○ 백민호(1991), 최근 중국의 양무운동 연구동향, 부산사학 제20집
○ 신승하(1990),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
○ 조병한(1995), 중국에서의 양무운동과 변법운동에 대한 재평가, 역사비평 제30호
○ 지전성·한선모 역(1985), 중국현대혁명사, 청사
○ 중국에서의 양무운동과 변법운동에 대한 재평가, 역사비평 통권 30호, 역사비평사
○ 조훈 편역(1996), 중국 근현대사 연구 입문, 유영사
○ 폴 A코헨, 장의식 외 역(1995), 중국 근대사의 재발견, 고려원
추천자료
태평천국운동의 전개방향과 특징에 관한 고찰
중국의 변법 운동과 입헌 운동
[중국]5.4 운동과 신문화 운동의 사회학적 고찰
태평천국운동
의화단 운동
동학농민운동
태평천국운동에 대하여
의화단 운동
[중국문학][기행문학][노신][도연명][백화문운동][소설 삼언][중국문학의 미래]중국문학과 기...
[한국민족운동사]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_ 동북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 - 조선의용군 _ 조선의용대 성립, 화북으로 ...
[한국민족운동사] 1920년대 항일무장투쟁(1920년대 동립운동의 양상과 성격, 만주 무장투쟁의...
신문화운동의 원인과 내용, 의의 및 평가
국권회복운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