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의화단 운동의 배경
i. 의화단의 조직과 구성원
ii. 의화단의 구호
3. 의화단 운동의 형성배경 및 발생원인
4. 의화단 운동의 전개과정
i. 의화단 운동의 발전과 청의 대책
ii. 서양 열강의 침입
iii. 팔련군의 천진과 북경 함락
5. 의화단 운동의 결과
i. 신축조약 체결
ii. 실패 원인
6. 의화단 운동의 역사적 의의 및 결론
7. 의화단 운동 주요 연표
2. 의화단 운동의 배경
i. 의화단의 조직과 구성원
ii. 의화단의 구호
3. 의화단 운동의 형성배경 및 발생원인
4. 의화단 운동의 전개과정
i. 의화단 운동의 발전과 청의 대책
ii. 서양 열강의 침입
iii. 팔련군의 천진과 북경 함락
5. 의화단 운동의 결과
i. 신축조약 체결
ii. 실패 원인
6. 의화단 운동의 역사적 의의 및 결론
7. 의화단 운동 주요 연표
본문내용
외국군과 교전
영국 해군중장 시모어(Seymour), 2,000여명의 각국 연합군을 인솔하여 천진을 행진
일본공사관 서기 정삼산빈, 영정문 밖에서 살해
의화단, 북경에 침입하여 교회를 파괴하고, 각국 공사관을 포위
각국 중국파견함대 사령관 회의에서 공동출병을 결의
청조, 강의에게 명하여 의화단의 정예를 조직
청조, 각성 군대에 북경이동을 명하다. 청 조정에 주전론 대두 각국 공사관에 귀국을 권고. 8개국 연합군대 고포대를 점령
청조, 어전회의에서 선전(宣戰)을 결정하고, 각국 공사에 24시간 이내에 북경을 철수하라고 요구
독일공사 케텔러(Ketteler) 살해.
의화단, 각국공사관 공격 개시
청조, 출병한 열국에 선전포고
각국 연합군, 천진을 점령. 청조, 이홍장에게 협력을 요청
청조, 의화단에 10만 냥을 지원
장지동, 유곤일, 상해의 각국 영사와 보호조약을 체결
청조, 영일러에 조정을 의뢰(17일, 다시 미독불에 조정 의뢰)
청조, 이홍장을 직예총독 겸 북양대신으로 임명하고, 각국과 상의하게 함
(이홍장, 사양하여 수락치 않음)
청조, 협력하여 외국군과 맞설 것을 각성독무에게 명함
각국 연합군, 천진에서 북경으로 진격
러시아군 만주침입을 개시
각국 연합군, 북경에 진입, 공사관 구원에 성공
서태후, 북경을 떠나 서안으로 향함(10월 29일 서안 도착)
청조, 이홍장에게 시국의 처리를 명함
[참고문헌]
『의화단운동 전후의 산동 』, 이은자 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근대중국 : 개혁과 혁명 下』, 辛勝夏 著, 대명 출판 , 2004
『중국근대사연구입문』, 김종원 역, 한울 아카데미, 1997
영국 해군중장 시모어(Seymour), 2,000여명의 각국 연합군을 인솔하여 천진을 행진
일본공사관 서기 정삼산빈, 영정문 밖에서 살해
의화단, 북경에 침입하여 교회를 파괴하고, 각국 공사관을 포위
각국 중국파견함대 사령관 회의에서 공동출병을 결의
청조, 강의에게 명하여 의화단의 정예를 조직
청조, 각성 군대에 북경이동을 명하다. 청 조정에 주전론 대두 각국 공사관에 귀국을 권고. 8개국 연합군대 고포대를 점령
청조, 어전회의에서 선전(宣戰)을 결정하고, 각국 공사에 24시간 이내에 북경을 철수하라고 요구
독일공사 케텔러(Ketteler) 살해.
의화단, 각국공사관 공격 개시
청조, 출병한 열국에 선전포고
각국 연합군, 천진을 점령. 청조, 이홍장에게 협력을 요청
청조, 의화단에 10만 냥을 지원
장지동, 유곤일, 상해의 각국 영사와 보호조약을 체결
청조, 영일러에 조정을 의뢰(17일, 다시 미독불에 조정 의뢰)
청조, 이홍장을 직예총독 겸 북양대신으로 임명하고, 각국과 상의하게 함
(이홍장, 사양하여 수락치 않음)
청조, 협력하여 외국군과 맞설 것을 각성독무에게 명함
각국 연합군, 천진에서 북경으로 진격
러시아군 만주침입을 개시
각국 연합군, 북경에 진입, 공사관 구원에 성공
서태후, 북경을 떠나 서안으로 향함(10월 29일 서안 도착)
청조, 이홍장에게 시국의 처리를 명함
[참고문헌]
『의화단운동 전후의 산동 』, 이은자 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근대중국 : 개혁과 혁명 下』, 辛勝夏 著, 대명 출판 , 2004
『중국근대사연구입문』, 김종원 역, 한울 아카데미, 1997
추천자료
일본 근대화의 성격과 이론적분석
한국의 근대 누드화
일본 초기근대화의 성공요인에 관하여
동아시아 3국의 근대화 비교(정치 중심으로)
근세, 근대 일본 사회와 문화의 변화
동양적 근대의 창출 - 루쉰과 소세키
유럽의 근대형성에 미친 동양문화
개화파의 근대국가 수립론
식민지 근대화론을 말하다
[동양근대사과제] 변법자강운동(1898년)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서유럽 의학의 동아시아 전파 양상에 대한 재고 - 해부학, 예수회,...
일그러진 근대를 읽고
[서평] \'천황제 근대국가의 탄생\' 함동주 저
우리나라 근대주택의 변천과정에 미친 전통적, 사회적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