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학][오행][오행학설]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개념,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특성과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상호관계,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길흉 및 문헌에 나타난 오행(오행학, 오행학설)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행학][오행][오행학설]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개념,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특성과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상호관계,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길흉 및 문헌에 나타난 오행(오행학, 오행학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개념

Ⅲ.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특성

Ⅳ.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상호관계
1. 오행상생
2. 오행상극
3. 오행상승
4. 오행상모
5. 제화

Ⅴ. 오행(오행학, 오행학설)의 길흉

Ⅵ. 문헌에 나타난 오행(오행학, 오행학설)
1. 관자서의 오행설
2. 여씨춘추의 오행설
3. 회남자의 오행설
1) 천문훈에 나타난 오행설
2) 추형훈에 나타난 오행설
3) 시칙훈에 나타난 오행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는가 하면 유가를 [속세지학]이라고 공격하기도 한 것이다.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21권의 회남자의 내용 중에는 <천문훈>과 <추형훈>과 <시칙훈>의 3권 속에 오행설이 산견되고 있다.
1) 천문훈에 나타난 오행설
천문훈에 나타난 오행설의 논리는 천과 지의 생성리치부터 전개되어 있으며, 천지·음양·사시·오행의 순서로 논리를 전개시키고 있다. 음양과 사시에 대해서는 [천지의 정기가 합하여 겹친 것이 음양이며, 음양의 온전한 정기가 사시가 되었으며, 사시의 정기가 흩어져서 만물을 이루었다. 양의 열기가 쌓여서 화가 생하고, 화기의 정은 해(일)가 되었으며, 음기의 차가움이 쌓여서 수가 되었고, 수기의정은 달(월)이 되었다] 라고 논리를 전개시키면서 천지의 운행방법과 일월성신과 28숙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였고, [하늘은 서북으로 기울고(천경서북), 땅은 동남쪽이 차지 않았다(지부만동남)] 라는 말이 보이는데, 천경서북은 오늘날 천문학에서도 중요한 표제가 되기도 하였다. 특히 화성을 형혹이라 부른 것은 인간에게 재화와 병란의 조짐을 보여준다는 뜻이 된다. 그 당시에 오성을 신으로 지칭한 것은 오행을 방술에 접근시키는 시도로 보인다.
2) 추형훈에 나타난 오행설
추형훈은 지형훈으로 쓰여지기도 하였거니와, 그 내용은 동서남북의 산천과 지형을 다루었으며 여기에서는 산천의 모양과 지형을 견주어서 인체생리에 관계되는 오행을 논술하였다.
3) 시칙훈에 나타난 오행설
시칙훈은 때에 관한 법도를 밝혀 놓은 것으로 역시 오행설을 나열하였으며 천문훈이라든지 추형훈에서는 방위를 기준으로 하여 오행설을 피력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사시의 때를 기본으로 하여 오행설을피력하였다. 그 내용에 있어서는 여씨춘추에 나타나는 오행설과 대동소이하며 몇가지 항목이 빠지기도 하고, 추가되기도 하였다. 회남왕이 한의 정실을 찬탈하려 하였다는 내용을 앞에서 잠시 말하였거니와, 그러한 연유인지는 몰라도 병을 오병으로 분류해 놓은 것이 돋보인다.
참고문헌
* 권오호(1996), 우리문화와 음양오행, 교보문고
* 김백만(2005), 알기쉬운 기초 음양오행의 원리, 관음출판사
* 김원식(1998), 오행을 알면 성공한다
* 김태규(2002), 음양오행으로 살펴본 세상사, 동학사
* 신천호(1982), 음양오행의 개론, 청목사
* 양계초·풍우란 외, 김홍경 역, 음양오행설의 연구, 신지서원
* 은성국(1995), 오행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학민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