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발췌 요약 - 샴카요가[p.91 ~ p123]
Ⅲ. 독후감
Ⅳ. 결 론
[참고 자료]
Ⅱ. 발췌 요약 - 샴카요가[p.91 ~ p123]
Ⅲ. 독후감
Ⅳ.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위한 집중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Anderson & Sovik,2000)
'소함(soham)'이라는 말은 'sah'(that, 그것)와 'aham'(I, 나)의 합성어로 "나는 그것이다(I am that)"라는 의미가 있다. 이 만트라를 계속 반복함으로써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육체와 마음이라는 시공간에 갇혀있는 자신을 부정하고 우리 내면 깊숙이에 감추어진 궁극적 존재와 동일시함으로써 그와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만트라를 암송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요가의 영적 전통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 존중감과 진심어린 마음으로 이완된 상태에서 이 만트라에 주의를 기울이다 보면 호흡과 소리의 조화로 인해 내적인 평온과 안정을 맛볼 수 있으며 이런 효과는 장기적으로가 마음과 성격에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함석헌과 간디가 주장하고 실천한 요가를 통한 비폭력 사상은 단순한 행동지침이나 도구가 아니라 인류의 문화전통을 관통하는 생존원리로서 종교적 진리를 드러내는 개념이다.
진리가 진리란 말로 들어낼 수 없듯이 상징성을 넘어선 구체적인 실천덕목으로 그때그때 표상 되고 구상화할 필요가 있다면 정신적 혁명을 주장한 함석헌과 간디가 산 두 시대환경이 변혁의 도구로 비폭력을 내세운 것은 시의 적절한 것이었다. 다른 실천 덕목이 많이 있지만 가장 실천적이면서 포괄적인 덕목은 비폭력을 따를 수 없다. 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 유교의 인 같은 종교의 핵심적 덕목이 있지만 오랜 시대를 경과하면서 너무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무언가 새로운 접근이 필요했다. 그때그때 새 종교, 새 철학이 등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폭력은 이 필요성을 채워주는 개념이다. 어느 윤리덕목이나 계율보다 그 한가지만 잘 실천하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실천덕목이 될 자격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비폭력을 신체(身)적인 것만 아니고, 불교에서 말하는 삼업(三業)이 포함하듯, 원래의 뜻대로 언어(口)와 마음(意)의 영역으로 삼는다면도둑질, 거짓말, 음행 등 다른 기본 계율까지 다 포함하는 공동축이 된다. 다른 두 영역은 일단 제쳐두고라도 신체적 폭력에 대한 비폭력주의만 실천되더라도 훨씬 더 평화로운 사회가 될 법하다. 전쟁 하나만 지구상에서 영원히 없앤다면, 그리하여 전쟁무기가 없는 세계가 된다면, 장족의 진보를 이룬 셈일 터이다.
Ⅳ. 결 론
잠시도 쉬지 않고 갖가지 생각으로 들끓는 마음을 내적대상이든 외적대상이든 하나의 대상에 고정시켜 산란한 마음을 가라앉히는 요가명상은 마음의 고요함을 통해 내면세계의 보다 깊은 수준으로 이끌어준다. 이런 점에서 요가명상은 무질서하고 혼란스런 마음을 잘 훈련시켜 보다 효과적이고 생산적이며 창조적인 마음으로 변형시키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끊임없이 외부로 향하는 마음의 방향을 바꾸어 내면에 집중시킴으로써 "나는 누구인가?"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내가 왜 존재하는가?"에 대한 존재의 근원적인 문제를 직면하며 해결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개개인이 가졌던 심리적인 문제들에 대한 통찰이 생기며 불안의 근원을 밝히고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하겠다. 실제로 오랫동안 명상을 수련하는 사람들은 보다 행복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하며 명상초보자라고 하더라도 몇 주 동안 꾸준히 명상을 하면 여러 가지 정신병리 특히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Smith, 1975). 상담이나 심리치료 장면에서 환자나 내담자에게 명상을 치료기법이나 그 보조수단으로 사용하기 전에 치료자 자신의 훈련방법으로서 명상수련이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치료하는 과정에서 치료자 자신이 스스로의 경험에 대해서 편안한 마음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자신의 경험과 더불어 작업하고 탐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는 곧바로 치료의 효과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Watson, 1998, 백지연(2004)에서 재인용). 이런 점에서 요가명상은 심리치료를 돕고 보완할 수 있는 훌륭한 자원으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함석헌 역주, 바가바드기타. 한길사, 2003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http://naver.com)
동서양고전, 한국방송통신대학, 2002
http://www.interqkorea.com/india
http://cambodia.vtm.or.kr/ankor/religion/mahabarata.html
'소함(soham)'이라는 말은 'sah'(that, 그것)와 'aham'(I, 나)의 합성어로 "나는 그것이다(I am that)"라는 의미가 있다. 이 만트라를 계속 반복함으로써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육체와 마음이라는 시공간에 갇혀있는 자신을 부정하고 우리 내면 깊숙이에 감추어진 궁극적 존재와 동일시함으로써 그와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만트라를 암송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요가의 영적 전통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 존중감과 진심어린 마음으로 이완된 상태에서 이 만트라에 주의를 기울이다 보면 호흡과 소리의 조화로 인해 내적인 평온과 안정을 맛볼 수 있으며 이런 효과는 장기적으로가 마음과 성격에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함석헌과 간디가 주장하고 실천한 요가를 통한 비폭력 사상은 단순한 행동지침이나 도구가 아니라 인류의 문화전통을 관통하는 생존원리로서 종교적 진리를 드러내는 개념이다.
진리가 진리란 말로 들어낼 수 없듯이 상징성을 넘어선 구체적인 실천덕목으로 그때그때 표상 되고 구상화할 필요가 있다면 정신적 혁명을 주장한 함석헌과 간디가 산 두 시대환경이 변혁의 도구로 비폭력을 내세운 것은 시의 적절한 것이었다. 다른 실천 덕목이 많이 있지만 가장 실천적이면서 포괄적인 덕목은 비폭력을 따를 수 없다. 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 유교의 인 같은 종교의 핵심적 덕목이 있지만 오랜 시대를 경과하면서 너무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무언가 새로운 접근이 필요했다. 그때그때 새 종교, 새 철학이 등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폭력은 이 필요성을 채워주는 개념이다. 어느 윤리덕목이나 계율보다 그 한가지만 잘 실천하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실천덕목이 될 자격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비폭력을 신체(身)적인 것만 아니고, 불교에서 말하는 삼업(三業)이 포함하듯, 원래의 뜻대로 언어(口)와 마음(意)의 영역으로 삼는다면도둑질, 거짓말, 음행 등 다른 기본 계율까지 다 포함하는 공동축이 된다. 다른 두 영역은 일단 제쳐두고라도 신체적 폭력에 대한 비폭력주의만 실천되더라도 훨씬 더 평화로운 사회가 될 법하다. 전쟁 하나만 지구상에서 영원히 없앤다면, 그리하여 전쟁무기가 없는 세계가 된다면, 장족의 진보를 이룬 셈일 터이다.
Ⅳ. 결 론
잠시도 쉬지 않고 갖가지 생각으로 들끓는 마음을 내적대상이든 외적대상이든 하나의 대상에 고정시켜 산란한 마음을 가라앉히는 요가명상은 마음의 고요함을 통해 내면세계의 보다 깊은 수준으로 이끌어준다. 이런 점에서 요가명상은 무질서하고 혼란스런 마음을 잘 훈련시켜 보다 효과적이고 생산적이며 창조적인 마음으로 변형시키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끊임없이 외부로 향하는 마음의 방향을 바꾸어 내면에 집중시킴으로써 "나는 누구인가?"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내가 왜 존재하는가?"에 대한 존재의 근원적인 문제를 직면하며 해결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개개인이 가졌던 심리적인 문제들에 대한 통찰이 생기며 불안의 근원을 밝히고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하겠다. 실제로 오랫동안 명상을 수련하는 사람들은 보다 행복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하며 명상초보자라고 하더라도 몇 주 동안 꾸준히 명상을 하면 여러 가지 정신병리 특히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Smith, 1975). 상담이나 심리치료 장면에서 환자나 내담자에게 명상을 치료기법이나 그 보조수단으로 사용하기 전에 치료자 자신의 훈련방법으로서 명상수련이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치료하는 과정에서 치료자 자신이 스스로의 경험에 대해서 편안한 마음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자신의 경험과 더불어 작업하고 탐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는 곧바로 치료의 효과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Watson, 1998, 백지연(2004)에서 재인용). 이런 점에서 요가명상은 심리치료를 돕고 보완할 수 있는 훌륭한 자원으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함석헌 역주, 바가바드기타. 한길사, 2003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http://naver.com)
동서양고전, 한국방송통신대학, 2002
http://www.interqkorea.com/india
http://cambodia.vtm.or.kr/ankor/religion/mahabarata.html
추천자료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신화집)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D형(사기열전)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B형(논어)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A형(니코마코스윤리학)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C형(엥케이리디온)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E형(이중환의 택리지)
2012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플라톤의메논)
2015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E형(바가바드기카)
2015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침묵의 봄)
2015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C형(털 없는 원숭이)
2015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향연)
2015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A형(대학 중용 강설)
2015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