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린 참가자들에게 어떤 남자가 4개의 햄버거를 3분만에 충동성에 의해 먹어 치우는 비디오를 보여줬다. 비디오늘 보고 나서 참가자들은 첫 번째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충동성에 의해 햄버거를 먹은 남자를 평가하였다. 우린 또한 참가자들이 비디오를 볼 때 지었던 표정들을 기록했고, 그들의 부정적인 표정들을 암호화했다. 우린 실험중에 굶주려 배가고픈 참가자들이 풍족함을 느낀 참가자들보다 충동적으로 햄버거를 먹던 비디오 속의 남자에 대해 좋게 평가하고 부정적인 표정을 덜 지을것이라고 예상했다.
Method
Participants
암스테르담 대학교에 재학중인 14명의 남성과 35명의 여성, 총 49명의 참가자들이 학점을 위해 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Procedure
이 실험 몇일 전에, 참가자들은 임의로 배가 고픈 참가자와 배고프지 않은 참가자로 나뉘어졌다. 배고픈 참가자들은 실험 시작 4시간 전에는 절대로 아무것도 먹지 말아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 배고픔을 더 유발시키기 위해 팝콘을 참가자들 앞에 위치시켰다. 배가 고프지 않은 참가자로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은 실험시간 1시간 내내 음식으로 배를 채우도록 지시 받았다. 팝콘 냄새는 이 실험에서 배재시켰다.
각 참가자들에게 그들 각자의 개인 팝콘이 앞에 놓여졌다. 주최측은 이제 곧 어떤 사람의 일상을 담은 비디오를 보게 될거라고 참가자들에게 이야기 했다. 이 비디오의 목적은 비디오 안의 남자가 충동적으로 음식을 먹는 상황(여러 종류의 건강에 나쁜 음식을 빨리 먹는)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비디오는 어떤 남자가 패스트 푸드가 가득 든 가방이 놓여있는 식탁에 앉는 화면으로 시작되었다. 화면안의 남자는 카메라에 정면으로 보여지지만 찍히는 것을 모르는 상태였다. 남자가 “아!!배고파.”라는 말과 함께 가방안의 치즈버거 4개와 커다란 소다를 아주 빠른 속도로 먹었다 (남자는 모든 것을 3분 30초만에 끝냈다). 그는 햄버거를 큰 입으로 크게 배어먹고 입에 뭍히고 먹는 등 아주 역겨운 모습을 보여줬다. 참가자들은 화면 안의 남자를 평가했다. 문제(질문) 들은 첫 번째 실험과는 다른 것이었다.
영상을 보는 동안 참가자들의 얼굴 표정을 신중히 기록했고, 두명의 실험자들은 그들의 표정 등급을 매겼다. 얼굴 표정의 사전 검토 결과, 긍정적인 표정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주로 무표정에서 어두운 표정이 대부분이었다. 표정의 등급을 1(무표정에 가까움)에서 5(매우 어두운 표정)까지 매겼다.
Method
Participants
암스테르담 대학교에 재학중인 14명의 남성과 35명의 여성, 총 49명의 참가자들이 학점을 위해 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Procedure
이 실험 몇일 전에, 참가자들은 임의로 배가 고픈 참가자와 배고프지 않은 참가자로 나뉘어졌다. 배고픈 참가자들은 실험 시작 4시간 전에는 절대로 아무것도 먹지 말아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 배고픔을 더 유발시키기 위해 팝콘을 참가자들 앞에 위치시켰다. 배가 고프지 않은 참가자로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은 실험시간 1시간 내내 음식으로 배를 채우도록 지시 받았다. 팝콘 냄새는 이 실험에서 배재시켰다.
각 참가자들에게 그들 각자의 개인 팝콘이 앞에 놓여졌다. 주최측은 이제 곧 어떤 사람의 일상을 담은 비디오를 보게 될거라고 참가자들에게 이야기 했다. 이 비디오의 목적은 비디오 안의 남자가 충동적으로 음식을 먹는 상황(여러 종류의 건강에 나쁜 음식을 빨리 먹는)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비디오는 어떤 남자가 패스트 푸드가 가득 든 가방이 놓여있는 식탁에 앉는 화면으로 시작되었다. 화면안의 남자는 카메라에 정면으로 보여지지만 찍히는 것을 모르는 상태였다. 남자가 “아!!배고파.”라는 말과 함께 가방안의 치즈버거 4개와 커다란 소다를 아주 빠른 속도로 먹었다 (남자는 모든 것을 3분 30초만에 끝냈다). 그는 햄버거를 큰 입으로 크게 배어먹고 입에 뭍히고 먹는 등 아주 역겨운 모습을 보여줬다. 참가자들은 화면 안의 남자를 평가했다. 문제(질문) 들은 첫 번째 실험과는 다른 것이었다.
영상을 보는 동안 참가자들의 얼굴 표정을 신중히 기록했고, 두명의 실험자들은 그들의 표정 등급을 매겼다. 얼굴 표정의 사전 검토 결과, 긍정적인 표정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주로 무표정에서 어두운 표정이 대부분이었다. 표정의 등급을 1(무표정에 가까움)에서 5(매우 어두운 표정)까지 매겼다.
키워드
추천자료
[모든학과] [심리학]스포츠 심리학의 스포츠와 성격에 관한 ppt
[스포츠심리학][스포츠][심리학][성격측정][관중][스포츠와 성격측정]스포츠와 성격측정, 스...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개정판, 구광현 등)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영문학]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애러비(Araby)』 주인공 I의 심리학적 성격분석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인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성격발달이론 및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프로이트(프...
[심리치료와 상담]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 분석심리학의 기본과정,...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敎育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
[심리학과 심리치료] 행동치료에 대한 개관적 이해(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심리치료모델)
[심리학과 심리치료] 합리정서치료에 대한 개관적 이해(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심리치료모델...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교육심리학]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