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Ⅱ. 社會學의 定議
Ⅲ. 社會學과 社會科學의 觀點 比較
Ⅳ. 社會學과 自然科學
Ⅴ. 社會學과 隣接社會科學
1. 社會學과 經濟學
2. 社會學과 政治學
3. 社會學과 心理學
4. 社會學과 人類學
Ⅵ. 結 論
인용정보원
Ⅱ. 社會學의 定議
Ⅲ. 社會學과 社會科學의 觀點 比較
Ⅳ. 社會學과 自然科學
Ⅴ. 社會學과 隣接社會科學
1. 社會學과 經濟學
2. 社會學과 政治學
3. 社會學과 心理學
4. 社會學과 人類學
Ⅵ. 結 論
인용정보원
본문내용
고 있으며 사회는 그러한 生活樣式들을 共有하고 相互作用하는 개인들의 集合體라고 규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두 개념은 마치 동전의 양면과 같이 동일한 현상의 다른 두 측면으로 이해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인류학과 사회학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잘 알 수가 있겠다.
인류학은 사회학만큼 매우 包括的이며 다양한 연구대상들을 갖고 있다. 인류학은 보통 인간의 진화과정을 연구하는 形質人類學, 역사 이전의 문화를 다루는 考古學, 여러 민족들의 언어와 그것의 다른 문화요소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인류학적 言語學, 그리고 현존하는 부족집단이나 주요 문명의 분파의 민족집단의 문화를 연구하는 문화 또는 社會人類學 등 네 가지 專門分野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가운데 문화인류학은 사회학과 共通點이 많다. 그러나前者는 주로 고립된 소규모의 원시 또는 未開社會를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반면 後者는 주로 현대의 대규모 産業社會에서의 集團過程들을 探究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고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相異性은 아직도 남아 있기는 하나, 오늘날의 많은 문화인류학자들은 사회학자들과 마찬가지로 현대 산업사회에 있어서의 集團過程들을 연구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해 둘 필요가 있겠다. 그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전통적으로 문화인류학의 연구대상이었던 소규모의 미개 또는 전통사회들이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소멸 내지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많은 사회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이 그들의 연구를 서로 참고하고 있는 현상을 볼 수가 있다.
Ⅵ. 結 論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학은 그 근본적인 학문의 성격은 사회과학의 범주를 유지하고 있으나, 인간의 사회적 행위, 집단의 생활들의 모든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써 이것을 다루는 관점에서 사회과학의 제분야들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사회학의 많은 지식들이 다른 사회과학에서 온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사회과학의 각 분야들이 서로 중첩되어 있고 또한 중첩되는 부분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Ⅶ. 引用 情報員
1) 양춘, 사회학개론, 서울, 민영사, 1998, pp 13-25.
2) 윤근섭, 사회학의 이해, 서울, 삼우사, 1995, pp 15-31.
3) http://social.chonbuk.ac.kr/department/dep_sub_2.htm
4) http://stmail.chosun.ac.kr/~yeunok/etcedu/edusahoi(1).htm
인류학은 사회학만큼 매우 包括的이며 다양한 연구대상들을 갖고 있다. 인류학은 보통 인간의 진화과정을 연구하는 形質人類學, 역사 이전의 문화를 다루는 考古學, 여러 민족들의 언어와 그것의 다른 문화요소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인류학적 言語學, 그리고 현존하는 부족집단이나 주요 문명의 분파의 민족집단의 문화를 연구하는 문화 또는 社會人類學 등 네 가지 專門分野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가운데 문화인류학은 사회학과 共通點이 많다. 그러나前者는 주로 고립된 소규모의 원시 또는 未開社會를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반면 後者는 주로 현대의 대규모 産業社會에서의 集團過程들을 探究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고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相異性은 아직도 남아 있기는 하나, 오늘날의 많은 문화인류학자들은 사회학자들과 마찬가지로 현대 산업사회에 있어서의 集團過程들을 연구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해 둘 필요가 있겠다. 그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전통적으로 문화인류학의 연구대상이었던 소규모의 미개 또는 전통사회들이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소멸 내지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많은 사회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이 그들의 연구를 서로 참고하고 있는 현상을 볼 수가 있다.
Ⅵ. 結 論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학은 그 근본적인 학문의 성격은 사회과학의 범주를 유지하고 있으나, 인간의 사회적 행위, 집단의 생활들의 모든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써 이것을 다루는 관점에서 사회과학의 제분야들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사회학의 많은 지식들이 다른 사회과학에서 온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사회과학의 각 분야들이 서로 중첩되어 있고 또한 중첩되는 부분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Ⅶ. 引用 情報員
1) 양춘, 사회학개론, 서울, 민영사, 1998, pp 13-25.
2) 윤근섭, 사회학의 이해, 서울, 삼우사, 1995, pp 15-31.
3) http://social.chonbuk.ac.kr/department/dep_sub_2.htm
4) http://stmail.chosun.ac.kr/~yeunok/etcedu/edusahoi(1).htm
추천자료
사회과학이란 무엇인가 : 사회과학과 사회복지학
사회과학과 사회복지학의 관계
사회과학과 사회복지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비교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비교
사회과학적 설명에 있어서 기능주의와 인과성 논쟁
사회과학의_연구방법.PPT자료
[스포츠][스포츠사회학][스포츠 상호작용 사회화론]스포츠의 의미, 스포츠의 특성, 스포츠의 ...
[범죄사회학][범죄사회학 목적][범죄사회학 흐름][범죄사회학과 일탈][청소년폭력][비판범죄...
인간과사회 1C형] 도서 중 ‘사회학’과‘사회학하기’생각하면서 작성 - 지난 5년간 우리 사회의...
사회과학방법론과 자연과학방법론을 비교설명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개념과 차이를 설명하고 그 예를 제시.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사회복지의전문성, 사회과학과사회복지학, 사회복지학의발전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