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응급소생술(;CPR,심폐소생술)이란 무엇인가?
2. 심폐정지는 왜 일어나는가?
3. 심폐소생술의 원리.
-인공호흡
-흉부압박
4.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5. CPR 시행순서, 방법 및 유의사항
6. CPR 실습과정과 느낀점
7. Reference
2. 심폐정지는 왜 일어나는가?
3. 심폐소생술의 원리.
-인공호흡
-흉부압박
4.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5. CPR 시행순서, 방법 및 유의사항
6. CPR 실습과정과 느낀점
7. Reference
본문내용
밑
유두 가상선의 가운데
(명치 2.5cm윗부분)
압박속도
적어도 100회/분
100회/분
흉부압박 : 인공호흡 비율
5:1
5:1
30:2
⑥ 응급의료종사자가 도착하거나, 환자가 움직이거나, AED(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할 때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계속한다.
(2인 구조자일 때는 2분마다 역할을 바꾼다.)
⑦ AED가 도착하면 사용한다.
장치의 패드위에 그려져 있는 가슴부위에 패드를 부착하고, 기계음에 따라 행동한다. 환자에게 AED시행이 필요하면, 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환자에 붙어있는 사람이 없도록 “비키세요!” 외치고 작동버튼을 누른다.
⑧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지속한다.
응급의료종사자가 도착하거나, 환자가 움직일 때까지 반복한다.
6. CPR 실습과정과 느낀점
시뮬레이션센터에서 CPR 실습 교육을 받았다. CPR 전문강사분들과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선생님께서 오셔서 가르쳐주셨다. PPT와 영상을 통해 CPR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하는 방법을 배웠다. 실물과 비슷한 마네킹에 조별로 돌아가면서 한사람씩 직접 실습을 했다. 흉부압박 할때 '딸깍‘하는 소리로 적당한 압박세기를 알 수 있었고, 선생님들의 지시로 바른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인공호흡을 할 때 처음에는 공기 주입이 제대로 되지 않았는데, 이는 마네킹의 입을 제대로 커버하지 못해 바람이 새어나가서였다. 여러번의 실습을 통해 오류를 수정할 수 있었고, 나중에는 인공호흡을 할 때 마네킹에 공기가 제대로 주입되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4~5차례 실습 후 마지막 실기시험을 봤고 수료증을 받았다. CPR이 그리 복잡한 과정은 아니지만, 이 간단한 과정이 환자의 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심지어 생명까지 오간다니 매우 중요한 것 같다. 실습을 통해 실기를 배우고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이론적인 부분까지 확실히 정리할 수 있었다. 혹여나 주변에서 CPR이 필요한 상황이 생기면 이번에 배운 CPR을 제대로 활용해서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7. Reference
http://100.naver.com/100.nhn?docid=753536
http://en.wikipedia.org/wiki/CPR
http://search.pandora.tv/frame/outSearch.htm?ref=na&ch_userid=yunhap&id=3213418&keyword=119+%C6%F2%B1%D5+%C3%E2%B5%BF+%BD%C3%B0%A3
http://cyber.dwcc.daegu.go.kr/Contents/ContentsPrint.aspx?mid=1464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111&eid=yOfJQVhkDUkzFQvYJQ1xE/nC2L7M3NRY&qb=wM6w+MijyO0gyOS6zr7QudoguvHAsg==&pid=fgXZ3woi5T0ssbNhnThsss--425357&sid=STtrV21mO0kAAF2aDIw
http://www.kacpr.org/data/index.html
유두 가상선의 가운데
(명치 2.5cm윗부분)
압박속도
적어도 100회/분
100회/분
흉부압박 : 인공호흡 비율
5:1
5:1
30:2
⑥ 응급의료종사자가 도착하거나, 환자가 움직이거나, AED(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할 때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계속한다.
(2인 구조자일 때는 2분마다 역할을 바꾼다.)
⑦ AED가 도착하면 사용한다.
장치의 패드위에 그려져 있는 가슴부위에 패드를 부착하고, 기계음에 따라 행동한다. 환자에게 AED시행이 필요하면, 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환자에 붙어있는 사람이 없도록 “비키세요!” 외치고 작동버튼을 누른다.
⑧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지속한다.
응급의료종사자가 도착하거나, 환자가 움직일 때까지 반복한다.
6. CPR 실습과정과 느낀점
시뮬레이션센터에서 CPR 실습 교육을 받았다. CPR 전문강사분들과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선생님께서 오셔서 가르쳐주셨다. PPT와 영상을 통해 CPR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하는 방법을 배웠다. 실물과 비슷한 마네킹에 조별로 돌아가면서 한사람씩 직접 실습을 했다. 흉부압박 할때 '딸깍‘하는 소리로 적당한 압박세기를 알 수 있었고, 선생님들의 지시로 바른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인공호흡을 할 때 처음에는 공기 주입이 제대로 되지 않았는데, 이는 마네킹의 입을 제대로 커버하지 못해 바람이 새어나가서였다. 여러번의 실습을 통해 오류를 수정할 수 있었고, 나중에는 인공호흡을 할 때 마네킹에 공기가 제대로 주입되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4~5차례 실습 후 마지막 실기시험을 봤고 수료증을 받았다. CPR이 그리 복잡한 과정은 아니지만, 이 간단한 과정이 환자의 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심지어 생명까지 오간다니 매우 중요한 것 같다. 실습을 통해 실기를 배우고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이론적인 부분까지 확실히 정리할 수 있었다. 혹여나 주변에서 CPR이 필요한 상황이 생기면 이번에 배운 CPR을 제대로 활용해서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7. Reference
http://100.naver.com/100.nhn?docid=753536
http://en.wikipedia.org/wiki/CPR
http://search.pandora.tv/frame/outSearch.htm?ref=na&ch_userid=yunhap&id=3213418&keyword=119+%C6%F2%B1%D5+%C3%E2%B5%BF+%BD%C3%B0%A3
http://cyber.dwcc.daegu.go.kr/Contents/ContentsPrint.aspx?mid=1464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111&eid=yOfJQVhkDUkzFQvYJQ1xE/nC2L7M3NRY&qb=wM6w+MijyO0gyOS6zr7QudoguvHAsg==&pid=fgXZ3woi5T0ssbNhnThsss--425357&sid=STtrV21mO0kAAF2aDIw
http://www.kacpr.org/data/index.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