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가야(가야시대)의 수로신화
Ⅲ. 가야(가야시대)의 미술
Ⅳ. 가야(가야시대)의 성장 배경
Ⅴ. 가야(가야시대)의 성형수술
참고문헌
Ⅱ. 가야(가야시대)의 수로신화
Ⅲ. 가야(가야시대)의 미술
Ⅳ. 가야(가야시대)의 성장 배경
Ⅴ. 가야(가야시대)의 성형수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납작하게 했다. 지금도 진한 사람들은 모두 머리가 납작하다.\" 기록 속의 진한은 3세기 중엽의 진한과 변한 즉, 김해지역의 가야인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머리를 납작하게 한다고 해서 그 당시엔 이를 편두라고 했다고 한다. 역사 기록속에서만 존재했던 편두의 실체를 예안리의 인골에서 확인하게 된 것이다. 편두를 하는 한가지 방법은 아기가 태어나면 머리 앞뒤로 판자를 대서 끈으로 묶는 것이다. 이렇게 십여차례를 반복하면 유연한 아기의 두 개골은 앞 뒤로 납작해진다는 것이다. 돌의 압력 때문에 그 무게 때문에 눌려져 있다. 태어나서 일개월 이내니까 어린애가 잘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아마도 가야인은 아기가 태어난 지 한달 이내에 앞이마를 돌로 지긋이 눌러주는 방법으로 편두를 만들었을 것이다. 중국의 역사서인 삼국지 위지동이전에도 가야인이 편두를 만들기 위해 돌로 아기의 머리를 눌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 가야인들에게 편두는 새로운 얼굴을 만드는 일종의 성형술이었다. 그러나 이런 성형술이 비단 가야에서만 이루어졌던 것은 아니라고 한다. 시기는 다르지만 편두의 풍습은 이집트와 가야 그리고 마야에서도 보여진다.
참고문헌
강평원(2001) : 쌍어속의 가야사, 생각하는 백성
김진식(1993) : 가야연맹사, 대정문화사
김태식(2002) :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1-3, 도서출판 푸른역사
부산·경남연구소 엮음(1996) : 시민을 위한 가야사, 집문당
윤석효(1997) : 신편 가야사, 도서출판 혜안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 지음(1994) : 한국 고대사 산책, 한국역사연구회
머리를 납작하게 한다고 해서 그 당시엔 이를 편두라고 했다고 한다. 역사 기록속에서만 존재했던 편두의 실체를 예안리의 인골에서 확인하게 된 것이다. 편두를 하는 한가지 방법은 아기가 태어나면 머리 앞뒤로 판자를 대서 끈으로 묶는 것이다. 이렇게 십여차례를 반복하면 유연한 아기의 두 개골은 앞 뒤로 납작해진다는 것이다. 돌의 압력 때문에 그 무게 때문에 눌려져 있다. 태어나서 일개월 이내니까 어린애가 잘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아마도 가야인은 아기가 태어난 지 한달 이내에 앞이마를 돌로 지긋이 눌러주는 방법으로 편두를 만들었을 것이다. 중국의 역사서인 삼국지 위지동이전에도 가야인이 편두를 만들기 위해 돌로 아기의 머리를 눌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 가야인들에게 편두는 새로운 얼굴을 만드는 일종의 성형술이었다. 그러나 이런 성형술이 비단 가야에서만 이루어졌던 것은 아니라고 한다. 시기는 다르지만 편두의 풍습은 이집트와 가야 그리고 마야에서도 보여진다.
참고문헌
강평원(2001) : 쌍어속의 가야사, 생각하는 백성
김진식(1993) : 가야연맹사, 대정문화사
김태식(2002) :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1-3, 도서출판 푸른역사
부산·경남연구소 엮음(1996) : 시민을 위한 가야사, 집문당
윤석효(1997) : 신편 가야사, 도서출판 혜안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 지음(1994) : 한국 고대사 산책, 한국역사연구회
추천자료
한국 생활사 연구-건국 신화를 통해 본 시대상과 전통 풍속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
국문학 개론 - 설화 (신화, 전설, 민담)
프로메테우스, ㅡ 신화에 대한 사유
이윤기의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고 감상문을 적음.
[백제고분][백제고분미술][신라고분][신라고분미술][고구려고분][고구려고분미술]백제의 고분...
[고구려시대 회화미술][백제시대 회화미술][신라시대 회화미술][조선시대 회화미술][회화미술...
[미술][사실주의 미술][신사실주의][누보레알리즘]미술 효용, 미술 관련법률, 사실주의 미술 ...
[이집트미술][이집트미술의 무늬][이집트미술의 벽화]이집트미술의 의의, 이집트미술의 특징,...
초기기독교미술,비잔틴비술,로마네스크미술,고딕미술
다시 생각해야 할 한국교육의 신화 07. 팔방미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