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행위][자위행위 이론][자위행위아동][장애아동 자위행위 사례][자위행위아동의 지도]자위행위의 어원과 자위행위에 대한 이론 및 장애아동의 자위행위 사례 그리고 자위행위를 하는 아동의 지도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위행위][자위행위 이론][자위행위아동][장애아동 자위행위 사례][자위행위아동의 지도]자위행위의 어원과 자위행위에 대한 이론 및 장애아동의 자위행위 사례 그리고 자위행위를 하는 아동의 지도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자위행위의 어원

Ⅱ. 자위행위에 대한 이론
1. Freud의 성발달이론
2. 학습이론과 성발달

Ⅲ. 장애아동의 자위행위 사례
1. 엎드려서 신체를 흔드는 A군
1) 상황
2) 지도의 경과
2. 남 앞에서 성기를 만지는 B군
1) 상황
2) 지도의 경과
3. 자택의 거실에서 자위행위를 하는 C군
1) 상황
2) 지도의 경과

Ⅳ. 자위행위를 하는 아동의 지도
1. 구체적인 지도내용
1) 때, 장소를 가려 뒷처리를 할 수 있도록
2) 손이나 신체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3) 생활리듬을 조절해서
4) 만족감, 달성감을 얻을 수 있는 수업을 계획해서
5) 이성과의 관계 방법을 지도해서
2. 가족, 교사, 양호교사의 상호협력의 중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귀가해서부터 취침까지 부모가 부재중일 때가 많았기 때문에 혼자만 있거나, 형제만으로 지내는 일이 많기 때문에 자위행위가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4) 만족감, 달성감을 얻을 수 있는 수업을 계획해서
작업학습이나 체육 등 신체를 움직여서 활동하는 수업 중에는 자위행위는 하지 않는다. 전망을 갖고 의욕적으로 몰두할 수 있는 수업의 계획이 필요하다
5) 이성과의 관계 방법을 지도해서
초등부 고학년이 되면 이성의 신체에 닿지 않고, 남이 싫어하는 일은 하지 않는 등, 이성과의 관계방법을 장면 장면에서 주의시키거나 그만두게 하거나 해 간다.
2. 가족, 교사, 양호교사의 상호협력의 중요
성의 지도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성에 관한 지도 목표와 지도 내용 일람표]를 작성했다. 이 일람표에서, 개개 아동(학생)에 대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지도내용을 선택하고, 개별의 일상생활 지도의 연간지도 계획을 작성하여, 일제지도를 행할 필요가 있는 지도 내용에 대해서는 체육시간에 지도하도록 했다. 자위행위는 사례로 다룬 것과 같이 아동·학생의 행동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을 취하기 때문에, 주로 개별지도를 중심으로 행하고 있다. 남자의 자위행위 경우, 기본적으로 남자 교사를 중심으로 해서 보호자와 연락을 취하면서 지도를 하고 있다. 성에 관한 아동(학생)의 행동은 학교보다 가정에서 볼 수 있는 일이 많다. 그러나 성에 관한 화제는, 어머니끼리는 등·하교의 배웅·마중이나 부모의 활동 등에는 나와도 좀처럼 학교에 전달되지 않고 있다. 어머니에 있어서 이성인 내가 아이의 성에 관해서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망설이거나, 남자 교사에게 성에 관한 고민을 호소하는 것은 저항이 있거나 하는 일도 있다. 그 대문에 학급 간담회나 양호교사가 중심이 되어 개최된 성교육 학습회 등에서 어머니가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성에 관한 고민과 체험을 이야기할 기회를 갖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자위행위의 경우, 1일 생활리듬에 기초한 가정이나 학교에서 일상생활을 충실하게 하고, 해도 좋은 때·장소를 이해시켜, 뒷 처리도 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와의 공통 이해를 꾀하면서 지도를 해 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장애아의 경우, 가족부터 성교육을 금기시하는 소리도 들린다. 그러나 가족이 내가 아이의 성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용기와 강한 애정을 갖는 것이 자립한 사회생활을 확립해 가기 위한 방안이 된다는 것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김현실(1999), 청소년 자위행위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논문, 경산대
구성애, 구성애의 자위행위 성교육 시리즈 1 - 자위란?
이화연(1991), 우리 아아들의 성교육 어떻게 할까, 도서출판 돌베개
양혜경(1999), 성교육방법론연구, 가족과 성상담소
전영미, 20대 여성의 자위 경험과 성적 주체성 형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홍성욱(2001), 성교육자의 자세, 아우성 성상담소 상담원교육자료
Hertzer, Karin(2004), 남성과 여성의 착각에 관한 잡학사전, 을유문화사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