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생아기의 생리적 특징
1. 수면
2. 울음
3. 감각
1) 시각
2) 청각
3) 미각
4) 촉각
5) 후각
Ⅱ.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1. 피부
1) 솜털, 태지
2) 피부낙설, 구진, 몽고반점
3) 혈관종, 할리퀸 색조
2. 머리 및 얼굴
3. 흉부
4. 복부 및 소화기계
1) 태변배출
2) 생리적 황달
3) 제대단면
4) Prothrombin value
5. 배뇨생식기계
1) 가성월경 및 질분비물
2) 고환하강
3) 요산침착
4) 첫 배뇨시간
6. 근골격계
1) 체위
2) 사지대칭 및 균형
Ⅲ. 신생아의 신체계측
1. 아프가채점
2. 체중, 생리적 체중 감소
3. 키, 두위, 흉위, 복위
Ⅳ. 신생아의 활력증후
Ⅴ. 신생아의 관리
1. 분만 직후의 즉각적인 신생아 관리
1) 기도유지
2) Apagr점수
3) 제대결찰
4) 체온 관리
5) 눈 예방치료
6) 신생아 체중과 키
7) 신분확인
8) 조기 모아 애착증진
2. 분만 1~3 일후 신생아실에서의 신생아 관리
1) 첫 3일 동안에 이루어지는 간호- 균 감염 예방, 안전유지
2) 간호의 내용
참고문헌
1. 수면
2. 울음
3. 감각
1) 시각
2) 청각
3) 미각
4) 촉각
5) 후각
Ⅱ.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1. 피부
1) 솜털, 태지
2) 피부낙설, 구진, 몽고반점
3) 혈관종, 할리퀸 색조
2. 머리 및 얼굴
3. 흉부
4. 복부 및 소화기계
1) 태변배출
2) 생리적 황달
3) 제대단면
4) Prothrombin value
5. 배뇨생식기계
1) 가성월경 및 질분비물
2) 고환하강
3) 요산침착
4) 첫 배뇨시간
6. 근골격계
1) 체위
2) 사지대칭 및 균형
Ⅲ. 신생아의 신체계측
1. 아프가채점
2. 체중, 생리적 체중 감소
3. 키, 두위, 흉위, 복위
Ⅳ. 신생아의 활력증후
Ⅴ. 신생아의 관리
1. 분만 직후의 즉각적인 신생아 관리
1) 기도유지
2) Apagr점수
3) 제대결찰
4) 체온 관리
5) 눈 예방치료
6) 신생아 체중과 키
7) 신분확인
8) 조기 모아 애착증진
2. 분만 1~3 일후 신생아실에서의 신생아 관리
1) 첫 3일 동안에 이루어지는 간호- 균 감염 예방, 안전유지
2) 간호의 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열손실이 없도록 잘 닦아서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고 방포나 담요로 잘 싸준다.
③ 체온이 안정될 때까지 옷을 벗겨 복사열판(radiant heat panel)에 눕혀 건조시킨다.
④ 체온이 36.5°C로 될 때까지 첫 목욕을 연기하고 진찰이나 다른 활동을 신생아 가까이에서 실시함으로써 열의 상실을 최소화한다.
5) 눈 예방치료
①결막낭에 약(1% 질산은 용액, 0.5% erythromycin, 1% tetracycline)을 점적한다.
- 질산은 자체로 인한 화학적 결막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
- 임균, 폐렴성균, 클라미디아균에 감염될 수 있다.
②1% silver nitrate를 양쪽 눈에 점적하고 Normal Saline으로 irrigation.
③가족이 예방치료를 거절하면의사는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한다.
- 모든 신생아는 결막의 감염을 예방, 치료받아야 한다.
④분만이 4기 약 2시간 후까지 연기할 수도 있다.
- 신생아에게 감염되면 장님이 될 수 있다.
6) 신생아 체중과 키
신생아의 키아 몸무게는 분만 4기에 측정한다.
- 부모는 신생아의 체중과 키에 대해 알기를 원하고 가족에게 알려 주기를 원한다.
7) 신분확인
①모아를 분만실 밖으로 옮기기 전에 신생아를 확인한다.
- 비록 드물지만 신생아 신분이 혼돈될 수 있다.
②신생아의 손이나 발의 지문을 찍거나 손목 팔찌를 달아준다.
- 불필요한 불안과 법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8) 조기 모아 애착증진
산모는 분만 직후 자신의 아기를 안아보고 싶어한다. 신생아를 산모에게 보여주고 접촉을 하게 하면 애착이 증진될 수도 있다. 상태가 좋아지면 모유수유도 실시한다.
- 신생아에게 피부 접촉과 마사지를 해주면 신체적 성잘 발달이 촉진되고, 경미한 통증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2. 분만 1~3 일후 신생아실에서의 신생아 관리
1) 첫 3일 동안에 이루어지는 간호- 균 감염 예방, 안전유지
① 균 감염의 예방 방법
내과적 무균술에 따른 손씻기(Hand washing)
- 비누나 요오드 함유 소독수로 팔꿈치까지 씻으며, 처음 들어갈 때는 적어도 2분간, 중간에는 15초간 문질러야 한다.
아기를 간호하고 난 다음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다른 아기를 간호한다.
장갑 끼기 및 가운 입기 - 병동에 들어오기 전에 깨끗한 스크럽 복장으로 갈아입고 병동 밖으로 일시적으로 나갈 때에는 덧가운을 입는다. 병동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은 덧가운을 입고, 전용 신발을 착용하며 입구에서 손을 씻도록 지도, 감독한다.
첫 신생아 목욕에는 장갑을 착용한다.
아이를 간호할 때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하고 젖기 전에 자주 갈아준다.
② 신생아 안정여부 사정
신생아 피부 관찰- 푸르거나 황색인지의 여부
체온의 변화- 38.4℃이상이거나 36.1℃이하인지의 여부
2번 이상의 구토, 2번 이상 수유를 거부하는 것,
15초 이상의 무호흡
갑자기 심하게 울거나 불안정하여 달랠 수 없는 정도 등의 행동변화
2회 이상의 녹색의 물 같거나 단단한 변을 보는 것
오줌 싸는 횟수가 하루에 5회 이상인 것
눈이 붓거나 충혈된 것, 배꼽부위의 부종발적분비물출혈여부
포경 수술 부위의 부종발적분비물출혈 등의 이상 증상
2) 간호의 내용
① 배변상태 사정
출생 후 처음 보는 태변은 끈적끈적하고 암녹색이며, 냄새가 없다
생후 2~3일 경에 보는 이 변은 녹갈색에서 황갈색으로 변화되고 점성이 적어진다.
모유 수유하는 아기의 변은 황색이고 점성이 있고 특별한 냄새가 난다.
우유 수유하는 아기의 변은 옅은 황색에서 옅은 갈색이고 단단하며 약간 퀴퀴한 냄새 가 난다.
② 저체온 예방
몸이나 머리의 물기를 완전히 닦아준다. 증발로 인한 열 손실 차단
겨드랑 체온이 37.2℃이면 산소 소모량이 6% 증가하고 35.9℃이면 10%증가하므로 36.5℃ 전후를 유지하도록 한다.
저체온이나 고체온은 신진대사율을 증가시켜 산소 소모량을 증대시킨다.
③ 기도 흡인 예방
신생아가 갑자기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했을 경우 역류되어 흡인 될 수 있다.
소량의 깨끗한 물을 주어 식도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수유 후에는 반드시 트림을 시켜야 한다.
신생아를 눕힐 경우는 옆으로 눕히거나 엎드린 자세를 취해 주어 먹은 것이 역류되어 흡인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④ 제대 간호(Cord care)
○ 목적
감염 예방과 cord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제대 출혈 유무를 관찰하고 출혈 예방을 위함이다.
○ 탯줄 간호와 건조 탈락의 교육
출혈이나 악취 여부를 관찰한다.
멸균 면봉에 소독액을 적셔 배꼽이 떨어질 때까지 매일 cut한 cord 부위를 바르면서 2Artery, 1vein을 확인한다.
목욕 후나 제대 절단면이 젖었을 때마다 도포한다.
소독액은 70%,알코올 1% gentianviolet, 또는 betadine용액을 사용한다.
기저귀는 자극을 방지하기 위해 제대 아래쪽에 대어 둔다.
제대 절단면은 개방한 채로 두거나 드레싱을 한다.
제대는 생후 6-10일 경에 건조, 탈락된다.
홍반, 악취, 농성, 분비물과 같은 감염증상은 보고하고, 환아를 격리한다.
⑤ 눈 간호 (Eye care)
○ 목적
vaginal Delivary한 아기는 gonococcal Infection예방을 위함이다.
- 0.7% AgNO3 1방울 점적하고 0.9% saline으로 중화시킨다.
목욕 후 0.9% Saline sponge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는다.
양 눈은 각각 다른 Sponge를 사용한다.
입원 기간 중 Eye Discharge가 있으면 Order에 의해 검사를 내보내고 안약을 사용한다.
유의 사항 : Eye Care 전후 반드시 손 소독한다.
참고문헌
▷ 심미경 외(2002), 아동간호, 미학사
▷ 조결자 외(2000), 가족 중심의 아동 간호학, 현문사
▷ 조결자(2005), 아동과 가족간호, 서울 : 현문사
▷ 조결자·송지호 외(2000), 아동간호학, 현문사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제7판)(2004), 현문사
▷ 홍창의(1997),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 P.303-307
③ 체온이 안정될 때까지 옷을 벗겨 복사열판(radiant heat panel)에 눕혀 건조시킨다.
④ 체온이 36.5°C로 될 때까지 첫 목욕을 연기하고 진찰이나 다른 활동을 신생아 가까이에서 실시함으로써 열의 상실을 최소화한다.
5) 눈 예방치료
①결막낭에 약(1% 질산은 용액, 0.5% erythromycin, 1% tetracycline)을 점적한다.
- 질산은 자체로 인한 화학적 결막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
- 임균, 폐렴성균, 클라미디아균에 감염될 수 있다.
②1% silver nitrate를 양쪽 눈에 점적하고 Normal Saline으로 irrigation.
③가족이 예방치료를 거절하면의사는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한다.
- 모든 신생아는 결막의 감염을 예방, 치료받아야 한다.
④분만이 4기 약 2시간 후까지 연기할 수도 있다.
- 신생아에게 감염되면 장님이 될 수 있다.
6) 신생아 체중과 키
신생아의 키아 몸무게는 분만 4기에 측정한다.
- 부모는 신생아의 체중과 키에 대해 알기를 원하고 가족에게 알려 주기를 원한다.
7) 신분확인
①모아를 분만실 밖으로 옮기기 전에 신생아를 확인한다.
- 비록 드물지만 신생아 신분이 혼돈될 수 있다.
②신생아의 손이나 발의 지문을 찍거나 손목 팔찌를 달아준다.
- 불필요한 불안과 법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8) 조기 모아 애착증진
산모는 분만 직후 자신의 아기를 안아보고 싶어한다. 신생아를 산모에게 보여주고 접촉을 하게 하면 애착이 증진될 수도 있다. 상태가 좋아지면 모유수유도 실시한다.
- 신생아에게 피부 접촉과 마사지를 해주면 신체적 성잘 발달이 촉진되고, 경미한 통증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2. 분만 1~3 일후 신생아실에서의 신생아 관리
1) 첫 3일 동안에 이루어지는 간호- 균 감염 예방, 안전유지
① 균 감염의 예방 방법
내과적 무균술에 따른 손씻기(Hand washing)
- 비누나 요오드 함유 소독수로 팔꿈치까지 씻으며, 처음 들어갈 때는 적어도 2분간, 중간에는 15초간 문질러야 한다.
아기를 간호하고 난 다음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다른 아기를 간호한다.
장갑 끼기 및 가운 입기 - 병동에 들어오기 전에 깨끗한 스크럽 복장으로 갈아입고 병동 밖으로 일시적으로 나갈 때에는 덧가운을 입는다. 병동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은 덧가운을 입고, 전용 신발을 착용하며 입구에서 손을 씻도록 지도, 감독한다.
첫 신생아 목욕에는 장갑을 착용한다.
아이를 간호할 때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하고 젖기 전에 자주 갈아준다.
② 신생아 안정여부 사정
신생아 피부 관찰- 푸르거나 황색인지의 여부
체온의 변화- 38.4℃이상이거나 36.1℃이하인지의 여부
2번 이상의 구토, 2번 이상 수유를 거부하는 것,
15초 이상의 무호흡
갑자기 심하게 울거나 불안정하여 달랠 수 없는 정도 등의 행동변화
2회 이상의 녹색의 물 같거나 단단한 변을 보는 것
오줌 싸는 횟수가 하루에 5회 이상인 것
눈이 붓거나 충혈된 것, 배꼽부위의 부종발적분비물출혈여부
포경 수술 부위의 부종발적분비물출혈 등의 이상 증상
2) 간호의 내용
① 배변상태 사정
출생 후 처음 보는 태변은 끈적끈적하고 암녹색이며, 냄새가 없다
생후 2~3일 경에 보는 이 변은 녹갈색에서 황갈색으로 변화되고 점성이 적어진다.
모유 수유하는 아기의 변은 황색이고 점성이 있고 특별한 냄새가 난다.
우유 수유하는 아기의 변은 옅은 황색에서 옅은 갈색이고 단단하며 약간 퀴퀴한 냄새 가 난다.
② 저체온 예방
몸이나 머리의 물기를 완전히 닦아준다. 증발로 인한 열 손실 차단
겨드랑 체온이 37.2℃이면 산소 소모량이 6% 증가하고 35.9℃이면 10%증가하므로 36.5℃ 전후를 유지하도록 한다.
저체온이나 고체온은 신진대사율을 증가시켜 산소 소모량을 증대시킨다.
③ 기도 흡인 예방
신생아가 갑자기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했을 경우 역류되어 흡인 될 수 있다.
소량의 깨끗한 물을 주어 식도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수유 후에는 반드시 트림을 시켜야 한다.
신생아를 눕힐 경우는 옆으로 눕히거나 엎드린 자세를 취해 주어 먹은 것이 역류되어 흡인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④ 제대 간호(Cord care)
○ 목적
감염 예방과 cord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제대 출혈 유무를 관찰하고 출혈 예방을 위함이다.
○ 탯줄 간호와 건조 탈락의 교육
출혈이나 악취 여부를 관찰한다.
멸균 면봉에 소독액을 적셔 배꼽이 떨어질 때까지 매일 cut한 cord 부위를 바르면서 2Artery, 1vein을 확인한다.
목욕 후나 제대 절단면이 젖었을 때마다 도포한다.
소독액은 70%,알코올 1% gentianviolet, 또는 betadine용액을 사용한다.
기저귀는 자극을 방지하기 위해 제대 아래쪽에 대어 둔다.
제대 절단면은 개방한 채로 두거나 드레싱을 한다.
제대는 생후 6-10일 경에 건조, 탈락된다.
홍반, 악취, 농성, 분비물과 같은 감염증상은 보고하고, 환아를 격리한다.
⑤ 눈 간호 (Eye care)
○ 목적
vaginal Delivary한 아기는 gonococcal Infection예방을 위함이다.
- 0.7% AgNO3 1방울 점적하고 0.9% saline으로 중화시킨다.
목욕 후 0.9% Saline sponge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는다.
양 눈은 각각 다른 Sponge를 사용한다.
입원 기간 중 Eye Discharge가 있으면 Order에 의해 검사를 내보내고 안약을 사용한다.
유의 사항 : Eye Care 전후 반드시 손 소독한다.
참고문헌
▷ 심미경 외(2002), 아동간호, 미학사
▷ 조결자 외(2000), 가족 중심의 아동 간호학, 현문사
▷ 조결자(2005), 아동과 가족간호, 서울 : 현문사
▷ 조결자·송지호 외(2000), 아동간호학, 현문사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제7판)(2004), 현문사
▷ 홍창의(1997),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 P.303-307
추천자료
광선치료를 받는 고빌리루빈혈증 환아의 간호사례연구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기초대사이상 검사 )
보육학-연령별 발달과 보육
태내기에 대한 분석 및 사례연구
[간호학]아동발달
태내기 발달
영유아기의 영역별발달특징과 교사의 역할 그리고 영유아 교육과정
주기별 아동의 행동 특성
[아동발달론] 아동의 특성과 발달과정
호흡곤란증후군(RDS : Respiratory Distress Syndrom) CASE
NICU IUGR Case
NICU, ICU실습: 병리적 및 생리적 황달(Jaundice) 문헌고찰 [A+성적보장!!!!!]
[아동발달] 태내기부터 영아기까지의 뇌 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뇌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