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낳고 강경과 같은 상업도시의 발달을 가져온 주요인으로 작용하였음.
4. 댐과 하구둑 현황
1) 대청댐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금강의 수자원을 다목적으로 개발하여 발전, 홍수조정 및 용수공급을 위해 시행된 댐으로 1975년 3월에 진입도로 공사를 착공하여 1980년 12월에 준공되었다. 대청댐은 우리나라에서 소양호 충주호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인공저수지이며 행정구역상 우안은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 좌안은 충청남도 대덕군 신탄진읍 미호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청호로 유입되는 주요지천은 서화천, 봉황천, 남대천, 영동천, 초강천, 보청천, 옥천천 등이 있고 유역면적은 4,134㎢, 유로연장은 251㎞, 총저수용량은 14억9천만㎥, 유효 저수량은 7억9천만㎥, 발전시설용량은 9만kw, 년 평균유입량은 28억3천만㎥이다.
2)용담댐
용담다목적댐은 정부의 중규모댐 건설계획과 서해안 개발시대의 개막과 함께 각종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금강상류에 변경식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을 건설하여 전주, 익산, 군산, 군장지역 등 전주권과 서해안 개발지역에 생활공업용수 등의 안정적 공급과 금강하류지역의 홍수피해 경감은 물론 수력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한 수자원 종합개발사업으로 1988년 지역개발타당성 조사로 시작하여 92년 착공, 97년 도수터널 관통, 2000년 완공. 담수될 용담호는 금강상류 지천인 장계천 구량천 정자천 주자천의 물이 유입되며, 유역면적 930㎢, 총저수용량 815백만㎥, 유효저수량 672백만㎥이 될 예정이다. 또한 용담댐에서 고산정수장까지 도수터널 21.9㎞를 통하여 깨끗한 물이 공급될 예정이어서 금강과 만경강은 형제강이라 할 만하다.
3) 금강하구둑
금강을 군산에서 상류쪽 5㎞ 지점인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성덕리와 충청남도 마서면 도삼리를 둑으로 막은 금강하구둑. 1983년 12월 5일에 공사를 시작하여 7년만인 1990년 10월 30일에 준공된 금강하구둑은 둑길이 1841m(방조제-1127m, 배수 갑문-714m)에 4차선 차도와 인도를 설치하고 철도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수 갑문 20문과 1문의 통선문이 있어 필요할 때 50톤급 이하 어선이 통과할 수 있는 시설도 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한 곳에 어도(물고기 길)를 설치하여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습성대로 바다와 강을 오갈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도 되어 있다 금강하구둑의 건설로 1억3천8백만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주변에 있는 전북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완주군과 충남의 부여군, 서천군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4만 3천㏊의 농경지에 농업 용수를 대어 줄 수 있게 되었다. 또 군산 지방산업단지와 국가산업단지에 공업용수를 대어 주며 단계적으로 완공될 군장국가산업단지에는 1일 33만톤의 물을 대어 주게 된다.
5. 상수도
전체인구 약 428만명 중 72%인 308만명이 상수도 공급의 혜택을 받고 있다. 1인당 1일 급수량을 보면, 대전은 406ℓ로서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며, 충남은 322ℓ, 충북은 311ℓ로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상수도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주민들은 간이상수도를 이용하고 있거나, 전용상수도 또는 우물 등에 의존하고 있다.
6. 금강의 수질 실태
하천
지점
목표수질 (등급)
수온(℃)
BOD(mg/L)
COD(mg/L)
DO(mg/L)
Cd,As,Pb,CN,
Cr,Hg,폐놀류
04년
05년
04년
05년
04년
05년
04년
05년
금강
옥천
Ⅰ
16
13
1.1
1.0
4.0
4.1
9.2
9.8
전항목 불검출
대청
Ⅰ
16
13
1.0
1.1
3.2
3.0
10.2
11.1
전항목 불검출
갑천하류
Ⅱ
18
19
6.9
6.2
8.2
7.6
9.6
10.2
전항목 불검출
청원
Ⅰ
15
13
2.6
3.0
5.3
5.6
8.9
9.6
전항목 불검출
미호천하류
Ⅱ
15
14
4.3
3.6
6.5
6.6
9.1
9.3
전항목 불검출
공주
Ⅱ
15
14
3.0
2.7
6.5
7.5
9.2
9.3
전항목 불검출
부여
Ⅱ
15
14
2.8
3.0
6.9
7.5
9.3
9.2
전항목 불검출
☞ 금강 오염의 주된 지천은 대전을 가로지르는 갑천과 청주를 거쳐 나오는 미호천이라고 볼 수 있음. 갑천과 금강이 합류하는 지점인 청원 부근에서 급격히 BOD수치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고 미호천을 지나면서 그 수치가 또 다시 증가함을 볼 수 있음.
이와 같은 원인으로는 도심의 무수한 오염물질이 강거 등을 타고 하천으로 흘러 들어오 는 것과 생활하수의 무단 방류 등 이라고 볼 수 있음.
5. 연간 물 소비량
항목
단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1인당 가용 수자원량
1,493
좌동
좌동
1491
연간 수자원 총량
억
1,307
좌동
좌동
1240
연간 수자원 이용량
억
331
좌동
좌동
344
연간 생활용수 이용량
억
73
좌동
좌동
79
연간 공업용수 이용량
억
29
좌동
좌동
28
연간 농업용수 이용량
억
158
좌동
좌동
160
연간 유지용수 이용량
억
71
좌동
좌동
78
1일 1인당 급수량
l pcd
359
365
-
-
1일 1인당 가정용수 사용량
l pcd
174.9
177.3
-
-
전국 물부족 예상량
(2011년 이후)
억
18.4
-
-
3.4
전국 물부족 예상량
(2020년기준
억
26.3
-
-
9.16
[자료 출처]
1. 인간과 환경 오종민, 최이송 외 형설출판사 2004년
2. 도시 환경론 탁병오 형설출판사 2002년
3. 최신 환경과 인간 장순웅 다산서고 2003년
4. 인간과 환경 김광렬, 권문선외 동화지식 2005년
5. 환경과 인간 장순웅 다산서고 2002년
6.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me.go.kr/
7. 수자원공사 홈페이지 http://www.kowaco.or.kr/
8. 한강 유역환경청 http://www.hg.me.go.kr/
9. 금강 유역환경청 http://gg.me.go.kr/
10. 영산강 유역환경청 http://yeongsan.me.go.kr/
11. 낙동강 유역환경청 http://www.nd.me.go.kr/
4. 댐과 하구둑 현황
1) 대청댐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금강의 수자원을 다목적으로 개발하여 발전, 홍수조정 및 용수공급을 위해 시행된 댐으로 1975년 3월에 진입도로 공사를 착공하여 1980년 12월에 준공되었다. 대청댐은 우리나라에서 소양호 충주호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인공저수지이며 행정구역상 우안은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 좌안은 충청남도 대덕군 신탄진읍 미호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청호로 유입되는 주요지천은 서화천, 봉황천, 남대천, 영동천, 초강천, 보청천, 옥천천 등이 있고 유역면적은 4,134㎢, 유로연장은 251㎞, 총저수용량은 14억9천만㎥, 유효 저수량은 7억9천만㎥, 발전시설용량은 9만kw, 년 평균유입량은 28억3천만㎥이다.
2)용담댐
용담다목적댐은 정부의 중규모댐 건설계획과 서해안 개발시대의 개막과 함께 각종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금강상류에 변경식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을 건설하여 전주, 익산, 군산, 군장지역 등 전주권과 서해안 개발지역에 생활공업용수 등의 안정적 공급과 금강하류지역의 홍수피해 경감은 물론 수력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한 수자원 종합개발사업으로 1988년 지역개발타당성 조사로 시작하여 92년 착공, 97년 도수터널 관통, 2000년 완공. 담수될 용담호는 금강상류 지천인 장계천 구량천 정자천 주자천의 물이 유입되며, 유역면적 930㎢, 총저수용량 815백만㎥, 유효저수량 672백만㎥이 될 예정이다. 또한 용담댐에서 고산정수장까지 도수터널 21.9㎞를 통하여 깨끗한 물이 공급될 예정이어서 금강과 만경강은 형제강이라 할 만하다.
3) 금강하구둑
금강을 군산에서 상류쪽 5㎞ 지점인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성덕리와 충청남도 마서면 도삼리를 둑으로 막은 금강하구둑. 1983년 12월 5일에 공사를 시작하여 7년만인 1990년 10월 30일에 준공된 금강하구둑은 둑길이 1841m(방조제-1127m, 배수 갑문-714m)에 4차선 차도와 인도를 설치하고 철도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수 갑문 20문과 1문의 통선문이 있어 필요할 때 50톤급 이하 어선이 통과할 수 있는 시설도 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한 곳에 어도(물고기 길)를 설치하여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습성대로 바다와 강을 오갈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도 되어 있다 금강하구둑의 건설로 1억3천8백만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주변에 있는 전북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완주군과 충남의 부여군, 서천군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4만 3천㏊의 농경지에 농업 용수를 대어 줄 수 있게 되었다. 또 군산 지방산업단지와 국가산업단지에 공업용수를 대어 주며 단계적으로 완공될 군장국가산업단지에는 1일 33만톤의 물을 대어 주게 된다.
5. 상수도
전체인구 약 428만명 중 72%인 308만명이 상수도 공급의 혜택을 받고 있다. 1인당 1일 급수량을 보면, 대전은 406ℓ로서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며, 충남은 322ℓ, 충북은 311ℓ로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상수도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주민들은 간이상수도를 이용하고 있거나, 전용상수도 또는 우물 등에 의존하고 있다.
6. 금강의 수질 실태
하천
지점
목표수질 (등급)
수온(℃)
BOD(mg/L)
COD(mg/L)
DO(mg/L)
Cd,As,Pb,CN,
Cr,Hg,폐놀류
04년
05년
04년
05년
04년
05년
04년
05년
금강
옥천
Ⅰ
16
13
1.1
1.0
4.0
4.1
9.2
9.8
전항목 불검출
대청
Ⅰ
16
13
1.0
1.1
3.2
3.0
10.2
11.1
전항목 불검출
갑천하류
Ⅱ
18
19
6.9
6.2
8.2
7.6
9.6
10.2
전항목 불검출
청원
Ⅰ
15
13
2.6
3.0
5.3
5.6
8.9
9.6
전항목 불검출
미호천하류
Ⅱ
15
14
4.3
3.6
6.5
6.6
9.1
9.3
전항목 불검출
공주
Ⅱ
15
14
3.0
2.7
6.5
7.5
9.2
9.3
전항목 불검출
부여
Ⅱ
15
14
2.8
3.0
6.9
7.5
9.3
9.2
전항목 불검출
☞ 금강 오염의 주된 지천은 대전을 가로지르는 갑천과 청주를 거쳐 나오는 미호천이라고 볼 수 있음. 갑천과 금강이 합류하는 지점인 청원 부근에서 급격히 BOD수치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고 미호천을 지나면서 그 수치가 또 다시 증가함을 볼 수 있음.
이와 같은 원인으로는 도심의 무수한 오염물질이 강거 등을 타고 하천으로 흘러 들어오 는 것과 생활하수의 무단 방류 등 이라고 볼 수 있음.
5. 연간 물 소비량
항목
단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1인당 가용 수자원량
1,493
좌동
좌동
1491
연간 수자원 총량
억
1,307
좌동
좌동
1240
연간 수자원 이용량
억
331
좌동
좌동
344
연간 생활용수 이용량
억
73
좌동
좌동
79
연간 공업용수 이용량
억
29
좌동
좌동
28
연간 농업용수 이용량
억
158
좌동
좌동
160
연간 유지용수 이용량
억
71
좌동
좌동
78
1일 1인당 급수량
l pcd
359
365
-
-
1일 1인당 가정용수 사용량
l pcd
174.9
177.3
-
-
전국 물부족 예상량
(2011년 이후)
억
18.4
-
-
3.4
전국 물부족 예상량
(2020년기준
억
26.3
-
-
9.16
[자료 출처]
1. 인간과 환경 오종민, 최이송 외 형설출판사 2004년
2. 도시 환경론 탁병오 형설출판사 2002년
3. 최신 환경과 인간 장순웅 다산서고 2003년
4. 인간과 환경 김광렬, 권문선외 동화지식 2005년
5. 환경과 인간 장순웅 다산서고 2002년
6.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me.go.kr/
7. 수자원공사 홈페이지 http://www.kowaco.or.kr/
8. 한강 유역환경청 http://www.hg.me.go.kr/
9. 금강 유역환경청 http://gg.me.go.kr/
10. 영산강 유역환경청 http://yeongsan.me.go.kr/
11. 낙동강 유역환경청 http://www.nd.me.go.kr/
추천자료
[음악의 이해]그리운 금강산의 작가소개
우리나라의 옛길(도로)
한국 선박사
수질 오염에 대한 실태와 개선 방안
우리나라 댐에 대해서
우리고대문화의 이해
[수질오염][수질][오염]수질오염의 원인, 지표, 현황과 우리나라 수질오염 관리 및 생활실천 ...
[수질오염] 수질오염의 실태와 문제점 및 수질오염의 영향과 수질오염의 대책방안
[수질오염대책, 수질오염] 수질오염의 현황과 사례 및 수질오염의 원인과 수질오염의 대책방안
한국인의 음식문화 사상에 관한 고찰
관광,여가지리학
4대강 수질현황 및 문제점
정책학(政策學)에서 정치의 정의, 정책과 정치의 관계
[음식과 세계문화] 3주차 한국의 음식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