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본론
1. 역사학습의 정의 및 필요성
1) 사실로서의 역사
2) 기록으로서의 역사
2. 역사학습의 목적
1) 역사학습의 의미
2) 역사학습의 효용
3. 역사교육의 정의 및 필요성
1) 역사 교육의 정의
2) 역사교육의 필요성
3)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4. 역사교육의 내용
1) 역사개념의 발달
2)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의 개념
3) 유아 역사교육의 목적
5. 유아기 역사교육의 교수학습방법
1) 역사적 사고력 발달과 생활 유물의 관계
2) 역사학습에서 생활유물 활용의 의미
3) 수업에 활용 할 생활유물의 선정 및 이해
(1) 생활유물의 선정 및 수집
(2) 짚신’에 대한 이해
4) ‘짚신’을 활용한 역사 교수-학습 지도안
5) 생활유물을 활용한 역사학습에 대한 결론
Ⅲ.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본론
1. 역사학습의 정의 및 필요성
1) 사실로서의 역사
2) 기록으로서의 역사
2. 역사학습의 목적
1) 역사학습의 의미
2) 역사학습의 효용
3. 역사교육의 정의 및 필요성
1) 역사 교육의 정의
2) 역사교육의 필요성
3)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4. 역사교육의 내용
1) 역사개념의 발달
2)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의 개념
3) 유아 역사교육의 목적
5. 유아기 역사교육의 교수학습방법
1) 역사적 사고력 발달과 생활 유물의 관계
2) 역사학습에서 생활유물 활용의 의미
3) 수업에 활용 할 생활유물의 선정 및 이해
(1) 생활유물의 선정 및 수집
(2) 짚신’에 대한 이해
4) ‘짚신’을 활용한 역사 교수-학습 지도안
5) 생활유물을 활용한 역사학습에 대한 결론
Ⅲ.결론
본문내용
%), ‘매우 자주 실시함’(12.3%)순으로 나왔다.
4)자연의 변화
자연의 변화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자주 실시함’(59.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매우 자주 실시함’(26.4%), ‘보통으로 실시함’(13.7%)순으로 나타났다.
3.삶의 연속성에 대한 실시 정도
유아역사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삶의 연속성에 대한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 내용을 가족, 세대 간의 접촉, 특별한 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가족
삶의 연속성에서 가족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함’(44.7%)로 가장 많았고, ‘자주 실시함’(43.1%), ‘매우 자주 실시함’(9.2%) 순으로 나타났다.
2)세대 간의 접촉
세대 간의 접촉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52.5%)으로 가장 많았고, ‘거의 실시하지 않음’(25.6%), ‘자주 실시함’(18.7%) 으로 나타났다.
3)특별한 날
특별한 날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주 실시함’(46.4%)이 가장 많았고,
‘보통으로 실시함’(40.3%), ‘매우 자주 실시함’(11.4%)순으로 나타났다.
4.과거에 대한 실시 정도
유아역사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과거에 대한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 내용을 과거의 사람, 사물, 내러티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과거의 사람
과거의 사물에 대한 실기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함’(50.6%)로 가장 많았고, ‘자주 실시함’(27.3%), ‘거의 실시하지 않음’(18.3%)순으로 나타났다.
2)과거의 사물
과거의 사물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함’(48.2%)으로 가장 많았고 ‘자주 실시함’(40.6%), ‘거의 실시하지 않음’(5.5%)순으로 나타났다.
3)과거의 내러티브
과거의 내러티브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보통으로 실시함’(46.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거의 실시하지 않음’(31.5%), ‘자주 실시함’(16.4%)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
유아역사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을 모두 선택 하도록 한 결과 ‘유아, 이웃, 유치원, 자연의 변화’(13.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삶의 연속성’(13.5%), ‘고장, 지역사회의 변화’(12.0%)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의 실시에 적합한 연령
만5세(36.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만4세(34.7%),만3세(23.6%), 만6세(5.0%)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의 어려움
유아역사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실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수방법’(28.1%)응답이 가장 많았고, ‘적합한 내용 선정’(22.9%), ‘유아의 관심 부족’(10.6%),‘교사의 관심과 흥미 부족’(8.6%)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의 문제점
유아역사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실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준 및 지침 미흡’(31.2%)응답이 가장 많았고, ‘교재, 교구 부족’(30.5%), ‘교사양성 및 현직 교육이흡’(15.0%), ‘단편적, 추상적, 주입식 교육’(12.3%), ‘교육관계자 인신 부족’(9.7%)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과 관련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
유아역사교육과 관련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한 실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교육, 연수 기회가 제공되지 않음’(83.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개인적인 여건과 맞지 않음’(6.4%), ‘역사교육 자체에 관심이 없음’(5.4%), ‘유아교육에서 필요성을 못 느낌’(4.5%)순으로 나타났다.(2005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명희)
*유아기 역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항목
빈도(%)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
188(81.9)
44(18.1)
전체
232(100.0)
응답자 232명중 188명(81.9%)이 유아기 때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시기에 역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역사교육이 필요한 이유
항목
빈도(%)
개인의 뿌리와 문화, 삶에 존재하는 조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과거 지식은 유아들이 현재를 이해,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기초가 되므로
세계화에 기초가 되므로
75(39.9)
62(33.0)
36(19.1)
15(8.0)
전체
188(100.0)
전체교사 232명 중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188명을 제외하고 44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때 역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응답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유아기 역사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항목
빈도(%)
유아들에게 역사개념은 어려우므로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으므로
역사교육보다는 다른 교육내용에 더 충실해야 하므로
유아들의 호기심이 별로 없으므로
기타
14(31.8)
18(40.9)
4(9.1)
4(9.1)
4(9.1)
전체
44(100.0)
2.유치원에서 역사교육 실시현황
1)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의 실시현황
항목
빈도(%)
자주 실시함
가끔 실시함
거의 실시하지 않음
전혀 실시하지 않음
16(6.5)
157(68.0)
42(18.2)
17(7.3)
전체
232(100.0)
대체적으로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자주 실시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232명중 역사교육을 ‘자주 실시하고 있다’라고 대답한 16명을 제외한 2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하여 질문에 응답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2)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을 자주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
항목
빈도(%)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
교재와 자료가 충분하지 못해서
역사교육 이외에도 중요한 다른 교육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유아에게 역사는 어렵기 때문에
가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97(45.1)
62(28.5)
34(16.0)
19(9.0)
4(1.4)
전체
216(100.0)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장희경(국회도서관)
4)자연의 변화
자연의 변화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자주 실시함’(59.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매우 자주 실시함’(26.4%), ‘보통으로 실시함’(13.7%)순으로 나타났다.
3.삶의 연속성에 대한 실시 정도
유아역사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삶의 연속성에 대한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 내용을 가족, 세대 간의 접촉, 특별한 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가족
삶의 연속성에서 가족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함’(44.7%)로 가장 많았고, ‘자주 실시함’(43.1%), ‘매우 자주 실시함’(9.2%) 순으로 나타났다.
2)세대 간의 접촉
세대 간의 접촉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52.5%)으로 가장 많았고, ‘거의 실시하지 않음’(25.6%), ‘자주 실시함’(18.7%) 으로 나타났다.
3)특별한 날
특별한 날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주 실시함’(46.4%)이 가장 많았고,
‘보통으로 실시함’(40.3%), ‘매우 자주 실시함’(11.4%)순으로 나타났다.
4.과거에 대한 실시 정도
유아역사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과거에 대한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 내용을 과거의 사람, 사물, 내러티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과거의 사람
과거의 사물에 대한 실기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함’(50.6%)로 가장 많았고, ‘자주 실시함’(27.3%), ‘거의 실시하지 않음’(18.3%)순으로 나타났다.
2)과거의 사물
과거의 사물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통으로 실시함’(48.2%)으로 가장 많았고 ‘자주 실시함’(40.6%), ‘거의 실시하지 않음’(5.5%)순으로 나타났다.
3)과거의 내러티브
과거의 내러티브에 대한 실시 정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보통으로 실시함’(46.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거의 실시하지 않음’(31.5%), ‘자주 실시함’(16.4%)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
유아역사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을 모두 선택 하도록 한 결과 ‘유아, 이웃, 유치원, 자연의 변화’(13.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삶의 연속성’(13.5%), ‘고장, 지역사회의 변화’(12.0%)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의 실시에 적합한 연령
만5세(36.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만4세(34.7%),만3세(23.6%), 만6세(5.0%)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의 어려움
유아역사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실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수방법’(28.1%)응답이 가장 많았고, ‘적합한 내용 선정’(22.9%), ‘유아의 관심 부족’(10.6%),‘교사의 관심과 흥미 부족’(8.6%)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의 문제점
유아역사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실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준 및 지침 미흡’(31.2%)응답이 가장 많았고, ‘교재, 교구 부족’(30.5%), ‘교사양성 및 현직 교육이흡’(15.0%), ‘단편적, 추상적, 주입식 교육’(12.3%), ‘교육관계자 인신 부족’(9.7%)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과 관련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
유아역사교육과 관련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한 실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교육, 연수 기회가 제공되지 않음’(83.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개인적인 여건과 맞지 않음’(6.4%), ‘역사교육 자체에 관심이 없음’(5.4%), ‘유아교육에서 필요성을 못 느낌’(4.5%)순으로 나타났다.(2005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명희)
*유아기 역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항목
빈도(%)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
188(81.9)
44(18.1)
전체
232(100.0)
응답자 232명중 188명(81.9%)이 유아기 때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시기에 역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역사교육이 필요한 이유
항목
빈도(%)
개인의 뿌리와 문화, 삶에 존재하는 조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과거 지식은 유아들이 현재를 이해,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기초가 되므로
세계화에 기초가 되므로
75(39.9)
62(33.0)
36(19.1)
15(8.0)
전체
188(100.0)
전체교사 232명 중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188명을 제외하고 44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때 역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응답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유아기 역사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항목
빈도(%)
유아들에게 역사개념은 어려우므로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으므로
역사교육보다는 다른 교육내용에 더 충실해야 하므로
유아들의 호기심이 별로 없으므로
기타
14(31.8)
18(40.9)
4(9.1)
4(9.1)
4(9.1)
전체
44(100.0)
2.유치원에서 역사교육 실시현황
1)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의 실시현황
항목
빈도(%)
자주 실시함
가끔 실시함
거의 실시하지 않음
전혀 실시하지 않음
16(6.5)
157(68.0)
42(18.2)
17(7.3)
전체
232(100.0)
대체적으로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자주 실시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232명중 역사교육을 ‘자주 실시하고 있다’라고 대답한 16명을 제외한 2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하여 질문에 응답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2)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을 자주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
항목
빈도(%)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
교재와 자료가 충분하지 못해서
역사교육 이외에도 중요한 다른 교육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유아에게 역사는 어렵기 때문에
가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97(45.1)
62(28.5)
34(16.0)
19(9.0)
4(1.4)
전체
216(100.0)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장희경(국회도서관)
추천자료
[사회,학교]학교사회사업(개념,정의,필요성,목적,역활,발달 역사,현행서비스, 전망과 과제 등...
평생학습도시 - 정의 개념, 특징,필요성, 지원사업, 현황 정리 및 사례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의 정의와 필요성,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 운영실...
학습장애 연구의 역사적 단계
분수(수학 분수) 개념, 분수(수학 분수) 성질, 분수(수학 분수) 역사, 분수(수학 분수) 연산,...
수학 놀이학습 특성과 필요성, 레크레이션 수학(레크리에이션 수학) 정의, 레크레이션 수학(...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정의와 필요성,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운영사례와 운영교...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와 특징, 평생교육(평생학습)의 필요성,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사...
장애인복지 (장애 개념, 정의, 특성 ,접근 방법과 장애인복지의 정의, 개념, 목표, 이념, 역...
다이빙 리조트 관광 현황, 종류, 정의 및 특징과 역사, 국내외 현황, 도입 필요성, 발전방안,...
장애인 복지의 정의, 필요성, 역사, 정책, 사례 대학 과제
팀티칭(협력교수)의 정의와 원리, 팀티칭(협력교수)의 분류, 팀티칭(협력교수)의 필요성, 팀...
[국가계획] 국가계획의 의의(정의, 역사, 필요성), 국가계획 분야와 유형, 국가계획
[경영정보론] ERP 대웅제약 사례를 중심으로 [ERP 정의 ERP 역사 ERP 특징 ERP 도입 필요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