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위치에서의 휨 응력은 그 위치에서 측정된 변형률로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즉 ,
2.2 참고사항
Cantilever beam는 단지 한 단에서만 고정되고 지지되어, 보의 축에 연직 한 하나 이상의 집중하중이나 분포하중을 받는 보에 붙여진 이름이다. Cantilever beam의 자유단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보 길이에 따른 전단력 및 휨모멘트는 각각 다음과 같다.
또는
여기서 V는 전단력, M은 휨모멘트, χ는 하중 점에서 변형률 측정위치까지의 거리이다.
실험에 사용된 Cantilever 보 표면에서의 응력은 하중 점과 고정 단 근처를 제외하고는 보
어디에서나 일축응력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응력-변형률 관계는 Hooke's law에 따르며,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 σ : 보 표면에서의 법석응력
* E : 부재의 재료탄성계수
* ε : 법선변형률
또한 부재 표면에서의 휨 응력은 휨모멘트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다.
* σ(χ) : 하중 점에서 χ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부재연단 휨 응력
* c : 부재 단면의 중립축에서 연단까지의 거리
* I : 단면 2차 모멘트
* b : 보단면의 폭
* t : 보단면의 높이(두께)
* Z : 단면계수
즉 ,
2.2 참고사항
Cantilever beam는 단지 한 단에서만 고정되고 지지되어, 보의 축에 연직 한 하나 이상의 집중하중이나 분포하중을 받는 보에 붙여진 이름이다. Cantilever beam의 자유단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보 길이에 따른 전단력 및 휨모멘트는 각각 다음과 같다.
또는
여기서 V는 전단력, M은 휨모멘트, χ는 하중 점에서 변형률 측정위치까지의 거리이다.
실험에 사용된 Cantilever 보 표면에서의 응력은 하중 점과 고정 단 근처를 제외하고는 보
어디에서나 일축응력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응력-변형률 관계는 Hooke's law에 따르며,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 σ : 보 표면에서의 법석응력
* E : 부재의 재료탄성계수
* ε : 법선변형률
또한 부재 표면에서의 휨 응력은 휨모멘트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다.
* σ(χ) : 하중 점에서 χ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부재연단 휨 응력
* c : 부재 단면의 중립축에서 연단까지의 거리
* I : 단면 2차 모멘트
* b : 보단면의 폭
* t : 보단면의 높이(두께)
* Z : 단면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