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이란?
평생 교육
교양교육 & 평생교육
평생 교육
교양교육 & 평생교육
본문내용
고 나서 오히려 공부를 안 할 가능성이 있음을 문제시 여기는데 평생교육의 측면에서는 최소한의 교양교육을 마치고 나면 이제 학습자는 자신의 안목을 가지고 문제와 마주할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학습자의 흥미와 관련된 것이므로 그의 흥미의 유무에 따라 공부의 하고 안하고가 결정되어 지는데 질문지법에 의하여 흥미의 유형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흥미의 발달에는 일정한 경향이 보인다. 즉, 유아기에는 물질적 ·신체적 ·이기적 요구에서 출발한 경제적 ·활동적 ·권력적인 흥미가 왕성하며, 이러한 흥미는 초등학교 입학 때부터 점차 감퇴된다. 이에 반하여 청년기에는 이타적 ·영지적(英智的) 요구에서 나오는 종교적 ·사회적 ·이론적 흥미가 늘어나는데, 특히 심미적(審美的) 흥미는 청년기에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흥미가 사라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공부를 안 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며 정말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흥미가 없다는 말이 되므로 진보주의의 말처럼 그것은 정신적병이 있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흥미를 거론하면서 Peters의 교육관을 옹호하는 점이 모순점으로 보일 수 있겠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시작을 최소한의 교양교육을 마친 성인에서 시작한다는 점에서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이 학습자는 가치를 판단할 줄 알기에 그의 흥미를 존중해줄 수 있다는 것이다. Peters는 아동의 흥미가 주로 가치가 없기에 아동의 흥미를 최우선시하기보다는 사회에 입문하도록 한 다음 아동이 안목을 가지고 경험을 할 것을 주장하였기에 지금까지 논의한 점에서 교양교육동안에 흥미를 거론하지 않았으므로 모순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문제는 학습자의 흥미와 관련된 것이므로 그의 흥미의 유무에 따라 공부의 하고 안하고가 결정되어 지는데 질문지법에 의하여 흥미의 유형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흥미의 발달에는 일정한 경향이 보인다. 즉, 유아기에는 물질적 ·신체적 ·이기적 요구에서 출발한 경제적 ·활동적 ·권력적인 흥미가 왕성하며, 이러한 흥미는 초등학교 입학 때부터 점차 감퇴된다. 이에 반하여 청년기에는 이타적 ·영지적(英智的) 요구에서 나오는 종교적 ·사회적 ·이론적 흥미가 늘어나는데, 특히 심미적(審美的) 흥미는 청년기에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흥미가 사라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공부를 안 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며 정말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흥미가 없다는 말이 되므로 진보주의의 말처럼 그것은 정신적병이 있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흥미를 거론하면서 Peters의 교육관을 옹호하는 점이 모순점으로 보일 수 있겠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시작을 최소한의 교양교육을 마친 성인에서 시작한다는 점에서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이 학습자는 가치를 판단할 줄 알기에 그의 흥미를 존중해줄 수 있다는 것이다. Peters는 아동의 흥미가 주로 가치가 없기에 아동의 흥미를 최우선시하기보다는 사회에 입문하도록 한 다음 아동이 안목을 가지고 경험을 할 것을 주장하였기에 지금까지 논의한 점에서 교양교육동안에 흥미를 거론하지 않았으므로 모순점이 없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