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대중매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보통신의 순기능과 역기능

2. 신문언어의 특성

3. 광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언어적 장치

본문내용

키우고 하림이 만듭니다.
이 밖의 ‘옥을 받았다. 팬티의 새로운 도전, 옥이 든 팬티 옥황상제(좋은 사람들)
‘만나면 맛나요(제일제당, 진육수)
‘대우로 가면 대우 받는다.(대우아파트)
◎ 동음이의어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 :
① 소주 곰바우의 광고 카피에서 ‘이봐 곰바우 무슨 水作을 한 거야?’에서 水作은 한자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한자어를 새롭게 만들어서 ‘곰바우 술의 순한 맛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어떤 물로 수작을 부려서 맹맹한 술 즉 순할 술로 만들었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광고의 바디카피에서 고맙게도 水作의 의미를 친절하게 설명해 준다. ‘천연 암반수로도 충분한데, 이것은 바로 水作이죠’라고.
② 서편제의 주인공 오정해가 모델로 등장하는 한화종합화학의 홈샤시 광고 카피를 보면, ‘한국창의 자존심! 한국창의 자부심!
◎ 문장의 유형을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 :
일반적으로 ① 평서문은 소비자들의 이성적 판단에 호소하는 경우 사용한다. 평서문을 사용하는 경우, 대개 결과에 대한 카피를 헤드라인에서 선언적으로 제시하고, 그것의 원인을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은 한국 전력의 기업 이미지 광고의 카피이다.
가족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 고객을 향한 한국전력의 마음입니다.
누군가를 걱정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날이 어두워지면 걱정하는 마음도 커져 집앞으로 마중을 나가는 따뜻한 마음, 비록 느끼지는 못해도 언제나 그곳에는 따뜻한 마음을 지킬 수 있는 빛이 있습니다. ~
② 명령문은 광고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카피의 한 형태이다. 이정현의 정치 선전에서 ‘바꿔’가 그 예이다. 광고에서 명령문을 많이 사용하는 원인은 소비자가 명령에 따라 실제적으로 행동하리라는 기대보다는 그로 인해 소비자에게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말하고 있는 것과 같은 커뮤니케니션의 효과를 내기 위한 방법이다.
③ 의문문은 명령문과 마찬가지로 소비자와 실제적인 상호작용의 느낌을 주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의문문은 광고가 묻고 있는 질문에 소비자들이 구체적인 반응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질문을 던져서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방법이다. 백세주 광고의 헤드라인 ‘누가 나와 빌딜 하겠소?’ 시사성있는 화제를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정치적 화제들은 공고 카피의 문구로 종종 이용된다. ‘LG 밀레니엄 파트너(LG증권)’, ‘살맛나는 월드컵! 술맛나는 곰바우!’
④ 감탄문은 소비자의 감성적 판단에 호소하는 경우 사용된다.
이름 하나로 버텨 보려는 ‘PC는 커져!, 가격 하나로 밀어붙이려는 PC는 꺼져!, 낯선 이름이라고 무시하는 PC는 덤벼!’
TV가 보급되면서 광고도 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보다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려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광고의 본질적인 기능이 정보 제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광과 자체가 너무 감각적인 영상 이미지(영상언어)로 흘러가는 것이 바람직한지는 의문이다. 다시 말해서 요즈음 말이 필요 없는 광도들이 속속 출현하고 있다. 특히 여성들의 속옷광고나 패션 광고들은 더욱 그러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5.0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