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근대의 역사서의 서문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근대의 역사서의 서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시대의 역사서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2. 조선 초기의 관찬사서 :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삼국사절요

3.조선후기 실학파 및 기타 역사서술 : 발해고, 연려실기술, 해동역사, 여사제강

본문내용

자료를 수집해서 모아놓았다. 한치윤은 서문에도 밝히듯이 외국의 사서들에서 나오는 우리나라의 기록들을 수집하여서 역사서를 편찬하려 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고려사(高麗史)》는 모두 1백 37권인데, 세가(世家)·열전(列傳)·지(志)·표(表)가 있으나, 그 사건의 내용을 산만하게 기록하여 그 요령(要領)을 파악할 수가 없다. 시남(市南) 유계(兪棨) 선생이 이러한 점을 병폐로 여기고, 대략 주자(朱子)의 《통감강목(通鑑綱目)》의 범례(凡例)에 의해서 연대(年代)를 표시하고 연호(年號)를 적은 다음에 큰 사건만을 써서 요점을 제시하고, 또 나머지 기사들을 나누어 주석으로 붙여서 사실을 자세하게 갖추었는데, 총 12권이나 되고, 책 이름을 《여사제강(麗史提綱)》이라고 하였다....(중략)...아! 고려(高麗) 왕조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역사를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보면, 손바닥을 들여다보듯이 쉽게 알 수가 있다....(중략)....유(兪)선생은 이 책에서 거의 옛날 송나라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해서 바친 《자치통감(資治通鑑)》처럼 그 명분(名分)과 의리(義理)를 한번 따져보고자 바랐는데, 이것은 대개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도움을 주고, 후세(後世)에 귀감(龜鑑)이 되게 하고자 하였기 때문이었다. 여사제강
여사제강은 유계선생에 의해서 편찬되었다고 알려져있다. 주로 다룬 내용은 고려시대를 다루고 있고 고려시대를 간략하게 읽게 하기 위함이 편찬목적이 아닌가 생각된다. 머리말에서도 보여지듯이 고려사에서는 너무 내용이 산만하게 기록되었다고 하고 손바닥을 보듯이 쉽게 알수가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었던 것 같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7.2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